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Sheet Music Featuring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with Lyric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 Focusing on Light Blue Pigment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

한중영문중국판 한국애국가 악보의 분석 및 보존 - 밝은 청색안료 분석과 보존처리를 중심으로 -

  • BAE Sub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Ser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Hanhyoung (Lee&Song Technology for Cultural Heritage) ;
  • JEONG Hee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배수빈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
  • 박세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이한형 (이송문화유산기술) ;
  • 정희원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24.06.30
  • Accepted : 2024.08.0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Sheet Music of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with Lyric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is a four-sided sheet of paper folded in half. It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on November 12, 1945, by Kim Ku, the presid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sheet music was published in three languages and is a valuable document for researching the evolution of the anthem and its history. Although it was published in large quantities at the time, it is currently known as the only in Korea and has been designated and managed as a national registered heritage. The sheet music was not significantly damaged, but discoloration and physical damage suggested raised the ne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A pre-treatment examination of the conservation condition revealed that the artifact was received on archival film and had been folded in half for many years, leaving it vulnerable to tear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olds and partial wear and tear at the edges. In addition, the pigments us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had discolored and transferred to the opposite side. Portable X-ray fluorescence (XRF)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igments used in the sheet music cover, specifically focusing on red, black, and light blue pigments. Titanium (Ti) was detected in the light blue pigment, characterized by a powdery coloring layer. The remaining colors in the printed form were difficult to sample and could not be analyzed further. The light blue sample underwent additional analysis using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and Raman spectroscopy. Cross-validation of the results with the artifact's historical context suggested that the bright blue color observed in the 1945 sheet music is likely due to the use of anatase white pigment, rather than rutile. Furthermore, the bright blue pigment is believed to be a blend of phthalocyanine blue, a synthetic pigment introduced in 1936. Fiber analysis revealed longitudinal striations in the hemp fibers and twists in the cotton fibers, suggesting that the paper was made from a mixture of cotton and hemp fib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ondition survey,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artifact focused on minimizing moisture to avoid stressing the paper and reinforcing the physically vulnerable areas. The reinforcement paper was dyed to match the base of the artifacts, pre-coated repair paper was used for conservation, and appropriate folders and boxes were made for storage after treat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al resource on the materials us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한중영문중국판 한국애국가 악보는 종이 1장을 반으로 접어 4면으로 이루어진 악보로 1945년 11월 12일 임시정부 주석 김구에 의해 국내에 처음 알려졌다. 악보는 3개 국어로 출판되었으며, 애국가의 변천 과정과 역사성 연구에 있어 가치가 높은 기록물이다. 당시에는 다량으로 출판된 악보지만 현재 국내에서 유일본으로 알려져 국가등록유산으로 지정되어 관리되었다. 악보는 크게 손상된 곳은 없으나 변색과 물리적 손상으로 보존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처리 전 보존 상태를 조사한 결과, 기록물 보관 필름에 보관된 상태로 유물을 인계받았으나 오랜 기간 반으로 접어 보관된 악보는 접힌 부분의 상·하단 찢김과 가장자리 영역에서 부분적인 마모와 결실로 취약한 상태였다. 또한 양면에 사용된 안료의 전색제 영향으로 반대 면에 변색 및 전사되는 상태였다. 휴대용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여 악보 표지에 사용된 적색, 흑색, 밝은 청색 안료를 분석하였으며, 분말형 채색층이 형성된 밝은 청색에서 티타늄(Ti)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 형태의 나머지 색상에서는 시료 채취가 어려워 추가 분석이 불가능했다. 밝은 청색에서 나온 시료를 중점으로 XRD, SEM-EDS 및 라만 분광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유물의 연대와 해당 안료에 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교차 검증했다. 1945년에 제작된 악보의 밝은 청색은 루타일(Rutile)이 아닌 아나타제(Anatase) 백색 안료를 사용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청색 안료는 1936년에 처음 만들어진 프탈로사이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를 혼합하여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바탕 종이의 섬유분석 결과, 마섬유의 횡문(Longitudinal striation)과 면섬유의 꼬임(twist)이 관찰되어 면섬유와 마섬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종이로 확인되었다. 상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물의 보존처리는 최소한의 수분을 가하여 종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중심으로 보강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유물 바탕에 맞게 보강지를 염색하고 보강지(Pre-coated Repair paper)를 이용하여 보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처리 후 알맞은 폴더와 상자를 제작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는 근·현대기록물에 사용된 재료들에 대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 조사연구(R&D)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과제번호:NRICH-2405-A29F-1).

References

  1. 김다슬.김은아.김규호, 2023, 「근대건축물에 도장된 페인트의 재료적 특성 비교 분석: 서울 기상관측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9(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572~588.
  2. 김원모, 2018,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의 애국가(윤치호 작사, 안익태 작곡) 국가(國歌) 제정」, 「춘원연구학보」 12, 춘원연구학회, pp.261~345.
  3. 김정흠.박혜선.임성진, 2017, 「유화물감의 재질적 특성 비교 연구 (I)」, 「보존과학회지」 33(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85~95.
  4. 권희홍.김정흠.한예빈, 2016, 「야외 페인팅 조각의 보존처리를 위한 기초조사 -니키 드 생팔 '검은 나나'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2(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333~343.
  5. 박원호, 2016, 「1945년 중경임시정부 발행 한국애국가의 현대적 의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4,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pp.41~72.
  6. 배수빈.양민정.권윤미.유지현.정희원, 2021, 「몽골 숨 톨고이 출토 지류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37(6),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723~737.
  7. 최소연, 2016, 「양지 보존처리와 전시 방법」, 「고암논총」 5, 이응노미술관, pp.95~117.
  8. 천주현.김성희, 2001, 「지류문화재(紙類文化財)의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3, 국립중앙박물관, pp.21~27.
  9. 이나라.유영미.김소진, 2023,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의 채색 재료 분석을 위한 휴대용 라만 분광기의 적용성 연구」, 「문화재」 56(4), 국립문화재연구원, pp.216~228.
  10. Clark, R.J., 2002, 「Pigment identification by spectroscopic means: an arts/science interface」, 「Comptes Rendus Chimie」 5(1), pp.7~20.
  11. I.A. Balakhnina, A.Yu. Chikishev, N.N. BrandtI.A., 2024, 「Raman spectroscopy of thermo- and laser-induced transformations of gouache paint layer of copper phthalocyanine blue」,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318, pp.1~9.
  12. Suzanne Quillen Lomax, 2005「Phthalocyanine and quinacridone pigments: their history, properties and use」, 「REVIEWS IN CONSERVATION NUMBER」 6, pp.19~30.
  13. S. Al-Taweel, H. R. Saud, 2016, 「New route for synthesis of pure anatase TiO2 nanoparticles via utrasoundassisted solgel method」, 「Journal of Chemical and Pharmaceutical Research」 8(2), pp.620~626.
  14. 서태수.변윤섭.김영순.박윤창.김동표, 2001, 「안료 화학」, 학술정보, pp.63~69, 140~144.
  15. Nicholas Eastaugh, Valentine Walsh, Tracey Chaplin and Ruth Siddall, 2004, 「The Pigment Compendium :A dictionary of historical pigments」,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pp.12, 298, 299, 364~366.
  16. 김명섭, 2015.1.22, (4)재외독립지사들의 귀국, 새로 쓰는 대한민국 70년, 조선일보,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