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osu Theory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도수론(度數論) 연구

  • Park, In-gyu (Department of Academic Affairs in Daesoon Jinrihoe)
  • Received : 2017.04.16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the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the expression 'Dosu (度數)' is frequently used and Jeungsan, Jeongsan, and Wudang also left behind many teachings related to Dosu.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Dosu is analyzed in detail and the achievement of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osu is attempted. The term Dosu is often used in traditional literature. In the classics, Dosu was used to mean institutions, standards, rules, law, figures, and the laws of heavenly bodies. In other words, Dosu is used to mean the laws of astronomy and the norms of human society. This meaning is expanded and used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is concept of Dosu is related to the mathematical cosmological understanding of numbers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This type of mathematical cosmology was systematized by Shao Yong (邵雍). In the Joseon Dynasty, Seo Gyungduk (徐敬德) accepted it positively, and it thereby became an influential trend in Korean thought. In the world view of Daesoon thought, there exists the view that numbers as a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of course this world view is connected to mathematical cosmology. In Daesoon thought, the concept of Dosu is based on the concept of traditional Dosu and adds an additional meaning which connects it to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Cheonjigongsa). Also, Dosu is used to mea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inciples and laws of cosmos through Jeungsan's Reordering of the Universe. It is especially the case that discourse about Dosu is widely used when describing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Jeungsan corrected, reorganized, and adjusted Dosu, as well as establishing new Dosu. Jeongsan, who succeeded Jeungsan, followed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by Jeungsan, and also realized Dosu. In other words, Jeongsan acted and practiced according to the Dosu that had been enacted by Jeungsan. Also, Dosu means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principle according to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and Wudang used the concept of Dosu to describe the historical process of Daesoon Jinrihoe. This means that the foundation of Mugeukdo, the change to Taegukdo, the establishment of Daesoon Jinrihoe, and the contruction of Yeoju headquarters are episodes in a divine history carried out through Dosu. Through this discourse, Daesoon Jinrihoe asserts a legitimacy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sects, and believers can be inspired by the sacred meaning that they are participating in the Dosu of heaven and earth. This empowers their devotion and sincerity.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에는 '도수'라는 표현이 빈번히 사용되었으며 증산, 정산, 우당께서도 도수에 대해 많은 말씀을 남기셨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도수' 개념을 상세히 분석하고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도수 개념을 통해서 대순사상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도수라는 용어는 전통적 문헌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고전에서 도수는 제도, 도리, 표준, 규칙, 법도, 수치, 천체운행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즉 도수는 천체 운행의 법칙과 인간 사회의 규범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의미가 확대되어 우주자연의 원리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도수 개념은 수를 우주 자연의 원리를 파악한 상수학적 우주론과 관련이 깊다. 상수학적 우주론은 소강절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조선에서는 화담 서경덕이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이후 한국 사상사의 한 축을 이루었다. 대순사상의 세계관에서도 수를 우주 자연의 원리로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세계관은 상수학적 우주론과 연관된다. 대순사상에서 도수 개념은 전통적 도수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 증산의 천지공사의 구체적 명칭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또한 도수는 증산의 천지공사에 의해 우주 원리나 법칙이 변해가는 과정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수에 관한 담론은 증산의 천지공사론에 많이 사용되었다. 증산께서는 천지의 도수를 뜯어고치고 정리하고 조정하셨으며 새로운 후천 도수를 설정하셨다. 종통을 계승하신 정산께서는 증산의 공사를 뒤이었으며 증산께서 짜신 도수를 풀어나가셨다. 즉 정산께서는 증산께서 행하신 천지공사의 도수에 따라 도수를 보셨으며 도수에 의한 공부를 행하신 것이다. 그리고 도수는 천지공사에 따른 천지법칙의 변화과정을 의미하는데, 우당께서는 이러한 도수 개념을 통해서 종단 역사의 변천과정을 말씀하셨다. 즉 무극도의 창도, 태극도로의 변천 그리고 대순진리회의 창설과 여주본부도장의 건설 등의 과정이 도수에 의해 펼쳐진 신성한 역사라는 설명이시다. 이러한 담론을 통해 대순진리회는 다른 증산교단과 차별되는 정통성을 주장하며, 신도들은 자신들이 천지도수에 참여하고 있다는 성스러운 의미에 감화되어 신행에 매진할 수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
  2. 『훈시 』 (대순진리회 내부 자료)
  3. 『고려사 』
  4. 『선조실록 』
  5. 『성종실록 』
  6. 『중종실록 』
  7. 『管子 』
  8. 『論語集註 』
  9. 『論衡校釋 』
  10. 『三國志 』
  11. 『商君書 』
  12. 『顔氏家訓 』
  13. 『禮記 』
  14. 『禮記正義 』
  15. 『莊子 』
  16. 『朱子語類 』
  17. 『太平經 』
  18. 『太平御覽 』
  19. 『學禮管釋 』
  20. 『韓非子 』
  21. 『花潭先生文集 』
  22. 『皇極經世書 』
  23. 고회민, 『소강절의 선천역학 』, 곽신환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1.
  24. 료명춘. 강학위. 양위현, 『주역철학사 』, 심경호 옮김, 서울: 예문서원, 1994.
  25. 문중양, 「16·17세기 조선 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서경덕과 장현관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 34, 1999.
  26. 박인규, 「대순사상에서의 기론 연구-상제관과 천지공사론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143
  27. 서근식, 「화담 서경덕의 선천역학 연구」, 『한국사상사학 』 47, 2014.
  28. 안동림 역주, 『장자 』, 서울: 현암사, 2010.
  29. 야마다 케이지, 『주자의 자연학 』, 김석근 옮김, 서울: 통나무, 1991.
  30.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 서울: 문사철, 2012.
  31.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 서울: 문사철, 2013.
  32. 이정립, 『대순철학 』, 김제군: 증산교본부 교화부, 1984.
  33. 이창일, 『소강절의 철학-선천역학과 상관적 사유 』, 서울: 심산, 2007.
  34. 장병길, 『천지공사론 』,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89.
  35. 정원재, 「서경덕과 그 학파의 선천학설」,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0.
  36. 황선명, 「근세 한국종교 문화와 후천개벽사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7.
  37. Marcel Granet, La Pensee Chinoise: Chinese Thought, Paris: La Renaissance du livre, 1934.
  38. A. C. Graham, Yin-Yang and the nature of correlative thinking, Singapore: Institute of East Asian Philosophies,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