• Title/Summary/Keyword: $\180^{\circ}$

검색결과 2,128건 처리시간 0.028초

가진 펌프에 연결된 곡관덕트에서 난류진동유동의 전단응력분포와 압력분포 (Wall Shear Stress and Pressure Distributions of Developing Turbulent Oscillatory Flows in an Oscillator Connected to Curved Duct)

  • 손현철;이홍구;이행남;박길문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37-42
    • /
    • 2001
  • In the present study, flow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oscillatory flow in an oscillator connected to square-sectional $180^{\circ}$ curved duct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order to investigate wall shear stress and pressure distributions, the experimental studies for air flows we conducted in a square-sectional $180^{\circ}$ curved duct by using the LDV system with the data acquisitions and the processing system. The wall shear stress at bend angle of the $150^{\circ}$ and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inlet (${\phi}=0^{\circ}$) to the outlet (${\phi}=180^{\circ}$) by $10^{\circ}$ intervals of the duct a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 wall shear stress values in the inner wall we larger than those in an outer wall, except for the phase angle (${\omega}t/{\pi}/6$) of 3, because of the intensity of secondary flow. The pressure distributions are the largest in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regions at the bend angle(${\phi}$) of $90^{\circ}$ and pressure difference of inner and outer walls is the largest before and after the ${\phi}=90^{\circ}$.

  • PDF

3% 방향성 규소강판의 표면 선긋기에 의한 Barkhausen Noise에 관한 연구 (Effect of surface scratching on Barkhausen Noise in 3% Silicon Steel)

  • 박창만;이기암;황도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2-149
    • /
    • 1994
  • 두께가 0.30 mm, 0.27 mm인 3% 방향성 규소강판에서 표면 선긋기의 간격(39~1.22 mm)과 집합조직(texture) 방향에 대한 선긋기 각도의 변화($90^{\circ}~50^{\circ}$)에 따라 Barkhausen Noise를 측정하였다. 두께 0.27 mm의 시편에서 선긋기를 하지 않았을 때와 선긋기의 간격이 39 mm인 경우 에 대체로 Barkhausen noise envelope은 두개의 peak 현상을 보였으며, 그 현상은 $180^{\circ}$ 자구벽(domain wall)이 생성과 소멸과정을 거듭할 때 많은 activation energy가 필요함에 따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선긋기 횟수를 늘려감에 따라 즉 선긋기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Barkhausen noise envelope의 크기값이 감소하였지만, 선간격 9.75 mm부터는 감소현상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긋기 획수가 늘어남에 따라 선긋기 근처에서 $180^{\circ}$ 자구의 생성과 소멸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Barkhausen Noise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0.30 mm의 시편에서도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었다. Barkhausen noise power는 선긋기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각도변화에 따른 결과는 $50^{\circ}$ 근처에서 가장 적은 값을 보였다.

  • PDF

Diagnostic efficacy of a modified low-dose acquisition protocol for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mini-implant sites

  • Tadinada, Aditya;Marczak, Alana;Yadav, Sumit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3호
    • /
    • pp.141-147
    • /
    • 2017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s of surgical mini-implant placement when potential mini-implant sites were scanned using a lower-dose $180^{\circ}$ acquisition protocol versus a conventional $360^{\circ}$ acquisition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s: Ten dentate human skulls were used to provide sites for potential mini-implant placement. The sit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360^{\circ}$ and $180^{\circ}$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cquisition protocols. A small-volume $180^{\circ}$ CBCT scan and a $360^{\circ}$ CBCT scan of each site were acquired using a Morita Accuitomo-170 CBCT machine and then a mini-implant was placed. A follow-up $360^{\circ}$ CBCT scan was done as a gold standard to evaluate the location of the mini-implant and root perforation. Two raters evaluated the scans. Results: Ninety-eight percent of the mini-implants placed did not perforate any root structure. Two percent of the sites had an appearance suggestive of perforation. On a Likert scale, both raters agreed that their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quality of the protocols, ability to make and read measurements of the sites, and preferences for the specified diagnostic task were comparable. The Cohen kappa showed high inter-rater and intrarater agreement. Conclusion: In this ex vivo study, we found that the $180^{\circ}$ rotational acquisition was as effective as the conventional $360^{\circ}$ rotational acquisition for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potential mini-implant sites.

생약제 농축액에서 미생물 성장에 대한 수분활성도의 영향 (Effects of Water Activity on Microbial Growth in Herb Extract)

  • 곽이성;신현주;주종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7-82
    • /
    • 1998
  • 생약제 농축액의 안정성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생약제 농축액에서 수분 활성도 변화에 따른 미생물 성장 변화 및 일부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활성도를 각각 0.86, 0.89, 0.69로 조정한 생약제 농축액을 $40^{\circ}C$에서 180일 동안 저장한 후 세균수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수분활성도 0.86(수분 활성도 63.85%) 시료의 경우 초기 생균수가 18/g에서 90일 저장시 80/g으로 180일 저장시 190/g으로 증가하였다. 수분활성도 0.80(수분함량 43.04%) 경우에는 초기생균수가 24/g에서 90일 저장시 83/g으로, 180일 저장시 170/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분활성도 0.69(수분함량 33.05%) 경우에는 초기 생균수가 16/g에서 90일 및 180일 저장시 각각 2-/g, 25/g으로 큰 균수가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수분 활성도에 따른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은 수분활성도가 낮을수록 저해되었으며 C. albicans, A. niger의 경우 $28^{\circ}C$에서 30일 저장 후 초기 생균수가 150/g, 140/g에서 각각 30/g, 20/g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E. coli, S. aureus, P. aeruginosa의 경우에도 수분활성도 0.69 시료에서는 $37^{\circ}C$에서 30일 저장 후 생균수가 0로 나타나서 균은 완전히 사멸되었다. 수분활성도 0.86, 0.80, 0.69 시료에서 pH의 변화는 180일 저장시의 pH에서 초기 pH를 뺀 pH의 감소 폭이 각각 0.84, 0.72, 0.31로 나타나서 수분활성도가 낮을수록 pH의 감소폭이 적은 경향이었다. 생약제 농축액에 포함된 인삼 중의 지표성분인 사포닌은 180일 저장한 시료에서 측정한 사포닌함량에서 저장 초기 시료의 함량을 뺀 사포닌 함량의 감소폭은 0.12~0.30%로 나타나서 비교적 작은 편이었다. 또한 생약제 농축액에 감미료, 산미료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여 $40^{\circ}C$에서 60일 및 180일 동안 저장한 후 TLC로 사포닌을 조사한 결과 모든 사포닌이 확인되어 이러한 조건에서 사포닌은 안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염.가공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 변화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사 및 직물의 물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Polyester Yarns and Fabrics Treated with Various Heat Temperatures in Dyeing & Finishing Processes)

  • 조대현;김승진;장동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2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sizing을 포함하여 염색.가공 공정에서 습.건열 처리 온도를 변화시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사와 직물의 물성 변화에 관한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경사는 50d/24f(spark) 그리고 위사는 75d/72f(semi-dull)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셔틀직기에서 제직하였다. 사이징 공정에서의 건조온도를 $90^\circ{C}$, $125^\circ{C}$, $150^\circ{C}$로 변화 시켰으며 수세공정에서 습열 처리온도는 $90^\circ{C}$, $110^\circ{C}$ 그리고 $120^\circ{C}$로 변화시켰다. 그리고 프리세트 공정에서의 건열 처리온도는 $180^\circ{C}$, $200^\circ{C}$ 그리고 $220^\circ{C}$로 변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최종열처리 공정에서는 $170^\circ{C}$, $180^\circ{C}$ 그리고 $200^\circ{C}$로 각각 변화시켜 이들 직물의 인장, 굽힘, 전단 특성과 이들 직물에서 채취한 실의 탄성계수, 절단강도, 변형률 등을 측정하여 각 공정에서의 열처리 온도 변화에 따라 이들 물성치의 상관성을 검토 비교하였다.

  • PDF

Fin 수영 선수의 족부, 요부 및 견갑부의 등속성 근 기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sokinetic Strength on Ankle, Lumbar and Shoulder in Fin Swimmer)

  • 김선호;구민;민범일;이홍민;고영호;윤영복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6-164
    • /
    • 2005
  • Fin 수영 선수의 등속성 근 기능을 분석하여 선수 선발 및 트레이닝에 활용하기 위하여 fin 수영 선수군과 일반 수영 선수군의 족부, 요부 및 견감부의 등속성 근 기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족관절의 족저굴곡력은 좌 우측의 각 속도 $30^{\circ}/sec$$180^{\circ}/sec$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각각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좌 우측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족관절의 족배굴곡력은 우측의 각 속도 $3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요부의 신전근력은 각 속도 $6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견갑부의 굴곡근력은 우측의 각 속도 $60^{\circ}/sec$$180^{\circ}/sec$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영집단의 굴곡근력은 각 속도 $60^{\circ}/sec$$180^{\circ}/sec$에서 좌 우측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fin 수영군은 족부와 요부에 유의하게 높은 등속성 근 기능을 보이고 있어 선수 선발 및 이들 부위의 근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을 적용한다면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지가열시 Benzo(a)pyrene 생성에 관한 연구(I) -대두유가열시-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Benzo(a)pyrene in Fats and oils by Heat Treatment(I))

  • 김인숙;안명수;장대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3-328
    • /
    • 1993
  • 유지를 가열할때 생성되는 B(a)P 및 기타 PAHs함량과 각 유지의 이화학적 성질변화와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 유지의 적절한 가열 온도와 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판 대두유를 $180\pm$5^{\circ}C$$,$200\pm$5^{\circ}C$$, $300\pm$5^{\circ}C$$,에서 50시간 가열한 것을 시료로 취하였다. 이들 각 시료의 B(a)P 및 기타 PAHs함량은 HPLC/UV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산패와 관련된 이화학적 성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열유지의 산값(Acid Value, AV)과, 공액이중 산값(Conjugated Diene Value, CDNV)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시료로 사용한 대두유의 B(a)P 및 PAHs함량은 Pyr 1.093, B(a)P 0.986, Ch 1.147, DMBA 1.082, B(e)P 0.664, Per 1.135, B(a)P 0.146, DBA 1.053, 3-MC 0.055 $\mu\textrm{g}$/kg 이었다. 대두유를 $180\pm$5^{\circ}C$$, 에서 10,20,30,50시간 가열했을 때 B(a)P함량은 각각 0.391, 0.692, 0.451, 0.372$\mu\textrm{g}$/kg이었으며 $200\pm$5^{\circ}C$$, 와 $300\pm$5^{\circ}C$$,에서 가열했을 때 B(a)P함량은 각각 10시간일때 0.844와 0.466, 20시간일때 0.512와 0.706, 30시간일때 0.479와 0.607, 50시간일때 0.367과 0.247 $\mu\textrm{g}$/kg이었다. 2. 대두유를 10,20,30,50시 간 가열했을 때 산값은 180$\pm$5$^{\circ}C200\pm$5^{\circ}C$$,에서는 0.26, 0.26, 0.27, 0.33이었고, 200$\pm$5$^{\circ}C$에서는 0.23, 0.21, 0.21, 0.52였으며 $300\pm$5^{\circ}C$$,에서는 0.47, 1.57, 3.90, 6.42였다. CDNV는 $180\pm$5^{\circ}C$$,에서는 0.67,0.76,0.99,1.04였으며, $200\pm$5^{\circ}C$$,$^{\circ}C$에서는 0.39, 0.49, 3.27, 3.89였고 $300\pm$5^{\circ}C$$,에서는 0.65, 2.I5, 3.00, 3.88이었다. 3. 대두유를 가열했을 때 B(a)P의 생성과 산패도의 변화와의 관계를 볼때 B(a)P함량은 $180^{\circ}C$에서는 20시간가열시 0.692$\mu\textrm{g}$/kg, $200\pm$5^{\circ}C$$,에서는 10시 간 가열시 0.844$\mu\textrm{g}$/kg, $300\pm$5^{\circ}C$$,에서는 20시간 가열시 0.706$\mu\textrm{g}$/kg으로 가장 높게 생성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값과 공액이중산값은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즉 B(a)P생성과 산패도 변화사이에는 일정한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PDF

180도 방위 빔 커버리지 특성을 갖는 UNII대역 소형 전자 빔 조향 기생 배열 안테나 (Small ESPAR Antenna with 180 Degree Azimuth Beam Coverage)

  • 최익권;주상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180도 방위 빔 커버리지 특성을 갖는 소형의 고이득 빔 조향 기생 배열 안테나를 제안한다. 이 안테나는 단일면 야기 다이폴 급전소자와 리액턴스가 장하된 인접한 두 기생 다이폴 소자로 구성되며 제작된 안테나는 기생소자의 리액턴스를 전자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UNII 대역에서 (5.725GHz~5.825GHz) 방위각$-90^{\circ}$에서 $90^{\circ}$범위에서 5.2dB~6.7dB 이득 특성을 가지며, 반사손실은 -10dB이하임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공기절연 전력설비를 위한 교류전로파괴전압-온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Breakdown Voltage-Temperature Characteristics for Air Insulated Power Installation)

  • 김상구;송현직;김영훈;이광식;이동인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9권1호
    • /
    • pp.47-53
    • /
    • 1995
  • 본 연구는 공기절연 전력설비를 위한 교류전로파괴전압($\textrm{V}_{Brms}$)-온도 (T)특성을 연구할 목적으로 교류 고전압 인가시 온도변화(30[$^{\circ}C$]-[$180^{\circ}C$])에 따른 유동공기의 전로파괴특성을 기체방전이론과 유체역학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의 전극계는 내부직경이 5[cm]인 직원통간에 침대침전극을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textrm{V}_{Brms}$)은 유속(U)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textrm{V}_{Brms}$는 高溫에서 포화하였다. 高溫(T : [$180^{\circ}C$])에서는 低溫(T : 30[$^{\circ}C$])보다 $\textrm{V}_{Brms}$가 4.7[kV]가 낮게 나타났다. $\textrm{V}_{Brms}$$\textrm{V}_{Brms}=A\times{Log[Re]}+B}$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여기서 A, B는 상수이다.

  • PDF

중탄산나트륨이 첨가된 여과집진기를 이용한 염화수소의 제거 (Removal of HCl Using a Bag-Filter with Addition of Bicarbonate)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3호
    • /
    • pp.121-12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배기가스로부터 생성된 신성가스 중 HCl의 제거를 위해 기존의 건식 반응기와 여과집진기를 사용하였다. 흡착제는 중탄산나트륨($NaHCO_3$)를 시용하였으며 흡착제($NaHCO_3$) 의 성능, 효율을 평가한다. 이러한 중탄산나트륨의 성능, 제거효율을 평가하여, 중탄산나트륨이 건식 반응기에서의 최적의 운전조건을 분석하였다. 체류시간, 당량비, 온도, 여과집진기의 압력등을 운전조건으로 하였으며 체류시간은 1.5sec로 고정하였고, 중탄산나트륨 주입비(당량비)를 1SR, 1.25SR으로 조절하였고, 온도는 $160^{\circ}C$, $180^{\circ}C$, $200^{\circ}C$로 하였고, 여과집진기의 압력은 210mmAq, 230mmAq, 250mmAq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온도가 큰 영향은 없고, 압력과 당량비가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적의 운전조건은 주입비 1SR에서 $180^{\circ}C$, 230mmAq이다. 이 조건에서의 제거율은 99.50%로 나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