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술과

Search Result 1,53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Visual Art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for the Artistic Giftedne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미술영재 판별을 위한 관찰 평가 도구에 관한 초·중학교 미술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 Kang, Byoungjik;Maeng, HeeJu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1
    • /
    • pp.123-140
    • /
    • 2016
  • This study searched the perception of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n visual art whic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in mind. As results,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n visual art is widely accepted as important and efficient to diagnose the artistic giftedness. At the same time, subjectiveness of the system might be advantageous for student for whom teacher get favor and in-service program related to observational evaluation system is insufficient comparing to the demand from field. In spite of this, the scale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 and the test for artistic task performance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nd needed tools for evaluating artistic giftedness. Following the results, in order to raise up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in visual art, the scales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 and the test for artistic task performance should be developed first and foremost.

한국근대미술의 인상파 도입과정과 아카데미즘 형성에 관하여

  • Im, Chang-Seop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9
    • /
    • pp.89-115
    • /
    • 2006
  • 한국근대미술은 유화 도입기인 1910년대를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시작점이다. 1910년경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유화 도입배경과 그것이 당시 사회의 절실한 요청에 의한 것이었는지, 그렇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 한국근대미술 초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일본근대 유화의 역사는 국수주의와 서구주의 물결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일본화된 소재의 등장과 일본정서에 부합하는 화풍을 만들어 나가게 되는 것이 1890년대부터 1910때까지의 일본근대 유화계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를 다시 요약하면 외광파와 인상파가 절충된 양식에 일본의 메이지낭만주의에 부합하는 소재 즉 일본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풍경에 대한 애착 등이 전체 유화의 기류로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새로운 문화의 하나였던 유화는 점차 세계의 다양한 미술사조 속에서 일본화다운 것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이전에 이미 형성되었던 일본근대 유화양식과 구로다의 외광파 양식, 또 외광파가 일본 근대유화의 주류로 형성하게 되는 계기, 여기에 프랑스에서 직접 배워 온 작가들에 의한 인상파 도입 그리고 일본 '메이지낭만주의'(明治浪漫主義)의 등장으로 인한 사회 환경구조의 변화 속에서 양성된 그들의 절충양식의 초기유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근대미술은 '민족적 자부심'과 '민족적 열등감'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회적 배경논리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근대미술의 사상적 배경에는 민족 개량주의적 발상과 계몽주의적 문화 활동에 있었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미술자체를 근대사회 발전의 연장선 속에서 파악하지 못했고, 따라서 미술자체를 새로운 문명수입이라는 근대적 풍물 정도로만 파악했던 것이 어쩔 수 없는 근대미술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술을 주목한 이유는 근대적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하나의 필수적인 요소로 미술자체를 파악하고 나아가, 식산흥업(殖産興業)의 수단으로 인식 했던 신지식층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명의 발달이 미술의 발달에서 연원한다는 '미술문명론' 같은 시각이 미술자체가 성격이나 창작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어떤 미술이든 그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근대 즉 문명화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아카데미즘 역시 일본근대미술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초기유학생들은 그 당시 일본의 잡지나 화단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시안들을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정도였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한국근대미술에 있어서 초기유학생들의 작품과 그 이후 선전에서 입선하는 작품들은 일본아카데미즘의 영향 밑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일본 근대 유화에서 형성된 외광파의 요소와 인상파 요소들이 일본 낭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 PDF

한국 서체문자미술의 흐름과 디자인마케팅에 관한 고찰

  • Park, Jong-Gap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241-260
    • /
    • 1999
  • 국제적 미술 양식이면서 동양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서체 문자마술을 통하여 우리 미술문화의 현재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서체 문자미술을 이루고 있는 기호인 한자와 한글을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계속 사용하여 왔으며 나아가 조선에 이르러서는 민화에서 문자그림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의 이름 있는 작가들과 후학들이 서체에서 나타나는 문자를 이용하여 작품세계를 빛내고 있다. 현대미술의 서체적인 문자그림들의 평가와 그 가능성을 밝히고 디자인마케팅에 있어서 시각적인 학습과 기억에의 서체문자 미술의 활용에 대해 고찰하며, 특히 한국미술에 있어 서체적인 문자그림의 전통성과 현대미술에서의 표현을 통하여 서체 문자그림이 동시대 한국 미술문화를 이루는데 한 축을 이루고 있음을 밝히면서, 한국 서체 문자미술이 디자인마케팅에의 시각적 표현활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PDF

Art Education through Artwork: Focusing on the Mathematical Principle (미술작품을 통한 미술교육: 수학 원리를 중심으로)

  • Jeong, Kyu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4
    • /
    • pp.447-457
    • /
    • 2010
  • Mathematical principle is present in artwork or architectural building. It is import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find these mathematical principles in artwork. But it is difficult to achieve original purpose of art education through student activity that only looks for mathematical principle present in artwork and architectural building. Thu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have activities to find mathematical principle in artwork for themselves through artis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f artwork and to create, appreciate and express new artwork to which they apply the mathematical principle.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a couple of artwork or architectural buildings from this point of view in which mathematical principle is present. I also developed hypothetical teacher activities and student activities for program by providing artwork of Escher in which mathematical principle is present as an example.

전시회 - 한국근현대미술교과서전(展)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4
    • /
    • pp.100-101
    • /
    • 2014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오는 4월 30일까지 '한국근현대미술교과서' 전을 개최한다. '한국근현대미술교과서' 전은 미술교과서를 통해 근대 미술교육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왔는지 그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다.

  • PDF

The Study on the Way of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gram Using Principle of Perception and Eye Movement (시지각 특성과 시선운동 원리를 활용한 미술 감상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Kim, Mikang;Jang, Jinbeum;Kim, Chulhyun;Paik, Joon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335-350
    • /
    • 2016
  • Learning the principles of perception belongs to both the psychology and art field. However, people define that an art education is an activity of expression, so an activity of an art appreciation is either downsized or hardly proceeded in an art class. Therefore,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al program that gives a motivation to appreciate the work of art and to minimize a burden towards the activity of an art appreciation is needed. This paper propose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includes activities to appreciate the work of art using the principles of perception and to create personal portfolios. Also, we analyze the eye movement of the paint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erception. Finally, proposes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Feldman's critique method. In addition, we illustrate the example of the proposed art appreciation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analyzed paintings from section III.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on the Therapeutic Alliance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in Art Therapy (미술치료에서 치료적 동맹과 전문적 역량에 관한 미술치료사의 인식 연구)

  • Kim, Hee-Jeong;Chung, Yeo-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2
    • /
    • pp.371-388
    • /
    • 2021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provide the materials helpful for art therapy education and art therapist training by exploring the intervention processes and professional competency factors of art therapists which facilitate therapeutic alliance through the art therapists' actual clinical experienc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art therapists, and analysis of the materials was divided into 5 sections and 41 categories using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art therapist's intervention process for the promotion of therapeutic alliance signifies the structuralization of a safe environment through basic items of consideration for a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three dimensions of its composition, and the art therapist's professional capacity interacts with the art therapists intervention factor to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therapeutic alliance. Subsequently, it is essential for art therapists to reinforce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relevant to conceptualizing unique individual cases with clinical problems, 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s, the ability to utilize art as therapeutic treatment, and efforts to maintain professional capabilities for therapeutic purpos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the materials to be used in educating and training the art therapists by deriving the developmental tasks necessary for structuralizing the facilitation of the therapeutic alliance and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the art therap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