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참고문헌
- 강철희.박태근.이수연, 2017, "소득 수준별 기부 행동 변화에 관한 연구: 자선적 기부 참여 확률 및 규모 추정", 「한국사회정책」, 24(1), 1-31.
- 고우림.조영태.차영재.장대익, 2020, "한국 합계출산율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인구밀도",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3(2), 129-153.
-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19(1), 119-149.
- 김동현.전희정, 2021,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환경요인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2), 303-336.
- 김영수, 2022, "초광역권에 기반한 지역의 산업혁신 전략", 「월간 KIET 산업경제」, 281, 51-64.
- 김은경.박신애, 2019, "후속 자녀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특성 및 지역사회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7), 443-454.7.
- 김은정, 2016, "영아기 양육지원 인프라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7, 76-90
- 김형용, 2013, "지역사회 불평등과 자녀 교육투자: 근린사회효과를 중심으로: 근린사회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6, 109-133.
- 도난영.최막중, 2018, "지역주택가격이 결혼연령 및 첫째, 둘째 자녀 출산시점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26(2), 163-189.
- 류덕현, 2007, "출산율과 여성노동공급에 대한 거시적 실증 분석", 「공공경제」, 12(1), 39-74.
- 류연규, 2005, "복지국가의 아동양육지원제도가 출산율에 미친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사회보장연구」, 21(3), 233-262.
- 문영만, 2022,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7개 권역과 노동시장 격차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30(4), 55-77.
- 문정희.최청락.김하진, 2016, "출산친화적인 지역사회 환경구축 방안", 연구보고서, 1-192.
- 박관태.전희정, 2020, "인구규모에 따른 지역 간 출산율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4), 67-99.
- 박서연, 2019, "신혼부부의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HLM 을 활용한 신혼부부의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HLM 을 활용한 신혼부부의 주거특성과 지역특성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35(1), 59-72.
- 박성익.조장식, 2016, 표본선택 편의를 반영한 임금결정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5), 1317-1325.
- 박진백, 2021, "주택가격과 사교육비가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영향과 기여율 추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7(4), 65-92.
- 배호중, 2019,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2000 년 이후 혼인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50(1), 35-70.
- 배호중.강시온.한창근, 2020, "첫 일자리 특성이 혼인에 미치는 영향-4 년제 대졸자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4), 93-124.
- 서미숙, 2013,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10(1), 63-79.
- 성낙일.홍성우, 2008,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응용 경제」, 10(3), 183-212.
- 송유진, 2014,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3), 339-347.
- 양정호, 2005,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종단적 연구-한국노동패널조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121-145.
- 양혜선.서원석, 2020, "서울시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지적과 국토정보」, 50(1), 125-141.
- 오유진.박성준, 2008, "저출산의 경제학적 분석", 조한국경제학보 연세대학교.
- 오지혜.임정재, 2016, "한국 미혼 남녀의 결혼 시기와 결혼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50(5), 203-245.
- 오지혜, 2020,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자녀의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패널 1998~ 2016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40(4), 50-81.
- 원숙연.최윤희, 2018,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출산율의 영향요인-자녀에 대한 비용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7(3), 231-268.
- 유진성, 2016,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시장개혁에 대한 시사점", 「KERI Insight」, 2016(15), 1-36.
- 유진성, 2020, "거주유형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KERI Insight」, 2020(10), 1-28.
- 유홍준.현성민, 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 윤자영, 2012, "노동시장통합과 결혼 이행", 「한국인구학」, 35(2), 159-184.
- 은선경.박효진, 2020,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4), 210-217.
- 이기훈.강정구.마강래, 2022, "거주지역의 특성이 초혼 시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3), 55-73.
- 이다은.서원석, 2019,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빈곤 특성요인 분석", 「주거환경」, 17(4), 75-89.
- 이다은.서원석, 2021, "주거 특성이 서울시 기혼여성의 출산의사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22(1), 1-15.
- 이다은.서원석, 2021, "지역별 가계지출 부담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지적과 국토정보」, 51(2), 151-168.
- 이상호.이상헌, 2010, "저출산. 인구고령화의 원인에 관한 연구: 결혼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
- 이승주.문승현, 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55, 129-156.
- 이은우, 2004, "사교육비 지출행위에 대한 경제분석", 「경제연구」, 22(2), 1-31.
- 이철희, 2012,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한국인구학」, 35(3), 117-144.
- 이철희, 2023, "일자리 질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지역 제조업 고용 비율의 효과", 「한국경제연구」, 41(2), 5-33.
- 이희찬, 2002, "축제참여자의 관광지출 결정요인-Tobit 모형의 적용", 「관광학연구」, 26(1), 31-46.
- 임보영 외, 2017, "지역 특성이 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국토계획」, 52(6), 113-127.
- 임보영 외, 2018, "지역의 주택가격이 결혼과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3(1), 137-151.
- 장한나.이명석, 2013,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4), 425-438.
- 정은희.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 전지혜, 2013,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 출산의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민수.김의정.이현서.홍성주.이동렬, 2023,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 「BOK 이슈노트」, 제2023-29호.
- 정의철, 2012, "주거비용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학연구」, 18(2), 19-31.
- 정혜은.진미정, 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51-168.
- 조성호.문승현, 2021, "일자리 관련 요인과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41(4), 262-279.
- 최필선.민인식, 2015, "청년층의 취업과 임금이 결혼이행에 미치는 영향: 이산시간 해저드 모형의 응용", 「한국인구학」, 38(2), 57-83.
- 탁현우, 2020, "미혼남녀의 결혼지연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1(2), 223-244.
- 홍성희, 2021,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41-52.
- Becker, G. S., 1960,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In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pp.209-240). Columbia University Press.
- Becker, G. S., 1974, "A theory of marriage: Part I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2, Part 2), S11-S26.
- Boyle, P., 2003, "Population geography: does geography matter in fertility research?",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7(5), 615-626.
- Fiori, F., Graham, E., & Feng, Z., 2014, "Geographical variations in fertility and transition to second and third birth in Britain",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21, 149-167.
- Heaton, T. B., Lichter, D. T., Amoateng, A., 1989, "The timing of family formation:Rural-urban differentials in first intercourse, childbirth, and marriage", Rural Sociology, 54(1), 1.
- Hill, M. J., 2015, "Love in the time of the depression: The effect of economic conditions on marriage in the Great Depression",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75(1), 163-189.
- Hwang, J., 2023, "Later, fewer, none? Recent trends in cohort fertility in South Korea", Demography, 60(2), 563-582.
- Keeley, M. C., 1977, "The economics of family formation", Economic inquiry, 15(2), 238-250.
- Kulu, H., 2013, "Why do fertility levels var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Regional studies, 47(6), 895-912.
- Oppenheimer, V. K., 1997,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1), 431-453.
- Schaller, J., 2013, "For richer, if not for poorer? Marriage and divorce over the business cycle",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6, 1007-1033.
- Santos, C., & Weiss, D., 2016, "Why not settle down already?"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elay in marriage,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57(2), 425-452.
- Sng, O., Neuberg, S. L., Varnum, M. E., & Kenrick, D. T., 2017, "The crowded life is a slow life: Population density and life history strate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2(5), 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