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KSCS)
- Annual
Domain
- Cognitive/Emotion and Sensibility Sciences > Cognitive Science
2006.06a
-
최근 수년간 한국어를 위한 어휘의미망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지만, 그 결과물을 어떻게 평가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클러스터링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어휘의미망에 의해 확장되기 전후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였다. 단어클러스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된 학습 데이터는 신문 말뭉치 기사로 총 68,455,856 어절 규모이며, 특성벡터와 벡터공간모델을 이용하여 시스템A를 완성하였다. 시스템B는 구축된 '[-하]동사류' 3,656개의 어휘의미를 포함하는 동사어휘의미망을 포함하여 확장된 것으로 확장대상정보를 선택하여 특성벡터를 재구성한다. 대상이 되는 실험 데이터는 '다국어 어휘의미망-코어넷'으로 클러스터링 결과 나타난 어휘들의 세 번째 층위까지의 노드 동일성 여부로 정확률 검수를 하였다. 같은 환경에서 시스템A와 시스템B를 비교한 결과 단어클러스터링의 정확률이 45.3%에서 46.6%로의 향상을 보였다. 향후 연구는 어휘의미망을 활용하여 좀 더 다양한 시스템에 체계적이고 폭넓은 평가를 통해 전산시스템의 향상은 물론, 연구되고 있는 많은 어휘의미망에 의미 있는 평가 방안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본고는 한국어 교육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를 대상으로 한문제 출제 방식에서 문제 은행식 출제 방식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한국어 어휘 학습 시스템을 위한 자동문제 생성 기술을 제시한다. 먼저 기존 한국어 어휘 문제의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8가지 어휘력 평가 유형 및 각 유형별 자동 문제 생성 패턴을 구축하고, 한국어 어휘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국어사전을 기반으로 한 자동 한국어 어휘 문제 생성 기술을 제시한다.
-
이 논문은 국어 간투사 '아'와 '어'의 운율 유형을 살펴보고, 그 운율 유형이 담화상의 기능과 어떤 연관을 갖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간투사의 지속 시간은 후행 발화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지면 '아'의 경우 '어'보다 뒤에 강세구가 더 많이 형성되는 양상을 보였다. '아'는 강세구 성조 LLa, LHa, 또는 경계 성조 L+L%, L+HL%로 나타났으며, '어'의 경우 경계 성조만 L+L%, L+HL%, HH%으로 나타났다. 두 간투사 모두 발화 상황이나 현재 상황에 대한 의외성이 클수록 발화 지속 시간이 짧고, 구 성조나 경계성조가 고조로 나타난다. 반대로 화자가 발화를 이해하는 정도가 깊고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상기한다거나 오해를 해결했을 경우, 발화 지속 시간이 길어지고, 운율은 저조에서 수평조로 형성된다.
-
Pattern-based Extraction of Causal Relations from Korean Patent Documents with Two Types of Criteria인과관계는 인간의 인지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얻은 인과지식은 해당 분야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이들 분야 문서들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분야의 특허 문서들로부터 얻은 인과 지식을 획득하기 위하여, 문장 내에 나타나는 인과쌍들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인과관계를 수동으로 태깅하고 관찰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태깅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인과쌍의 추출은 패턴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표적과 방해자극을 분리시킬 때 관찰되는 간섭 감소가 반구내 및 반구간 조건에서 달리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의 과제는 모두 색깔이 있는 원과 사각형이 주어지고 항상 검은색으로 제시되는 색 이름 단어가 주어진 상황에서 원의 색은 무시하고 사각형의 색과 단어가 의미하는 색이 같은지, 다른지를 판단하는 것이었다. 사각형의 색이 단어가 의미하는 색과 일치할 때 방해자극인 원의 색도 단어가 의미하는 색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방해자극의 세 조건(일치, 불일치, 중립)이 만들어졌다. 또한, 방해자극인 원이 표적 가운데 하나인 단어와 같은 시각장에 제시되는지, 혹은 반대편 시각장에 따로 제시되는지에 따라 반구 간섭조건(반구내 간섭, 반구간 간섭)이 만들어졌다 간섭효과는 불일치 조건과 중립 조건간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정확률과 반응시간 모두에서 반구내 간섭이 반구간 간섭보다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방해자극인 원을 선제시하였는데 그 결과 반구내 간섭이 특히 크게 감소하여 반구내 간섭과 반구간 간섭이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표적자극인 사각형을 선제시한 실험 3에서는 반구내 간섭이 여전히 반구간 간섭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방해자극의 간섭 효과는 방해자극을 표적과 다른 반구로 분리 제시하거나, 선제시 같은 방법으로 방해자극을 표적과 분리시킬 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애초부터 방해자극을 표적과 다른 반구로 분리 제시하였던 반구간 간섭조건에서는 방해자극의 선제시가 간섭 감소를 가져오지 않았다. 지질의 산패를 가속화시킨 결과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호박 라면 제조시 이러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킬 수 있는 포장재료를 선택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0.05),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자체를 악하다고 볼 수 없고 더구나 구원을 이 세상에서의 이탈로 볼 수 없다. 진정한 구원이란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웠던 그 세상으로의 회복을 포함한다. 이런 면에서 하나님 주권 신앙 하에서 구원이란 전 인격적인 구원, 전 우주적인 구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도는 세상의 삶과 학문, 예술, 정치, 경제, 사회를 포함한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와 K. pneumonia
-
본 논문은 어휘판단과제(LDT: Lexical Decision Task)시 나타나는 여러 언어현상 중 단어빈도효과(word frequency effect)와 단어유사성효과(word similarity effect)를 한국어에 적용시켜 인간과 계산주의적 모델을 통해 실험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인간과 계산주의적 모델 각각 한국어에 대해 단어빈도효과와 단어 유사성효과를 보였으며, 인간의 실험결과와 계산주의적 모델의 결과가 유의미한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
A modifiedPosner cue-target paradigm in which neutral, positive and negative (threat) words were presented in peripheral location for c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ngagement component of attention across emotional valence and anxiety level of participants. Result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xiety level of participants and emotional valence of cue in valid trial. This indicates that the engage component of attention is not encapsulated and influenced by anxiety level of participant.
-
본 연구는 단기종단연구로 4세와 5세 아동의 읽기, 받아쓰기와 자모 지식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아동들을 시기 1에서 측정한 7개월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에서, 시기 1(T1)에 측정한 단어 읽기가 시기 2(T2)의 자음 이름과 자음 소리 지식을 예측하였다. 반면에 초성탈락, 숫자명명, 단어읽기가 모음 소리지식을 예측하였다. T2의 한글읽기를 예측하는 변인은 T1 한글읽기와 자음이름이었다. 반면에, 모음소리 지식과 초성탈락은 한글단어의 받아쓰기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본 결과는 한글 자음과 모음 지식의 발달양식이 다르며, 이들이 한글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역할이 다른 것을 시사한다.
-
본 실험은 한국어 심성어휘집의 표상 정보가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철자정보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자극은 한국어의 2음절 단어 중 음운변화(자음동화)를 겪는 단어(예: 국민)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은 철자이웃이 크며 음운 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이 크고 음운이웃은 작은 단어 조건(O+P-), 철자이웃은 작고 음운이웃이 큰 단어 조건(O-P+), 철자이웃과 음운이웃 모두가 작은 조건(O-P-)이었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결과, 음운이웃 크기와 철자이웃 크기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실험2는 동일한 실험자극을 사용한 fMRI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2 결과 음운처리에 관련된 뇌영역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어의 경우 심성어휘집이 음운정보로 이루어져 있음을 시사한다.
-
We examined the cerebral activation of the emotional and linguistic attributes during the visual word recogn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affective priming effect preserving the behavioral paradigm. We used the primed-evaluation task in which the participants classify the target as positive or negative, and manipulated the emtional attributes by emtional relations of the prime-target word pairs(PP, PN, NP, NN). ROIs analyses for the semantic processing and emotional processing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mantic processing areas including the IPL, SMG, and aSTS were activ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activations of the IPL were increased only on the NN condition, whereas the activation of the SMG was decreased only on the PP condition. Furthmore, the activation of the emotional processing areas including the mPFC and ACC,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motional realtions of word pairs. Similar to the SMG, the BOLD signal of the mPFC was decreaed only on the PP condition, whereas the activation of ACC was Increased only on the NN condition. These results were seemed to show the interact ive cerebral activations for processing the emtoional and linguistic attributes in a word,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
To date,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regarding the cerebral activation of Korean language. There need the database for Korean language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alphabetic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brain activation of picture naming, word reading, picture-word matching, and semantic categorization in Korean language.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cortical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semantic demand for the above tasks.
-
본 연구는 한국어 어휘중의성 해결과정에 관련된 대뇌활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MEG(magnetoencephalography)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로 기존의 중의성 관련 fMRI 실험 결과들이 MEG를 이용한 신호원 국소화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본 실험의 주요 목적인 중의성 관련 처리과정에 기저하는 하위 처리과정이 어떠한 기능적 처리 요소들로 분해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시간 해상도가 높은 MEG의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중의어 해소과정의 하위처리 과정은 어휘의미 접속이라는 기본적인 과정 비에, 이들의 의미분지를 유발하는 단서의 유무가 그 활성화 영역의 시간적인 패턴과 중의성 해결을 위한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현재까지 제안된 자동 띄어쓰기 교정 모델들은 그 중의 대다수가 입력 문장에서 공백을 제거한 후에 교정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교정 방식은 입력 문장의 띄어쓰기가 잘 되어 있는 경우에 입력 문장보다 좋지 못한 교정 문장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문장의 띄어쓰기를 고려한 자동 띄어쓰기 교정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입력 문장의 음절단위 띄어쓰기 오류가 5%일 때 약 8%의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10%의 오류가 존재할 때 약 5%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본 논문에서는 미등록어 처리가 강화된 복합명사 분석 기법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복합명사 내에 한국어나 외래어의 미등록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분석을 시도한다. 따라서 등록어로 구성된 복합명사에 대해서도 미등록어가 포함된 분해 후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는 분해 후보의 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미등록어의 분류에 따라 미등록어로서의 가능성 여부의 판별 및 제거, 분해 후보 상호간의 견제에 의한 제거 등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정답 후보 선택시에도 영향을 미쳐 정답이 아닌 분해 후보가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험 결과 제시된 기법들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고유명사 약어 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원어로부터 약어가 생성되는 방식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 한 후 각 유형에 따라 가능한 약어의 후보들을 생성하여 원어, 약어 후보 쌍을 수집하고, 수집 된 각 쌍에 대하여 확률적모형에 근거, 실제 사용되는 원어, 약어 쌍을 선별하여 사전에 등재함으로써 자동으로 사전을 구축 할 수 있도록 한다.
-
목적 지향 대화에서, 사용자의 의도는 화행(speech acts)과 개념열(concept sequences)로 나타낼 수 있다. 화행은 대화의 영역과는 상관없이 표현되는 정보이고, 개념열은 영역과 깊은 관련을 지닌 정보이다. 대화시스템에서 화행과 개념열로 구성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발화에 정확히 응대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관리 영역에서의 대화를 대상으로 화행과 개념열을 분류하고 신경망을 사용하여 이들을 분석한다. 화행과 개념열로 구성되는 의도 분석에 사용하는 자질은 크게 문맥 자질과 문장 자질로 분류되며, 문장자질은 카이제곱 통계량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 분석에 효과적인 자질만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문맥자질로는 이전 발화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다. 신경망을 사용하여 사용자 의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이 논문의 목적은 문맥과 해석이 1 대 1 대응을 갖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먼저, 문맥이 등위접속문의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두 차례에 걸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문맥이 등위접속문의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입증한다. 실험 결과의 논의에서는 등위접속문의 처리시간을 단축하는 문맥효과를 해석과 연결하여 살펴본다. 첫째로, 문맥은 등위접속문의 수없이 많은 가능한 해석 중에서 하나의 가능한 해석만을 선택한다. 즉, 문맥은 해석 선택 장치로서 등위 접속문의 처리 시간을 단축한다. 둘째로, 문맥은 등위접속문의 연역과정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문맥은 추론제거장치로서 등위접속문의 처리시간을 단축한다. 해석선택장치로서의 문맥과 추론제거장치로서의 문맥은 문맥과 해석이 1 대 1 대응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
전문용어의 용례는 일반용어의 용례와 다르게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전 및 시소러스와 같은 자원이 부족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전문용어의 용례를 벡터를 이용한 표현을 통해 더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전문용어의 자료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대체적 자원으로 웹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최대 30%의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게다가 제안한 시스템에의 추출된 전문용어의 용례는 다른 자연어 처리 응용을 위한 보완적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1996년 등장한 이후, 기존의 정보를 XML 기반으로 나타내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자원(language Resource)과 관련된 분야는 80년대부터 그 연구가 있었으나, XML의 등장 이후, 보다 다양하고 특화된 영역의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한 연구결과가 최근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야 중 전자사전을 표식(markup)하는 XML기반 표준언어인 LEXml(Presentation/Representation of Entries in Dictionaries: LEXml)에 대하여 살펴보고, 기존에 XML로 구축된 전자사전을 LEXml로 변환하여, 그 구조의 확장성과 유효성을 검증할 것이다. 기반자료로써 2000년도에 구축된 MultiDICO의 불어 정보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MultiDICO의 XML문서 구조와 LEXml 구조 사이의 각 요소(element)별 대응표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XSL(Extensible Style sheet Language)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LEXml이 기존에 구축된 전자사전들을 표식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계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적 유연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Sohn, Hyo-Jeong;Jung, Jae-Beom;Pyun, Sung-Bum;Song, Hui-Jin;Lee, Jae-Jun;Min, Sung-Ki;Chang, Yong-Min;Nam, Ki-Chun 119
문자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개체 중 하나로 사람이 문자를 인식할 때, 글자의 크기나 모양, 위치, 글 자체 등의 매우 다양한 지각적인 변화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는 문자에 대한 처리가 다른 사물과는 다소 다르게 일어나며 머릿속에 추상적인 형태(abstract form)로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시각단어재인 과정에서 어휘 지식에 접근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여겨지면서 이와 관련된 대뇌 영역의 국재화 양상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시각단어재인에 있어 Cohen과 Dehaene 등이 'visual word form area'주장하고 있는 좌측 ventral occipito-tempoarl region의 대뇌 활성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좌측 'VWFA'는 어휘의 친숙성에 우뇌의 대측 지점은 어휘성(lexicality)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장들을 연결하여 흐름을 조직하고 말로 산출하고 전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야기는 이러한 문장들이 연결되어있는 것으로, 종속적이거나 나열적인 이야기 특성은 의사소통장애인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특성에 따른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이야기 이해 및 산출의 능력을 알아보고, 이해과제 수행이 산출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이야기 종류로는 시간적 나열 이야기와 인과적 관계 이야기, 유머가 있는 이야기를 사용하였으며, 사실적 정보, 텍스트 추론, 빠진 정보추론 등 세 가지의 이해과제를 통하여 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산출능력은 이해과제 전과 후에 CIU 비율로 질적인 측면을 측정하고, 분당어절 수를 이용하여 양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해측면은 세 가지 이야기 모두 사실적 정보에 대한 이해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오류의 형태는 추론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산출에서는 인과적 관계이야기에서의 CIU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해과제 전, 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CIU 비율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분당 어절수에서는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야기의 종류에 따라서 유창성 실어증화자의 산출과제의 수행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해과제의 수행이 산출과제에서 양적인 증가는 가져왔으나 질적인 수준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