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Jinmuk Tales in Buddhism and Daesoon Thought

불교와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

  • Received : 2017.10.14
  • Accepted : 2017.10.3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Korean Buddhism and those which appear in Daesoon Thought. Specifically, I will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the Jinmukjosayujeokko (震黙祖師遺蹟攷, A Study on the Remains of Patriarch Jinmuk) and those from the Jeongyeong (典經), and then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urces. In chapter two, I approach Jinmuk's thought as conveyed in the Jinmukjosayujeokko by examining four points. The first point is that Jinmuk is a transformation-body (an incarnation) of Sakyamuni (釋迦牟尼) Buddha. In the preface of the Jinmukjosayujeokko, Choui (艸衣) says that Jinmuk is a transformation-body of Sakyamuni Buddha. The second point is the spirit of unobstructed action (無礙行), the third point is the spirit of the fundamental congruence between meditative and doctrinal approaches (禪敎一致), and the fourth is the spirit of the fundamental congru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儒佛一致). In chapter three, I study on the viewpoints which can be derived from Jinmuk tales in Daesoon Thought, and compare the Jinmuk tales from the Jinmukjosayujeokko and the Jeongyeong. The Jinmuk tales from the Jeongyeong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aesoon concepts 'Cheonji Gongsa (天地公事,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Haewon Sangsang (解冤相生,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ience)'. This is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Jinmuk tales from Korean Buddhism and those from Daesoon Thought. If I compare the common subject matter of the Jinmuk tales in the Jinmukjosa yujeokko and the Jeongyeong, the Jinmuk tales from these two sources likewise contain differences. Why do these differences occur? I will explain these differences based on Mircea Eliade's approach to mythology. Eliadian theory posits that myths contain the desires of those who deliver the myths. If I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Jinmuk tales in the Jinmukjosayujeokko and the Jeongyeong based on Eliade's theory, Buddhism has Jinmuk tales composed to reflect Buddhist values, whereas Daesoon Thought has Jinmuk tales composed to reflect the values of Daesoon Thought. As Korean Buddhism and Daesoon Thought promote different values, they thereby have different Jinmuk tales.

이 글에서는 한국불교의 진묵설화와 대순사상의 진묵설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자세히 말하자면,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의 진묵설화를 비교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진묵조사유적고』에 나타난 진묵의 사상을 다음의 4가지로 나누어서 접근한다. 첫째, 진묵은 석가모니의 화신불이라는 것이다. 『진묵조사유적고』의 서문에서 초의(艸衣)는 진묵이 석가모니의 화신이라고 밝히고 있다. 둘째 무애행의 정신이고, 셋째 선교일치의 정신이며, 넷째 유불일치의 정신이다. 3장에서는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에 관한 관점을 살펴보고, 『진묵조사유적고』의 진묵설화와 비교한다. 우선 『전경』에서 진묵의 설화는 천지공사와 해원상생의 관점에서 활용된다. 이것이 불교의 진묵설화와 가장 다른 점이다. 그 다음 진묵설화 가운데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에 공통된 주제를 말하는 것이 있는데, 그 설화들을 비교해보면 역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면 이러한 차이점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서는 엘리아데의 신화이론에 근거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엘리아데는 신화는 그것을 전달하는 사람의 희망사항이 투영된 것이라고 한다. 이 이론에 근거해서 『진묵조사유적고』와 『전경』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불교계의 『진묵조사유적고』에는 불교의 가치관이 투영된 진묵설화가 전승되었고, 대순사상의 『전경』에는 대순사상의 가치관이 반영된 진묵설화가 전승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불교와 대순사상은 서로의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주제의 진묵설화라고 해도 전승된 내용에 차이점이 생겼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초의 편, 『진묵조사유적고』, 『한국불교전서』 10권,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1997.
  3. 이일영 편, 『진묵조사소전』, 서울: 보림사, 1983.
  4. 김명선, 『진묵설화연구』, 서울: 보고사, 2007.
  5. 김방룡, 「증산교와 진묵대사」, 『신종교연구』 4, 2001.
  6. 김방룡, 「설화를 통해본 진묵일옥의 삶과 사상」, 『한국불교학』 44, 2006.
  7. 김현자, 『신화, 신들의 역사 인간의 이미지』, 서울: 책세상, 2004.
  8. 더글라스 알렌,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유요한 옮김, 서울: 이학사, 2008.
  9. 류병덕. 김홍철. 양은용, 「호남지역의 진묵신앙 유포현황과 그 민중적 성격」, 『한국종교』 21, 1996.
  10. 미르치아 엘리아데, 『영원회귀의 신화』, 심재중 옮김, 서울: 이학사, 2003.
  11. 박윤호, 「진묵일옥의 선풍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12. 원정근, 『진묵대사와 조화문명』, 대전: 상생출판, 2013.
  13. 吳經雄, 『선학의 황금시대』, 서돈각. 이남영 옮김, 서울: 삼일당, 1978/1983.
  14. 이반 스트렌스키, 『20세기 신화이론』, 이용주 옮김, 서울: 이학사, 2008.
  15. 이병욱, 『한권으로 만나는 인도』, 서울: 너울북, 2011/2016.
  16. 이병욱, 「한국불교에서 본 대순사상」,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57
  17. 차차석, 「진묵일옥의 선사상과 그 연원 고찰」, 『불교연구』 34, 2011.
  18. 한기두, 「진묵의 법풍」, 『한국선사상연구』, 서울: 일지사, 1991.
  19. 황의동, 「진묵대사와 유교의 대화」, 『부처님의 화신 진묵일옥과 봉서사』, 제1회 진묵조사 사상 학술대회자료집, 봉서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