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순전경"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Jinmuk Tales in Buddhism and Daesoon Thought (불교와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

  • Lee, Byung-wook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9
    • /
    • pp.141-170
    • /
    • 2017
  •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Korean Buddhism and those which appear in Daesoon Thought. Specifically, I will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the Jinmukjosayujeokko (震黙祖師遺蹟攷, A Study on the Remains of Patriarch Jinmuk) and those from the Jeongyeong (典經), and then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urces. In chapter two, I approach Jinmuk's thought as conveyed in the Jinmukjosayujeokko by examining four points. The first point is that Jinmuk is a transformation-body (an incarnation) of Sakyamuni (釋迦牟尼) Buddha. In the preface of the Jinmukjosayujeokko, Choui (艸衣) says that Jinmuk is a transformation-body of Sakyamuni Buddha. The second point is the spirit of unobstructed action (無礙行), the third point is the spirit of the fundamental congruence between meditative and doctrinal approaches (禪敎一致), and the fourth is the spirit of the fundamental congru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儒佛一致). In chapter three, I study on the viewpoints which can be derived from Jinmuk tales in Daesoon Thought, and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the Jinmukjosayujeokko and the Jeongyeong. The Jinmuk tales from the Jeongyeong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aesoon concepts 'Cheonji Gongsa (天地公事,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Haewon Sangsang (解冤相生,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ience)'. This is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Jinmuk tales from Korean Buddhism and those from Daesoon Thought. If I compare the common subject matter of the Jinmuk tales in the Jinmukjosa yujeokko and the Jeongyeong, the Jinmuk tales from these two sources likewise contain differences. Why do these differences occur? I will explain these differences based on Mircea Eliade's approach to mythology. Eliadian theory posits that myths contain the desires of those who deliver the myths. If I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nmuk tales in the Jinmukjosayujeokko and the Jeongyeong based on Eliade's theory, Buddhism has Jinmuk tales composed to reflect Buddhist values, whereas Daesoon Thought has Jinmuk tales composed to reflect the values of Daesoon Thought. As Korean Buddhism and Daesoon Thought promote different values, they thereby have different Jinmuk tales.

『전경』과 『태평경』의 사회이상에 대한 비교 연구

  • 리하이린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4_1
    • /
    • pp.209-253
    • /
    • 2014
  • 『태평경』과 『전경』은 저술된 시기에 있어 큰 차이가 있지만 사회이상의 구상적 측면에서 매우 큰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태평경이 추구하는 '태평세도'와 『전경』에서 언급된 '후천선경'의 내용은 매우 유사하다. 증산께서는 '해원상생'이라는 구제의 방법을 통해, '후천선경' 혹은 '지상천국'을 실현하고자 하셨는데, 이는 당시 민중의 심리적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었다. 이후 대순진리회에서는 '후천선경'을 이루는 것을 종단의 목표로 삼고 있다. 구제 원리의 측면에서 『태평경』은 '해원결'이나 '해승부'를 통해 '삼기상통'(三氣相通)을 이루고자 하는데, 이는 『전경』의 해원상생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중외고금에서 사회이상 실현을 논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부분 유사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대체로 의식에 대한 걱정이 없고, 전쟁과 재해가 사라지며, 백성들이 스스로 만족하며 즐거워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태평경』과 『전경』의 인본주의 사상, 남녀평등, 불로장생에 대하여 유사점을 비교해 보았다. 한편으로 양자는 차이점도 지니고 있는데 『전경』에서는 현대적 의의를 바탕으로 전지구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바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후천선경이라는 사회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내용에 있어 이후 언어가 통일된다고 하는 내용은 태평경과 뚜렷한 차이점을 지닌다. 또한 구제의 순서에 있어 『전경』과 『태평경』의 차이점은 『전경』에서는 신의 해원을 통해 인간의 원결이 해소될 수 있다고 보며, 『태평경』에서는 사회의 재난이 인간, 즉 인간의 승부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봄으로 사람의 승부 특히 제왕의 승부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The Methodology of 'Woori Philosophy': an Analysis of this Philosophical Thought Contained in the Jeon-gyeong (『전경』의 사상분석으로 살펴본 '우리철학'의 방법론)

  • Lee, Jong-l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0
    • /
    • pp.201-234
    • /
    • 2018
  • 'Woori Philosophy' is the modern philosoph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hypothetical model of the methodologies used in Woori Philosophy, to analyze and classify this system of thought as it appears in the Jeon-gyeong (『典經』),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s application, and to present the model's methodological best practices. In this paper, I have made a standard for Woori Philosophy by combining existing studies. Thereby, although it is preliminary, I have presented the model as a way of achieving Woori philosophy by analysis and division of this thought in the Jeon-gyeong. As a result, the Jeongyeong's content is organized into an order in frequency which emerges as Model②, Model①, Essential Model, Model④, and Model③. These models can be evaluated to show that the Jeon-gyeong progressively inherited different schools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 while simultaneously characterizing them as Korean in many areas, never ignored the problems of the times or an awareness of the world, and furthermore, did not senselessly or blindly accept foreign objects spread into Korea from 1880~1890. Therefore, the Jeon-gyeong shows a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the implementation of Woori philosophy based on its own historical setting. It can be evaluated as the best practices which took many ideas and made those ideas its own. Through this, I was able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as a methodology of Woori Philosophy and was able to extract its best practices. However, the ideas in the Jeon-gyeong did not directly become Woori Philosophy. To solve our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still an assignment to interpret these idea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If the existing research on Daesoon Thought (大巡思想) is to become Woori Philosophy, then it should do so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99-254
    • /
    • 2013
  • 대순사상은 인간의 행위와 정신적 틀, 즉 몸과 마음을 닦고 세상을 다스리며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도리를 설파하고 있다. 우주 공간의 질서와 깊은 연관을 맺는 이러한 도리는 인간 자신의 인지(認知)와 심신 수양의 내용을 포함하며, 사람이 사회와 우주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을 인문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서양의 인문주의와 비교해 볼 때, 중국 전통의 인문정신은 인류 개체의 창조력과 그 성과를 인정하고, 인격적 수양과 개선을 주장하며,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한편, 인류가 반드시 천지인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개체와 전체의 생존을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문정신은 『전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하나가 모악산과 단주(丹朱)에 대한 서술인데, 모악산은 산 즉 '간'(艮)괘이며 단주는 적색에 상응하니 곧 '리'(離)괘가 된다. 이 두 괘가 서로 조합하면 '비(比)'괘가 되며, 『주역』의 비괘와 연관하여 서로 간의 모순을 없애고, '바둑'을 두는 기법을 거울삼아 심성을 다스리며, 인격을 완성하고, 인신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사회를 안정시킬 것을 말한다. 대순 신앙의 최종 목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인데,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격수양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격수양의 목표는 바른 도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도 공부를 해야만 한다. 수도는 춘추시기 노자 이래로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것이지만, 대순진리회는 한국사회 역사의 경향과 현실의 필요에 부응하여 수도 이론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는 수도자가 '성(誠), 경(敬), 신(信)'에 힘쓰는 품격 함양을 매우 중시한다. 또 도인들이 가정의 화목에 힘써야 하며, 솔선수범하는 도인으로서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대순진리회는 '인도'(人道)를 함양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유가에서 말하는 '수신, 제가' (修身, 齊家)의 정신과 그 의미가 맞닿아 있다. 또한 중국 도교의 '선도(仙道)를 이루고자 하면 먼저 인도(人道)를 행하라'는 사상적 취지와도 일치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의 최종 목표는 도통이다. 도통은 수도자가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지는 특수한 능력과 정신의 경지이다. '도통'에 대한 기록은 『장자·제물론』, 『문자』의 「부언편>(符言篇)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순진리회가 말하는 도통은 중국의 도가 전통에 보이는 도통과도 연관되지만 강한 인륜수양(人倫修養)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대순진리회가 가지는 중요한 인문적 함의라 하겠다. 대순진리회는 수도 공부로써 광제창생·보국안민·지상천국건설의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토대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첫 번째인 음양합덕이다. 음양합덕은 대순진리의 인문 취지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이다. 음양합덕의 철학적 사고는 종지 두 번째인 신인조화(神人調化)의 이상으로 이어진다. 신인조화는 『상서·순전』(尙書·舜典)의 신인이화(神人以和)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신인이화가 율려 조화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면, 신인조화에서 중시하는 것은 '과정'이며 인간과 신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신인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 배후에는 인본(人本)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것은 종지 세 번째인 '해원상생'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인조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해원상생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맺힌 원을 풀어 우주의 기운을 잘 통할 수 있게 하고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교류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인 인문적 관심과 배려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 네 번째인 도통진경은 수도의 가장 높은 경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이념은 노장 일파의 도가 학자들이 말한 순박한 본성으로 회귀하자는 정신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한진(漢晉)시대 이래 중국 도교가 추구했던 '진경' 의 의미와도 합치된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다름으로 인해, 대순진리회의 '진경'은 사회생활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비록 대순진리회의 경전이 인본(人本)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대순진리회의 요의(要義) 중 하나인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의 인문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다. 인존사상의 직접적인 기능은 평안(平安)으로서 삶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우주대원의 진리를 '도'라 하였는데 이러한 '도'는 중국의 도가에서 말하는 '도'와 동일하며, 여기에는 '안(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조 중 '안심', '안신'은 마음을 정(靜)하게 하고,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심신의 공포와 두려움을 떨쳐내어 안전과 보호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으므로 결국 평안이 전제가 된다. 이렇듯 대순진리회에서는 '평안에 대한 희구'를 근본으로 하여 신앙인들이 열심히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인류 평안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라는 점에서, 반드시 세인들의 환영을 받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조선시대 『옥추보경』(玉樞寶經) 중의 신장(神將)에 관한 연구

  • 인즈화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2
    • /
    • pp.133-275
    • /
    • 2014
  • 『옥추보경』(玉樞寶經)은 송대의 유명한 도교 경전으로 정식 명칭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설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說玉樞寶經)이다. 송·원시대 이후 『옥추보경』은 중국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전해지면서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명나라의 세종(世宗)과 신종(神宗)은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여 직접 서문을 쓰고 동시에 매우 숭앙하였다. 『옥추보경』의 집주본이 조선에 전해진 시기는 대략 명대 시기로 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전해졌던 『옥추보경』 집주본은 융경(隆慶) 4년(1570)에 전라도 무등산(無等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최초로 발간되었다. 그러나 당시 안심사 판본은 첫 페이지와 경문 중의 또 다른 페이지가 없는 불완전한 판본이었다. 옹정(擁正) 11년(1733)에 송몽삼(宋夢三), 서두추(徐斗樞) 등의 제안에 따라 영변(寧邊) 묘향산(妙香山) 보현사(普賢寺)에서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또한 불완전한 판본이었으며, 병진년(1736)에 잃어버린 두 페이지를 우연히 찾게 되면서 완전한 판본을 이루게 되었다. 이후 광서(光緖) 무자년(1888)에 김흡(金潝)이 『옥추보경』을 새로 교정하였고, 계룡산(鷄龍山)에서 이를 다시 간행하였다. 명대의 『도장』에 수록된 『옥추보경』 집주본에는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 세 종류의 판본은 모두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간행본과 비슷한 판본으로 영국의 대영도서관 소장본과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의 소장본 및 중국 국가 도서관 고적관의 소장본이 있다. 그런데 안심사 판본은 41명, 보현사 판본은 47명, 계룡산 판본은 48명의 신장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대영도서관은 45명, 중국 국가 도서관은 45명 등으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판본들에 수록된 신상의 수가 다른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계룡산 판본 『옥추보경』에 근거하여 48신장의 내력에 대한 초보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언어상의 문제로 『옥추보경』과 관련된 한국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는 못했지만, 『옥추보경』의 48장과 대순진리회의 『전경』에 등장하는 48장이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조명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토대로 나아가 대순진리회의 48신상도와 『옥추보경』의 판본간의 형태적 특징에 주목하여 면밀한 상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와 『옥추보경』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oncept of Tao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Lee, Jee-young;Lee, Gyung-wo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219-255
    • /
    • 2019
  • 'Dao'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as it is the main term for 'ultimate reality' in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o' is essential to reach the state of 'Perfected Unification with Dao,' the ultimate aspiration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Dao' can vary such as 'Dao' meaning 'w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Jinwen. There is also the 'Dao' of yin and yang, and Dao used to mean human obligation, or Dao meaning the way of Heaven.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and the Dao of Sangsaeng. Every natural phenomenon of birth, growth, and death in the universe operates under the patterns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Constant Dao in Daesoon Thought is the ultimate pattern underlying human action and the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 These apply not only to the natural and the divine world but also to the human world.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natural law or moral symbol of the world, 'Heavenly Dao' means the great Dao that saves the world through the Daesoon Truth of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Divine Dao can be said to be 'the Dao by which man must complete his work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will of God,' that is, 'the Dao by which God and man are united together by Sangje's heavenly order and teaching, which aims for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en the world is in a state of calamity and crisis, the request for the saint's Dao can symbolized by the kings, Yao and Sh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The saint's Dao saves the dying world and people's lives and is called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濟生醫世)'. It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Dao in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human obligation to follow Sangje's order, the great Dao to save the world. The Dao of Sangsaeng is the true dharma that rectifies the world full of mutual conflict through the ethics of the Later World, which is to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 and to practice the human Dao that saves the world and rebuilds the Constant Dao. Thus, The concept of Dao in Daesoon Thought is Daesoon Truth which applies to and operates throughout all realms of Heaven, Earth, Humanity, and the Divine world. Dao in Daesoon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and this can be seen in its ideological features. It embr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ao, which refers to the Chinese classics and represents the main schools of thought in East Asia: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it is unique in that it implies the will of Sangje as a religious object, a supreme being. It can be seen that Daesoon Thought h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the concept of Dao by harmonizing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Korean religious thought.

A Study on the Ontological Meaning of Life in The Canonical Scripture (『전경』에 나타난 생명의 존재론적 위상)

  • Baek Choon-hyo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5
    • /
    • pp.1-35
    • /
    • 2023
  •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Canonical Scripture of the Daesoon Thought upon the ontological bases of occidental philosophies; especially upon those of Plato and Bergson. In western philosophy, the word ontology designates investigating the meanings of be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Greek 'onto (being)' and 'logia (logical discourse).' The various meanings of life have been sought from ancient times all over the world, for these are the critical and vital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nature of human existence. Plato had asserted that life, in his word, soul, had three different kinds of aspects of meaning. Immortal, reciprocal, and divine. Plato scheme was such that the soul could die, but after death it could became reborn into another various forms of living creatures. The real inner life of humans, the soul, would live eternally. Henri-Louis Bergson, a famous French philosopher from the 20th century, claimed that life had three different kinds of aspects. Self-identity, Élan vital (vital impetus) and liberty. Bergson insisted especially the real meaning of life had been characterized by "unité multiple et multiplicitéune," "unity as something multiple and multiplicity something singular." The meaning of life in Daesoon Thought could be said to have three different characteristics, solidarity, earthly immortality and grievance-resolution. Some similarities can be found between certain western ontological meanings of life and those of Daesoon Thought. Namely, the qualities of eternity, reciprocity, and divinity.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앙 연구

  • 리웬구어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29-97
    • /
    • 2013
  • 뇌법은 도교의 중요한 법술로서 당송(唐宋)이래 매우 흥했는데, 북송의 임영소 등이 신소파(神霄派)를 개창한 이후에 도교 법문을 대표하는 영역이 되었다. 그로부터 각종의 뇌법이 천하에 성행하였고, 도교에는 새로운 뇌신들이 거듭 나타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뇌법신앙의 구진천존(九宸天尊)인데, 이 아홉 천존들은 도교의 최고신인 삼청성조(三清聖祖)의 통치 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옥추보경』은 북송 때 탄생하였는데 이 경전이 세상에 널리 발간되어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대한 신앙이 형성된 것은 남송 시기 백옥섬(白玉蟾) 이후이다. 『옥추보경』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의 법문(法門)을 선양하기 위한 방책으로 천존의 성호를 부를 것을 권장한다. 법문을 염송하는 것은 매우 쉽고도 간단하여 누구나 할 수 있었으므로 사회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봉신연의』와 『서유기』와 같은 문예소설에 뇌성보화천존이 등장함으로 해서, 민중들은 뇌성보화천존을 더욱 널리 숭배하게 되었다. 현재도 중국의 민간에서 이 신격에 대한 신앙은 매우 보편적이다.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은 옥청진왕(玉清真王)의 화신(化身)이다. 뇌성보화천존은 시방에 그 형체를 나타내고, 중생들을 고뇌로부터 구제하고 이끈다. 36천을 주재할 권능이 있으며, 자비로운 모습으로 모든 겁에 응한다. 또 뇌성보화천존의 주변에는 뇌공(雷公), 우사(雨師), 풍백(風伯)을 비롯한 십대원사(十大元帥)와 등백온원사(鄧伯溫元帥), 신한신원사(辛漢臣元帥) 등의 신장들이 보인다. 이러한 신장들은 양송(兩宋) 시대에 출현하였으며 대다수가 뇌부의 제신들이다. 뇌성보화천존 신앙을 구현하기 위한 재초 의식에는 천지 제신(諸神)이 강림하기를 청하는 뇌정사과(雷霆謝過)와 죄를 뉘우치고 복을 비는 참의(懺儀) 또는 참회문식(懺悔文式) 등이 있다. 이런 법식들은 매우 전문적인 것이고, 일반인들에게는 법문을 염송하는 간편한 방법인 십자천경법(十字天經法)이 널리 퍼졌다. 즉 늘 경건한 마음으로 천존의 성호를 오랫동안 염송하게 되면 공덕원만(功德圓滿)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옥추보경』은 민중의 세계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광범위하게 알려져 그 주해나 주석본만도 이십여 종에 이르렀고 송원 이래의 핵심적인 도교 문헌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옥추보경』은 일본과 한국 등지에도 급속히 전파되었다.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신소뇌법(神霄雷法)이 전해졌는데, 특히 고려 예종 13년(1118년) 7월에 중국 도교 의학이 고려에 전승되었을 때의 도교 의학이 『옥추보경』을 위주로 한 치료법이었다. 그리고 그 흔적은 조선의 허준이 주편한 『동의보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의 민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옥추보경』을 송독하였고 거기에 수록된 부록(符籙)을 운용하였으며 이로써 병을 몰아내고 잡귀를 물리쳐 생명을 지키기를 바랐다. 현대 한국에서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에 대한 신앙이 크게 성행하고 있으니, 그 종단이 바로 대순진리회이다. 대순진리회는 증산 성사께서 인세에 강림하시기 전에 구천대원조화주신이며, 화천 후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상제의 위에 임하였다고 신앙한다. 즉 증산이 천존상제의 화신이라 믿는 것이다. 이것과는 좀 다르지만, 인간이 신의 화신이 되는 신성한 변화를 뇌법에서는 '변신(變神)'이라고 부른다. 변신은 내련(內煉)을 행할 때나 시법(施法)시에 도인들이 필히 진입해야 할 특이한 정신 상태로서, 자아의 존재를 망각하고 신진(神真)으로 변화하여 인신합일(人神合一)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신은 대순진리회의 수도 목적인 도통과도 한편으로는 유사한 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대순진리회가 목적하는 지상신선실현이 의미하는 것은, 사람이 도를 깨닫는 노력을 통해 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과 천성을 회복하여 이에 상응하는 신과 합일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뇌법의 변신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A Study on Dosu Theory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도수론(度數論) 연구)

  • Park, In-gyu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8
    • /
    • pp.207-241
    • /
    • 2017
  • In the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the expression 'Dosu (度數)' is frequently used and Jeungsan, Jeongsan, and Wudang also left behind many teachings related to Dosu.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Dosu is analyzed in detail and the achievement of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osu is attempted. The term Dosu is often used in traditional literature. In the classics, Dosu was used to mean institutions, standards, rules, law, figures, and the laws of heavenly bodies. In other words, Dosu is used to mean the laws of astronomy and the norms of human society. This meaning is expanded and use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is concept of Dosu is related to the mathematical cosmological understanding of numbers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This type of mathematical cosmology was systematized by Shao Yong (邵雍). In the Joseon Dynasty, Seo Gyungduk (徐敬德) accepted it positively, and it thereby became an influential trend in Korean thought. In the world view of Daesoon thought, there exists the view that numbers as a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of course this world view is connected to mathematical cosmology. In Daesoon thought, the concept of Dosu is based on the concept of traditional Dosu and adds an additional meaning which connects it to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Cheonjigongsa). Also, Dosu is used to mea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inciples and laws of cosmos through Jeungsan's Reordering of the Universe. It is especially the case that discourse about Dosu is widely used when describing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Jeungsan corrected, reorganized, and adjusted Dosu, as well as establishing new Dosu. Jeongsan, who succeeded Jeungsan, followed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by Jeungsan, and also realized Dosu. In other words, Jeongsan acted and practiced according to the Dosu that had been enacted by Jeungsan. Also, Dosu means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principle according to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Wudang used the concept of Dosu to describe the historical process of Daesoon Jinrihoe. This means that the foundation of Mugeukdo, the change to Taegukdo, the establishment of Daesoon Jinrihoe, and the contruction of Yeoju headquarters are episodes in a divine history carried out through Dosu. Through this discourse, Daesoon Jinrihoe asserts a legitimacy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sects, and believers can be inspired by the sacred meaning that they are participating in the Dosu of heaven and earth. This empowers their devotion and sincerity.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Jeon-gyeong (『전경』에 나타난 대순사상의 생사관)

  • Cheng, Chihming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7
    • /
    • pp.79-132
    • /
    • 2016
  •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Daesoonjinrihoe includes all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human heart is taken as the foundational key. Practitioners can realize their value according to how much they have cultivated themselves. This is regarded as the mythical use of a singularly focused mind (full dedication of one's heart). In other words, it focuses on the potentiality of humans who are able to enter a transcendental area of divinity through their self-cultivation. This view of life and death in Daesoonjinrihoe was established by the religious mission known as "Samgye Gongsa (the Reordering of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Samgye Gongsa indicated a new opening of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This new opening is a return to the original principle of Heavenly operation and also a new order for the universe. Heaven and Earth have their own underlying principle by which they operate. This act was directly initiated and manifested from Dao. Daesoonjinrihoe diagnoses that the underlying principle by which Heaven operates was damaged by human misconduct, and as a result, the human observance of that principle fell out of common usage. Therefore, Daesoonjinrihoe gives priority to the reestablishment of Dao as it existed originally and tries to bring about reconcilia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ity. In short, it resolves the grievances accrued since time immemorial by correcting the order of Sindo (Divine Law).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 Dao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as created by reordering the arrangement of Heaven and Earth so that human beings and divine beings could reach a state of perfection through self-realization. Humans not only communicate with Heaven and Earth, but also communicate with divine beings. Divine beings are transcendent living being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humans through their heart-minds. In Daesoon thought, human beings are not swayed by the power of divine beings, but instead are able to control divine beings through the transcendent power of their heart-minds. Given this view, the aim of Daesoonjinrihoe lies in participating in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through the cultivation of the human heart. Also, it sees that the human heart-mind can be united with the universal Dao, and thus it is able to be united with the deities of Heaven and Earth. In order to actualize this, one does not rely on exterior rituals or magic but has to focus instead on cultivating the moral ethics of the heart-mind to reach perfection. In other words, one can reach a transcendent level in one's heart-mind through the cultivation of a singularly focused mind and be free from the contradiction of life and death and other such torments. Life and death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humans. So they do not have to be happy for life and sad for death. They can rather be free from the fear of death by fulfilling the energetic zenith of the human heart-mind via training themselves to transcend their physical bodies. No aging and no death is not a pursuit of radical longevity or immortality for the physical body, but rather a pursuit of the essence of life and the realization of eternity on a spiritual level. Daesoonjinrihoe pursues the state of being unified with Dao by developing "Jeong·Gi·Sin (精·氣·神 the internal energies of essence, pneuma, and spirit)" and trying to reach the transcendent state of non-aging and radical longevity by spurring the practice of self-realization and the discovery one's own innate nature. Through the practice of human ethics, they can access the creative functions of Heaven and Earth and become one with Heavenly Dao thereby achieving harmony between temporal existence and eternity. In this way, humans transcend the life and death of their physical bodies. When "Doins (trainees of Dao)" reach the true state of unification with Dao through singularly focused cultivation, they not only realize self perfection as human beings, but also enable themselves the means to do away with all disasters and forms of suffering. They thereby attain ultimate happiness in their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