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Processing of Siji(試紙) in the Mid-19th Century - Focusing on Lee Mangi's Sigwon(試卷) -

19세기 중반 시지(試紙)의 가공 사례 연구 - 이만기(李晩耆) 시권(試卷)을 중심으로 -

  • CHUN Jiyoun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 OH Joonsuk (R&D Center, Thinkpeople Corporation)
  • 전지연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 오준석 ((주)싱크피플)
  • Received : 2024.06.18
  • Accepted : 2024.08.0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e test answer sheets submitted by examinees in the Joseon Dynasty were called Sigwon (test papers with answers, 試卷), and Siji (blank test papers, 試紙) were generally prepared by the examinees themselves. At that time, paper was not produced as a standard product, so there was no uniformity in size or manufacturing method. Mulberry paper in the Joseon Dynasty was basically transparent, so various paper processing methods were applied for examinees to write answers on both sides. In order for ink lines to be written smoothly, Dochim (hitting paper with a wooden bat on the stone, 搗砧) or surface processing was treated. We found a 19th-century Siji (試紙) that was processed in a unique way, which led to this study. An unusual Sigwon (試卷) is one by Lee Mangi (李晩耆) from 1848 own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e found that an opaque white substance was thickly applied between the papers of this Siji (試紙). Through component analysis using infrared spectrophotometry, fluorescence X-ray spectroscopy, optical and polarizing mic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this white substance was proved to be rice starch. From these analyses, it is presumed that this Siji (試紙) was made by soaking rice flour in water to remove a significant amount of protein, and then applying wet starch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protein between sheets of paper. In addition, with a Siji (試紙) reproduction experiment, we found that the paper reproduced by this processing method was thick and high in whiteness and opacity. This is believed to be a production method designed to produce double-sided paper without using multiple sheets of paper, which was difficult to obtain at that time. In this study, the material processed between the sheets of paper was disclosed only from < Lee Mangi (李晩耆)'s Sigwon (試卷)(Minsok 71745)>, but this appears to be one of several processing methods to treat the paper during the Joseon Dynasty. We hope that more similar Sigwons will be discovered in the future and that extensive research on processing methods will be conducted.

조선시대 과거 응시자들이 제출한 답안지 혹은 채점지를 시권(試卷)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시지(試紙)는 응시자 본인이 마련했다. 당시 종이는 규격 제품으로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기 면에서나 가공 면에서 시지의 통일성이 없었다. 기본적으로 조선의 닥지는 낮은 불투명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권의 특성상 지면이 부족할 경우 뒷면까지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이 가공법이 필요했다. 먹선이 매끄럽게 그어지도록 도침(搗砧)을 하거나 종이 표면에 가공을 하기도 했는데, 이와 다른 특이한 가공법을 적용한 19세기 시지가 있어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이한 시권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848년 이만기(李晩耆) 시권으로, 시지의 종이 사이에서 두껍게 도포된 불투명한 백색 물질이 발견되었다. 적외선분광광도계, 형광X-선분광기, 광학 및 편광현미경, 전자현미경 등 성분 분석을 통해 이 백색 물질은 쌀 전분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이만기 시지는 쌀가루를 물에 수침하여 단백질을 상당량 제거한 후, 미량의 단백질이 포함된 습전분을 종이 사이에 도포하여 시지를 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시지 재현 실험을 통해 이러한 가공법으로 재현한 시지는 두껍고 백색도 및 불투명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당시 구하기 힘든 종이를 여러 장 사용하지 않아도 양면 사용이 가능한 양질의 종이를 얻을 수 있게 고안된 제작법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만기 시권(민속 71745)>만으로 시지 사이의 가공 물질을 밝혔으나, 이는 조선시대 시지 가공의 여러 가지 가공법 중의 하나로 보인다. 추후 유사 가공의 시지가 더 발견되어 시지 가공법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농업과학원, 2021,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10개정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pp.34~46.
  2. 국립민속박물관, 2013, 「이동영 기증 특별전 초산부사 이만기의 만인산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p.6.
  3. 김동석, 2021, 「조선시대 선비의 과거와 시권」, 한국학중앙연구원, pp.56~57.
  4. 한국표준심의회, 2019, 「한국산업표준, 점착테이프- 박리 접착 특성의 측정」, 한국표준협회, pp.1~10.
  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5, 「시권, 국가경영의 지혜를 듣다」, 한국학중앙연구원, p.48, 324.
  6. Horie, C. V. 1987. 'Starch', Materials for Conservation, Organic consolidants, adhesives and coatings, Butterworth-Heinemann, pp.135-141.
  7. Perez, S., Baldwin, P. M., and Gallant, D. J. 1984. 'Structural Features of Starch Granules I', Starch, Chemistry and Technology, Third Edition, BeMiller, J. and Whistler, R. Eds., Academic Press, p.150.
  8. 김동석, 2013, 「조선시대 시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4.
  9. 금준석.이상효.이현유.김길환.김영인, 1993, 「제분방법이 쌀가루의 입자크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5(5), 한국식품과학회, pp.541-545.
  10. 박현순, 2012, 「조선후기 試券에 대한 고찰- 試種別 試券의 특징을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41, 한국고문서학회, pp.164~165.
  11. 전지연, 2002,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8, p.48.
  12. Litvyak, V. 2018. 'Size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native starch granules of different botanical origin', Ukrainian Food Journal 7(4), pp.563-576.
  13. Warren, F. J., Warren, Gidley, M. J., and Flanagan, B. M. 2016. 'Infrared spectroscopy as a tool to characterise starch ordered structure-a joint FTIR-ATR, NMR, XRD and DSC study', Carbohydrate Polymers 139(30), pp.35-42.
  14. 전희진, 2021.11.17., 「과거시험에 쓴 전통한지, 제조법 밝혀졌다」, 「국민일보」(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18492).
  15. "시권(試卷)".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4년 5월 29일 접속(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318).
  16. "동당시(東堂試)".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4년 5월 29일 접속(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6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