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결혼

Search Result 1,99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Person-Process-Context Model of Mate Selection and Marital Adjustment in Arranged and Love-Based Korean Marriages (한국의 배우자 선택과 결혼적응의 메커니즘 : 인간 발달 생태학적 모형의 중매, 연애 결혼에의 적용)

  • 전효정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6 no.11
    • /
    • pp.19-41
    • /
    • 1998
  • 본 연구는 개인-환경 상호작용 가정을 바탕으로 한국의 두 가지 결혼 유형에 따른 배우자 선택과 결혼 적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개인, 과정, 맥락의 역할을 포함안 연구 모델 (person-process-context model)을 적용시켰다. 배우사 선택, 이에 따른 부부간 유사성과 결혼적응에 있어 개인과 사회적 특성의 상대적 기여도와 그 매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154쌍의 한국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매결혼과 연애결혼의 결혼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동질혼의 경향을 보였다. 개인적 특성이 결혼 적응도와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부부간 유사성은 결혼 적응도와 유의한 상관이 업었다. 이는 결혼 적응에 있어서 환경적 요소(e. g. dyadic similarity)보다 개인적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혼유형에 따른 동질혼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또한 동질혼의 정도에 따른 결혼적응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애결혼과 중매결혼의 중요한 차이는 결혼전 교제기간 이었다. 연애 결혼한 부부는 비교적 오랜 교제 기간을 통해 더 만족한 결혼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전 교제기간의 효과를 통제한 후 두 결혼 유형의 결혼적응도에 대한 차이는 사라졌다. 연구결과들을 결혼과 성격에 관한 이론을 비탕으로 논의하였다.

  • PDF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Marriages: Focusing o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2004-2018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 2004-2018 한국의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PARK, Jihy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3 no.2
    • /
    • pp.1-39
    • /
    • 2020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which was provided by some municipalities of South Korea from 2006, on marriage. Marriage subsidy, targeted for international marriage between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increases the economic incentive for international marriage. Using the Korean marriage record during 2004-2018 and exploiting the variation in marriage subsidy across regions(administrative level 2, si/gun/gu) and years with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I find that marriage subsid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a single Korean man marrying a foreign woman. I found no evidence on crowd out effect on marrying a Korean woman, and the effect of subsidy on total marriage was significantly positive. Subgroup analysis shows that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international marriage was strongest for the older and high school graduated men.

  • PDF

Predicting Psycho-Social Variables in the Healthy Marriage among the Korean Urban Couples (한국도시 부부의 건강한 결혼 관련 변인연구)

  • 송정아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69-77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결혼생활을 예견할 수 있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심리적 변인들을 규명하여 부부의 행복유지 및 증진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우리나라 대도시에 거주하는 부부 550쌍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결혼 유형을 건강한 결혼, 형식적 결혼, 유약한 결혼, 상황적 결혼으로 구분하여 조사한바, 도시부부의 52%가 건강한 결혼 즉 순기능 결혼 범주에 속하고 48%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역기능 결혼의 범주에 속하였다. 2) 남편들의 결혼관계 건강지수가 아내들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타나 결혼관계에 대한 부부간의 차이를 알수 있었다. 3) 건강한 결혼을 예견하는 변인으로 남편에게는 존경과 대화가, 아내에게는 애정, 문제해결능력, 성생활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곧 심리적 변인이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 Jeong, Gi-Seon;Han, Ji-E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87-11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제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과정을 스트레스유발 생애사건으로 간주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vestigation o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Marriage and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결혼유형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의 차이에 관한 분석)

  • Choi, Chul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490-498
    • /
    • 2020
  • Many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experience a considerable amount of stress while adapting to a new culture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rriage type and participation type in sport activity o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The 329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marriage type and sport activity type.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plore differences i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among groups. Result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respondents who enjoyed sport activities with their spouses had relatively higher mean scores across four factors(marital bond,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value-sharing,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than couples who did not. This study found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impacted marital life, and results would provide insightful data to help people achieve a happier married life in multicultural society.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A Test of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의 검증)

  • Kim, Doo-Sub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5 no.1
    • /
    • pp.1-30
    • /
    • 2012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spousal dissimilarity on marital stability among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Utilizing micro-data from the 2009 Korean National Multi-culture Family Surve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formation of transnational marriage generally involves positive assortative matching on age and education. Indices of age dissimilarity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a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of origin of the foreign wife,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average duration of marriage are analyzed. This study also conducts a micro-level analysis of whether age and educational dissimilarity between spouses helps explain variations in marital duration and probability of getting divorced. Results show greater incidences of spousal dissimilarity in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among transnational couples, which supports the transnational openness hypothes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extant hypothesis that spousal dissimilarity increases the risk of marital dissolution and shortens the duration of marriage is not found to fit transnational couples in Korea.

  • PDF

필리핀 국제결혼여성의 이주흐름

  • Kim, Jeong-Se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27-144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에 이미 입국한 국제결혼여성들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필리핀의 국제결혼여성들이 어떤 국적의 남편과 결혼하는가를 살피고 있다. 필리핀의 국가통계에 따르면, 한국으로 시집가는 필리핀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 등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 비해 그 규모도 작고, 역사도 짧다. 필리핀 신부들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은 자신들이 시집갈 수 있는 여러 국가의 하나에 불과하다. 국제결혼을 하고 출국을 기다리는 필리핀 신부들에 대하여 사회 조사를 실시해 본 결과, 자료가 갖는 한계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국적에 따라 필리핀 신부와 남편의 특성은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은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등으로 시집가는 여성들에 비해 매우 젊으며, 교육수준이나 영어구사 수준이 낮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남편들은 저학력자가 많다. 부부가 만난 경로에서도 지역간 차이가 나타난다.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인터넷을 통해 만난 사례가 두드러지는 반면, 동아시아 지역 국적의 남편들과는 친지 및 제3자의 소개를 받은 사례와 학교나 직장에서 만난 사례가 많다. 필리핀 신부들의 국제결혼 과정과 배경을 단순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동아시아 지역과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으로의 국제결혼 이주 양상은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들내에서도 계층화 현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가늠하게 한다.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 은기수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89-117
    • /
    • 1995
  • 이 연구는 1983년 전국인구이동조사 자료 중 개인사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인 남녀가 결혼으로 이행해 나갈 때 결혼에 관한 규범 중 연령규범과 순서규범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연령규범은 결혼적령기라는 개념으로 표현되고, 순서규범은 결혼에 이르기 위해서는 어떤 생애과정를 밟아야 하고,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결혼적령기까지 남자와 여자 모두 연령규범과 순서규범을 지키면서 결혼에 이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결혼적령기가 지나면 남자는 여전히 결혼 전에 안정된 직장을 확보해야 하는 순서규범에 큰 영향을 받지만, 여자의 경우는 결혼직전 경제활동상태에 관계없이 연령규범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연구에서 상정한 가설 모두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는 1983년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인의 결혼 및 가족생활에서 남자는 경제적인 능력을 갖추어야 하고, 반면에 여자는 규범적 연령에 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The Determinants of Marital Quali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The Importance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 Kim, Hyun-Suk;Kim, Hee-Jae;Oh, Joon-Hwa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1
    • /
    • pp.27-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quality and stress from life event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182 married immigrant women lived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had a independently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quality. Seco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marital quality mediated by social support. In varying forms and degrees, social support may play significant roles in relation to life stress and marital quality, but like married immigrant women, limited social support may be no/low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marital quality.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related to life stress and marital quality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Effects of Double Sexual Standar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성에 대한 이중기준이 결혼 만족과 결혼 안정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 Cheong, Key-Won;Seong, Han-Ge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1
    • /
    • pp.71-95
    • /
    • 2006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with primary focus on the effect of double sexual standards on their relationship. Data from 370 married women of community and culture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hrough multi-step multiple regressions. Findings indicated that communication and intim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which showed strong effect on marital stability, and that double sexual standard weak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Relationship betwee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ample of married women. Construction of comprehensive and systemic theoretical model on marital stability was suggested for furthe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