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지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Younwoo Lee ;
  • Sohee Kim
  • 이연우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소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24.06.12
  • Accepted : 2024.07.03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Methods: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generation processes, resulting in three main themes and seven sub-theme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mention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 need for communication support with peers, and a lack of support from families. Second, th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was provid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hildren and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ed tailored training for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They also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amilies, and specialized agencie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support needed for guiding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A2A01078528)

References

  1. 강성리, 조현근 (2020).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5(5), https://doi.org/405-430. 10.20437/KOAECE25-5-15
  2. 교육부 (2023). 2023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3.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https://law.go.kr/법령/장애인등에대한특수교육법에서 2024년 6월 9일 인출.
  4. 권택환 (2020).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영역 추이 변화에 따른 시사점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과제. 인성교육연구, 5(2), 127-142. https://doi.org/10.46227/JCER.5.2.7
  5. 김미경, 허계형, 최영해 (2011). 특수유아교육. 교육아카데미.
  6. 김영태 (2002). 아동 언어 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7.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I. 문음사.
  8. 김태영 (2021). 장애 위험 유아의 부모에 대한 유아교사의 발달 검사 권유 경험. 한국교원교육연구, 38(1), 61-82. https://doi.org/10.24211/tjkte.2021.38.1.61
  9. 박소현, 김영태 (2008).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3(3), 253-273.
  10. 박창현, 김상림 (2016). 유아의 기관이용시간이 언어, 인지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교사-유아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3), 197-210.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97
  11. 방현실 (2020).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https://doi.org/10.23197/scece.2020.7.1.004
  12. 배민정 (2020). 장애위험유아에 대한 일반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9(2), 23-38. https://doi.org/10.23944/Jsers.2020.06.59.2.2
  13. 서경희, 전홍주 (2016). 어린이집 일반학급에 통합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또래관계 행동.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299-322.
  14. 서수민 (2023).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32(2), 21-34. https://doi.org/10.15724/jslhd.2023.32.2.021
  15. 손고은, 신동주 (2023). 코로나19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27(1), 5-29. https://doi.org/10.32349/ECERR.2023.2.27.1.5
  16. 안소현, 이병인, 배성현 (2023).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연 유아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3(2), 23-53. https://doi.org/10.21214/kecse.2023.23.2.23
  17. 원종례, 엄수정 (2007).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및 교사들의 인식: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7(2), 47-81.
  18. 윤근호 (2024. 6). [충남일보-대전교육청 공동캠페인] '장애 특성 고려한 맞춤형 지원'... 모두를위한 특수교육 실현.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6904에서 2024년 6월 9일 인출.
  19. 이소현 (2006). 장애영유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질적 구성 요소-정책적 제도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6(2), 83-107.
  20. 이소현 (2011). 개별화교육과정. 학지사.
  21. 이소현, 윤선아, 안의정, 허수연, 나지희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22(1), 31-62. https://doi.org/10.21214/kecse.2022.22.1.31
  22. 이승환 (2002). 의사소통장애개론. 하나의학사.
  23. 이영철 (2003).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자연적인 언어중재의 고찰. 정신지체연구, 5, 17-34.
  24. 이윤경 (2011).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2011(16), 1-12.
  25. 이진경, 조윤경 (2011).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26.
  26. 이효진 (2001). 단순언어장애 아동 대화의 말차례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지영, 조윤경 (2022). 「2019년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6), 101-126.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6.101
  28. 장지은 (2023).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2), 1-28. https://doi.org/10.22155/JFECE.30.2.1.28
  29. 조금희 (2007). 아동언어장애와 언어치료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은영, 김은영, 구자연, 조혜주, 정윤경, 심영규 (2022). 코로나19 이후 영유아 발달 및 학습 격차 해소방안 연구(I)(연구보고 2022-24). 서울:육아정책연구소.
  31. 최은정 (2009).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담화능력 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표윤희, 김정연, 김시원 (2017). AC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6(2), 57-80. https://doi.org/10.18541/ser.2017.05.16.2.57
  33. 한유리 (2018).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박영story.
  34. Adams, A. M., & Gathercole, S. E. (1995).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speech production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8(2), 403-414. https://doi.org/10.1044/jshr.3802.403
  35. Hedges, H., & Lee, D. (2010). 'I understood the complexity within diversity': Preparation for partnership with famil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8(4), 257-272. https://doi.org/10.1080/1359866X.2010.515939
  36. Hatch, J. A. (201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학지사. (원판 2002).
  37. Lucas, E. V. (1980). Semantic and pragmatic language disorder: Assessment an remediation. Aspen Systems Corp.
  38. Montgomery, J. W. (2003).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hat we know so fa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3), 221-231. https://doi.org/10.1016/S0021-9924(03)00021-2
  39. Morgan, D.L. (199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2nd ed.). Sage.
  40. Owens, R. E. (2001). 언어발달(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5th ed)(이승복 옮김). 시그마프레스.
  41. Paul, R. (2007).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osby.
  42. Seidman, I. (2009).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교육학과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한 안내서(박혜준, 이승연 옮김). 학지사. (원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