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thodology of 'Woori Philosophy': an Analysis of this Philosophical Thought Contained in the Jeon-gyeong

『전경』의 사상분석으로 살펴본 '우리철학'의 방법론

  • Lee, Jong-lan (Institute of Woori Philosophy, Chosun University)
  • 이종란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
  • Received : 2018.04.25
  • Accepted : 2018.06.1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Woori Philosophy' is the modern philosophy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hypothetical model of the methodologies used in Woori Philosophy, to analyze and classify this system of thought as it appears in the Jeon-gyeong (『典經』),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s application, and to present the model's methodological best practices. In this paper, I have made a standard for Woori Philosophy by combining existing studies. Thereby, although it is preliminary, I have presented the model as a way of achieving Woori philosophy by analysis and division of this thought in the Jeon-gyeong. As a result, the Jeongyeong's content is organized into an order in frequency which emerges as Model②, Model①, Essential Model, Model④, and Model③. These models can be evaluated to show that the Jeon-gyeong progressively inherited different schools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 while simultaneously characterizing them as Korean in many areas, never ignored the problems of the times or an awareness of the world, and furthermore, did not senselessly or blindly accept foreign objects spread into Korea from 1880~1890. Therefore, the Jeon-gyeong shows a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the implementation of Woori philosophy based on its own historical setting. It can be evaluated as the best practices which took many ideas and made those ideas its own. Through this, I was able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as a methodology of Woori Philosophy and was able to extract its best practices. However, the ideas in the Jeon-gyeong did not directly become Woori Philosophy. To solve our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still an assignment to interpret these idea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If the existing research on Daesoon Thought (大巡思想) is to become Woori Philosophy, then it should do so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철학 방법론의 하나로서 가설적 모델을 만들고, 그것에 따라 『전경』 속의 사상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그 모델 적용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동시에 그 방법론적 모범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우리철학을 이루는 기준을 만들었다. 비록 예비적이기는 하지만 『전경』 속의 사상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우리철학을 이루는 방법으로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전경』의 내용은 그 빈도수에 있어서 <모델②>, <모델①>, <필수모델>, <모델④>, <모델③>의 순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전경』이 전통적 사상을 발전적으로 잇고 있으면서도 많은 부분에서 그것을 한국적으로 특성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또 세계의 인식과 당대의 시대문제를 결코 외면하지 않았고, 더 나아가 개화기에 전파된 외래물물에 대해서도 무감각하거나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경』은 당대를 기준으로 해석해볼 때 우리철학을 함에 있어서 종합적인 방법론을 보여주고 있어, 여러 사상을 취하여 자기 것으로 만든 전범(典範)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이 모델은 우리철학 방법론의 하나로서 그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 거기서 그런 모범적 사례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경』 속의 사상이 곧장 21세기형 우리철학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21세기 우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이 모델을 적용해 해석해야 할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또한 지금까지 대순사상의 연구 성과물에서 우리철학이 될 수 있는지는 해당 연구물을이 모델에 적용·분석해보아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성경』 개역개정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4.
  4.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1
  5. 김교빈, 「우리 철학의 길」, 『동서철학연구』 19-1, 2000.
  6. 김귀만. 이경원,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101
  7. 김성환, 「한국 선도의 맥락에서 보는 증산사상-전북 서부지역의 선맥(仙脈)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8
  8. 김승철, 「대순사상에 있어서 종교다원주의 패러다임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4-1,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4.1.1
  9. 김용환, 「다원주의 시대에서 대순사상의 세계시민성 가치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345
  10. 김 탁, 『증산 강일순』,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6.
  11. 오문환, 「강증산의 해원상생의 의의와 한계」, 『정치사상연구』 4, 2001.
  12. 유병무, 「대순진리회의 목적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183
  13. 윤용복, 「대순진리회 신관념의 특성」,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
  14. 윤용복, 「대순진리회의 후천개벽 세계관」, 『대순사상논총』 27,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1
  15. 윤천근, 『이 땅에서 우리 철학 하기』, 서울: 예문서원, 2001.
  16. 이경원. 백경언,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한 조명」, 『한국종교』 37, 2014.
  17. 이덕진, 「불교철학과 대순사상의 사유체계에 대한 일고찰-우주관·인간관·이상사회관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7
  18. 이명수, 『유가 철학의 욕망 경계와 근대적 분화』, 서울: 다른생각, 2015.
  19. 이병욱, 「한국불교에서 본 대순사상-미륵사상과 삼교회통(조화)사상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5 상,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1.157
  20. 이병욱, 「불교와 대순사상에 나타난 진묵설화의 차이점」, 『대순사상논총』 29,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9.0.141
  21. 이봉호, 「』전경』에 나타난 '미륵'의 성격」,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45
  22. 이승환, 「황색 피부 하얀 가면: 철학의 식민화」, 역사문제연구소 엮음, 『전통과 서구의 충돌』, 서울: 역사비평사, 2003.
  23. 이영금, 「무속사상과 증산사상의 상관성-해원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8, 2014. http://uci.or.kr/G704-001496.2014..28.005
  24. 이종란, 「증산 사상의 철학적 특징-민중의 입장이 반영된 이상세계 건립과 관련하여」, 『인문학연구』 54, 2017.
  25. 이종란, 『의산문답』, 서울: 한설연, 2017.
  26. 이종성, 「대순진리의 도가적 배경에 관한 고찰」,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2
  27. 이철승, 「임중(任重)의 시대정신 발현과 도원(道遠)의 우리철학의 정립 문제」, 『시대와 철학』 20-3, 2009. http://uci.or.kr/G704-000515.2009.20.3.005
  28. 이철승,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1) -근대 전환기 '철학' 용어의 탄생과 외래철학의 수용 문제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2, 2016. http://uci.or.kr/G704-SER000012761.2016..52.004
  29. 정규훈, 「한국근대종교의 사상과 실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30. 정세근, 「한국에는 현대철학이 있는가?」, 『인문논총』 72-2, 2014. http://doi.org/10.17326/jhsnu.71.2.201405.389
  31. 정세근,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대동철학』 76, 2016. http://doi.org/10.20539/deadong.2016.76.010
  32. 조재국, 「증산교의 역사와 사상」,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2, 1998.
  33. 주잔옌(朱展炎), 「두 가지 해원사상 비교-대순사상과 도교문헌을 중심으로 비교고찰」, 『대순사상논총』 24-2, 2015. http://doi.org/10.25050/jdaos.2015.24.2.1
  34. 최영진, 「대순사상의 역학적 조명-종지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3
  35. 황의동, 「대순사상의 유교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9
  36. 황준연,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대순사상논총』 20, 2009.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9.20..004
  37. 조선대학교 누리집 (접속일: 201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