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for the Stone Properties of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Korea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석재의 암석학적 분류와 산지해석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San H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O Young Hoon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강산하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 조영훈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4.04.08
  • Accepted : 2024.08.0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Syenite is the name of a rock that has been used since ancient Roman period, but it is not widely distributed worldwide, and cases of its use as a material for Korean stone cultural heritages are very rare. However,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of Sancheong, is composed of syenite, and each stone property has very similar rock phases, mineral compositions, grain sizes, colors and magnetic susceptibilities, indicating that they are all stones of the same rock series. Outcrops of syenite are relative widely distributed in the Beomhak-ri area, and it was mined for use as building stones until recently. This rock is almost identical in overall colors, occurrences, and mineralogical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to that of the stone pagoda, and the geochemical evolution trends of the rocks are also very similar. In addition, numerous quarrying traces were identified in the same rock around the Beomhaksaji Temple site. In this way, the original stone properties of the Beomhak-ri Stone Pagoda were determined to be syenite because precise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was possible, the syenite was distributed around the temple site, and ancient quarrying traces were scattered in the same rocks.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Beomhak-ri Stone Pagoda was processed and constructed using self-sufficient stone materials from the temple site area.

섬장암은 고대 로마시대부터 사용하던 암석명이나 세계적으로도 분포지가 넓지 않으며, 국내에도 산청과 강원도 일대를 중심으로만 산출된다. 국내 석조문화유산의 재료로 사용한 사례도 매우 희소한 석재이다. 그러나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은 섬장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재별로도 아주 유사한 암상, 광물조성, 입도, 색상 및 대자율을 갖는 것으로 보아 모두 동일 계열의 암석임을 알 수 있다. 범학리 일대에는 섬장암의 노두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며 이를 최근까지 석재로 활용한 광산도 있다. 이 암석은 석탑의 석재와 전체적인 색과 산출상태 및 암석광물학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며, 지구화학적 진화경향도 아주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범학사지 일대의 동종 암석에서는 다수의 채석흔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의 원석재가 섬장암으로 판명된 것은 정밀한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과 산지해석이 가능했고, 범학사지 주변에는 섬장암이 분포하고 있으며 동일 암석에서는 고기의 채석흔이 산재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은 사지 주변에서 석재를 자급자족해 가공과 조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진주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을 명기하며, 위 기관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에 감사드린다.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비파괴 기술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pp.6~9.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경상남도의 석탑」 I, p.17.
  3. 김사덕.이정은.이동식.이찬희, 2011, 「익산 미륵사지석탑 복원을 위한 대체석의 동질성 검토」, 「보존과학회지」 27(2), pp.211~222.
  4. 김선우.황가현.좌용주, 2015, 「포천 늘거리 유적 석기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 및 산지추정」, 「암석학회지」 24(1), pp.1~10.
  5. 김옥준.박희인.김기태.홍만섭.박양대.윤선, 1964, 「한국지질도 산청도폭(1:50000) 및 설명서」, 「경상남도」, p.28.
  6. 김희경, 1968, 「한국탑파연구자료」, 고고미술동인회. pp.1~11.
  7. 문화재청, 2019,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pp.4~20.
  8. 양희제.이찬희.최석원.이명성, 2006, 「익산 미륵사지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2), pp.293~306.
  9. 이미혜.이찬희, 2009,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석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원산지 및 운반경로 해석」, 「지질학회지」 45(6), pp.725~739.
  10. 이찬희.김란희.어언일, 2014, 「한반도 중서부 청동기시대 유물의 융합과학적 연구: 서산 신송리유적 석기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보존과학회지」 30(2), pp.205~217.
  11.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2010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3), pp.4~25.
  12. 이찬희.김성태.채우민.박준형, 2023,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및 석등의 암석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39(1), pp.36~53.
  13. 이찬희.김영택.이명성, 2007,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2), pp.183~196.
  14. 이춘오.홍세선.이병태.김경수.윤현수, 2006, 「국내 석재산지의 지역별 분포유형과 특성」, 「암석학회지」 15(3), pp.154~166.
  15. 조영훈.이명성.최기은.이찬희, 2011, 「공주 중동 및 반죽동 석조의 정밀 손상도 진단과 복원석재 제안」, 「문화재」 44(3), pp.92~111.
  16. 조영훈.이찬희.유지현.강명규.김덕문, 2012, 「숭례문 육축 구성석재의 암석학적 분류와 원산지 해석」, 「문화재」 45(3), pp.174~193.
  17. 좌용주.김건기.고석배.김종선, 2006,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 15(3), pp.128~138.
  18. 지강이, 2006,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의 관련 사지 조사」, 「석당논총」 37, pp.75~110.
  19. 한국문물연구소, 2006, 「산청 범학리 폐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p.37.
  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 「하동-산청-합천지역 심성암체의 티타늄과 장석자원 탐사 및 광상평가」, 「산업통상자원부」, pp.1~50.
  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0, www.kigam.re.kr.
  22. 홍세선.윤현수.이진영.이병태.이효민.송치영, 2006,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암석학회지」 15(3), pp.139~153.
  23. 황상구.김유봉.황재하, 2014, 「울릉도 화산암류의 암석계열과 암석분류」, 「지질학회지」 50(1), pp.61~70.
  24. 황수영.이양수.이소령.강희정.이기성, 2014, 「일제기 문화재 피해자료」, 「국외소재문화재재단」, pp.275~277.
  25. Capedri, S. and Venturelli, G., 2003, 「Trachytes employed for funerary artefacts in the Roman Colonies Regium Lepidi (Reggio Emilia) and Mutina (Modena) (Italy): Provenance inferred by petrographic and chemical parameters and by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4, pp.319~328.
  26. Henderson, P. and Pankhurst, R.J., 1984, 「Analytical Chemistry, In: Henderson, P.(ed),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evier」 Amsterdam, pp.467~499.
  27. Ishihara, S., 1998,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8, pp.219~224.
  28.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pp.745~750.
  29. Le Maitre, R.W., 1984, 「A proposal by the IUGS subcom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for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 silica (TAS) diagram」, 「Americ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1, pp.243~255.
  30. Lee, C.H., Kim, J.,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pp.31~44.
  31. Neuendorf, K.K.E., Mehl, J.P.Jr., Jackson, J.A., 2005, 「Glossary of Geology. The 5th Ed.」,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Alexandria, Virginia, p.779.
  32. Nockolds, S.R., Allen, 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p.1007~1032.
  33. Park, J.H., Lee, C.H., Chun, Y.G. and Kim, H.S., 2021,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of alternative stone for restoration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in Vat Phou, Lao PDR」,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80(795), pp.1~14.
  34.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Shiva, pp.230~249.
  35. Taylor, S.R.,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p.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