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in Elementary Schools

'국민학교'로 들어온 '전(全) 국민의 과학화운동'

  • Received : 2024.01.29
  • Accepted : 2024.04.16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long-term demand for the integration of "science subject classes" and "science-related events" with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s. During the 1970s,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aced a dual challenge marked by the tension between implementing the third curriculum, which emphasized fundamental science, and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which focused on technology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mpelled to integrate the sudden demands of the Yushin regime into the ongoing third curriculum. As these demands emerged from dual policy directives, 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subsequently categorized into formal science subject classes and extracurricular science-related events. Although the movement did not directly alter the curriculum, it instigated modifications in personnel structure, activity spaces, and evaluation systems within schools. The introduction of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in elementary schools resulted in chang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science lead teacher system," the creation of a dedicated "science corner," and the implementation of a "science badge system." Although the movement was abruptly introduced, it ostensib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inquiry-oriented approach promoted by the third curriculum. Paradoxically, this advancement was facilitated by the integra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e movement into schools' autonom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pearheaded by frontline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Although the movement represented a government-driven policy at a particular juncture in time, the manner in which science education practitioners responded to urgent governmental mandates, while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long-established third curriculum framework, involved dividing education activities into subject-specific classes and extracurricular science activities. Examining how science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1970s proactively addressed these challenges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in adapting to the current rapidly evolving educational landscape.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에게 오랫동안 요청된 이원화된 업무, 즉 '과학교과수업'과 '교과 외 과학 관련 행사'의 역사적 연원을 밝히는 것이다. 1970년대에는 기초과학 중심의 제3차 교육과정과 기술교육 중심의 과학화운동 사이의 긴장 속에서 국민학교 과학교육이 이루어졌다. 문교부는 과학화운동이 도입되기 전부터 오랫동안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서 탐구 중심의 기초과학교육 정책을 추진하였고, 특히 1973년 제3차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그러던 중 1973년에 '전 국민의 과학화운동'이 정권 차원에서 갑자기 추진되었다. 문교부로서는 갑작스러운 유신정권의 요구를 이미 진행 중이던 제3차 교육과정 속으로 편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두 가지 정책에서 비롯된 두 가지 요구가 공존하였기 때문에 이후 초등학교 과학교육 활동은 과학교과수업과 교과 외 과학 관련 행사로 이원화되어 실행되었다. 과학화운동은 교육과정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지만, 학교 현장의 인사조직, 활동 공간, 평가 제도에 변화를 주었다. 국민학교에 과학화운동이라는 거대 프로그램이 도입되면서, 학교 내부의 인사조직을 변화시켜서 '과학주임교사제'가 새롭게 만들어졌고, '과학코너'라는 새로운 공간이 확보되었으며, '과학장제'라는 새로운 제도가 보급된 것이다. 이처럼 과학화운동 자체는 초등교육에 갑작스럽게 도입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제3차 교육과정이 목표로 삼았던 탐구 중심 과학교육이 실천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했던 듯하다. 이는 역설적으로 과학화운동의 여파가 일선 교육청과 학교의 '교과 외' 자율적 활동으로 흡수된 것에 기인했다. 과학화운동 자체는 특정 시기의 정부 주도 정책이었지만, 다양한 과학교육종사자들이 오래 준비해 온 제3차 교육과정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긴급한 정부의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이 교과 수업과 교과외 과학 활동으로 이원화된 것이었다. 이처럼 1970년대 과학교육현장에서 과학교육종사자들이 능동적으로 대응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교육계가 현재의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B5A16056739).

References

  1. 강유진(2023). 두 개의 과학교육: 과학교구공사의 초기 역사를 통해 살펴본 1970년대 유네스코-유니세프와 한국문교부의 과학교육. 과학기술학연구, 23(3), 139-187.
  2. 강한수(1970). 초등학교 현행 자연과 교과서 진단. 교육연구, 3(8), 35-37.
  3. 경기도교육청, 전시성 업무.도단위 대회 행사 폐지(2012.10.8.). 뉴스피크. http://www.newspeak.kr/news/articleView.html?idxno=26418
  4. 과학기술처(1987). 과학기술행정 20년사.
  5. 교대 4년제로 개편 내년부터 특수과목교사도 양성(1973.6.5.). 매일경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60500099207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06-05&officeId=00009&pageNo=7&printNo=2231&publishType=00020
  6. 교육50년사편찬위원회(1998). 교육50년사: 1948-1998. 교육부.
  7. 구전회(1970). 금년도 과학교육의 방점. 교육연구, 3(8), 16-18.
  8. 국가기록원(1963-1981). 유네스코(UNESCO)-유니세프(UNICEF) 프로젝트. 유네스코 본부 아카이브(관리번호: BTA 000308).
  9. 권병규(1973). 탐구적인 학습지도방법.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9-62).
  10. 권중록(1985). 서울신문사장상-자율탐구과학코너 설치활용. 과학과 기술, 199, 78-80.
  11. 권판근(1978). 체력장제도가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경남문화연구, 1, 159-173.
  12. 권판근(1979). 체력장제도가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영남지방을 중심으로. 경남문화연구, 2, 145-150.
  13. 김광명, 이흥순(1998). 자율실험 코너 운영을 통한 탐구 능력의 향상. 과학교육연구, 21, 89-115.
  14. 김기융(1970). 현행 과학교육 과정의 검토. 과학교육, 68, 27-32.
  15. 김기융, 차재선(1970). 초등과학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연구 - SAPA(AAAS) program을 중심으로 한 보고 III. 논문집, 5, 375-399.
  16. 김미정(2017). 체력장제도를 통해 본 1970년대 체육교육정책 양상. 역사와 교육, 25, 43-74.
  17. 김영대(1969). SCIS 초등과학의 실험연구보고.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3월호, 34-39.
  18. 김영재(1975). 초등학교 체육과 지도교사들의 자질향상을 위한 체육기능장제도 연구 - 초등학교 교사 및 교육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산교육대학 논문집, 6, 225-288.
  19. 김용덕(1970). 과학교육의 새로운 방법. 교육연구, 3(8), 28-30.
  20. 김재수(1981). 과학코너의 설치와 활용. 과학충남, 9, 129-136.
  21. 김종성(1970). 초등 과학교육 과정의 시안. 과학교육, 71, 46-48.
  22. 김종성(1973). 과학교육자료의 개발. 문교부(편), 전 국민과학화의 길 (pp. 66-68).
  23. 김창순(1982). 탐구력 신장을 위한 자연과 실기 연수회 운영. 과학충남, 14, 92-95.
  24. 김치영(1973). 과학화를 위한 수학교육.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71-73).
  25. 김학현(1980). 과학주임교사제 7년의 공과와 과제 - 그 오늘의 실상.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8월호, 21-24.
  26. 김현재, 차재선(1972). 초등 과학 교육의 학습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논문집, 7(2), 83-114.
  27. 김형기(1978). 과학장제도 운영을 통한 국민학교 아동의 탐구력신장. 동연, 1, 112-132.
  28. 류인수(1970). SCIS Project의 적용을 위한 실험 연구. 교육연구, 3(8), 78-80.
  29. 문교40년사편찬위원회(1988). 문교40년사. 문교부.
  30. 문교부(편)(1972). 국민학교 새교육과정. 서울: 교육주보출판사.
  31. 문교부(편)(1973a). 전 국민 과학화의 길 - 전 국민 과학화를 위한 전국교육자대회 및 분과협의회 (회의록).
  32. 문교부(1973b). 1973년 문교시책. 문교월보, 38, 34-43.
  33. 문교부(1973c). 교육유신을 위한 우리의 노력. 문교월보, 47, 83-100.
  34. 문교부(1973d). 국민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310호.
  35. 문교부(1974). 과학주임교사의 기능과 임무.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1월호, 35-39.
  36. 문만용(2017). '전 국민 과학화운동': 과학기술자를 위한 과학기술자의 과학운동. 역사비평, 120, 284-315.
  37. 민관식(1973a). 전국교육자대회 경과 보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9-10).
  38. 민관식(1973b). 일선에서의 과학화 운동의 실천 방안.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5월호, 8-12.
  39. 박경호(2023). 입시 체력장 제도의 폐지에 대한 사적 고찰. 체육사학회지, 28(2), 87-100.
  40. 박노원(1973). 생활의 과학화를 위한 교육 - 과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기술 교육 방안. 교육경남, 9월호, 64-70.
  41. 박대통령 연두 기자 회견(1973.1.12.).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11200329202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1-12&officeId=00032&pageNo=2&printNo=8396&publishType=00020
  42. 박영구(201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한국민족문화, 40, 347-388.
  43. 박정희(1973). 대통령각하 치사.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7).
  44. 박종우(1981). 과학코너의 설치와 활용방안. 과학충남, 9, 121-128.
  45. 박한식(1973). 수학과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8-51).
  46. 부문별 계획 명세(1970.7.15.).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71500239103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7-15&officeId=00023&pageNo=3&printNo=15154&publishType=00010
  47. 서울시교육청 179개 주관사업 폐지(2011.10.17.). 서울타임스. http://www.seoultime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086
  48. 손환(2009). 일제강점기 조선의 체력장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8(5), 1-10.
  49. 송성수(2008). "전(全) 국민의 과학화운동"의 출현과 쇠퇴. 한국과학사학회지, 30(1), 171-212.
  50. 송완섭(1983). 과학주임교사의 임무. 과학충남, 17, 95-99.
  51. 송인명(1973). 과학화를 위한 지도방법의 혁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4-59).
  52. 송형호(1973). 탐구학습을 돕는 여건 조성.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4-66).
  53. 송형호(1976a). 과학주임교사의 업무 수행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6월호, 21-25.
  54. 송형호(1976b). 과학주임교사의 업무 수행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7-29.
  55. 수원남국민학교(1988). 과학.기술장제 운영을 통한 과학재능의 조기계발. 경기장학, 99, 118-134.
  56. 신동헌(1981). 과학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한 학교장의 역할. 과학충남, 9, 183-187.
  57. 신상준(1972). 영어교사 기능장 제도를 제창하다. 어학교육, 4, 75-80.
  58. 신희명(1973). 지도방법의 계통화.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8-70).
  59. 안영덕(1981). 과학장제 운영. 교육전남, 46, 63-64.
  60. 양준한(1973). 과학주임교사의 역할. 과학교육과 시청각 교육, 6월호, 12-14.
  61. 어린이 '과학안목' 높아졌다(1983.3.31.).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33100329207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3-31&officeId=00032&pageNo=7&printNo=11540&publishType=00020
  62. 오수용, 김방출(2021).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으로 본 제4공화국의 체력장. 체육사학회지, 26(4), 59-79.
  63. 이경섭(1997). 한국 현대 교육과정사 연구(상). 파주: 교육과학사.
  64. 이경환, 박제윤, 권영민(2002). 한국 교육 과정의 변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5. 이길주(1983). 탐구과학 생활환경 조성을 통한 탐구력 신장 지도: 과학의 생활화를 중심으로. 과학충남, 16, 37-46.
  66. 이병례(2019).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의 건강담론과 노동통제. 한국사연구. 18, 163-201.
  67. 이상협(1973). 교사의 자질향상책.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62-64).
  68. 이영미(2009). 1970년대 과학기술의 "문화적 동원": 새마을기술봉사단 사업의 전개와 성격.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69. 이영하(1981). 해양코너의 운영과 효과. 과학충남, 10, 28-34.
  70. 이원식(1973). 중등학교 과학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0-42).
  71. 이정찬(1973). 과학주임교사제를 환영하면서.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6월호, 8-11.
  72. 이종섭(1979). 과학장제 운영을 통한 과학적 탐구능력의 신장 방안. 교육관리기술, 10(11), 72-75.
  73. 이종화(1969). 과학코너의 설치 활용과 발견적 관찰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2월호, 15-24.
  74. 이흥업(1973). 과학 교육 진흥과 주임교사 제도 신설.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2-23.
  75. 이희동(1993). 과학장제 운영을 통한 자주적 탐구력 신장. 교육경북, 104, 92-97.
  76. 임병기(1973). 과학교육과 타 교과의 관계.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51-53).
  77. 임상규(1973). 과학주임교사의 할 일. 과학교육과 시청각 교육, 6월호, 15-17.
  78. 임소정(2015).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설립과 엘리트 기능 인력의 활용, 1973-1979.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79. 임재영(1981). 과학놀이 코너 운영. 교육전남, 46, 56-57.
  80. 장미현(2022). 기능우대사회는 가능했을까: 1970년대 국가기술자격제도 일원화 시도와 '역설'. 사학연구, 147, 237-271.
  81. 전문표(1973). 과학주임교사에게 바라는 일.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7월호, 24-26.
  82. 정연태(1969). UNESCO/UNICEF 지원의 과학교육 프로젝트를 위한 아세아 지역 협의회 참가 보고서.
  83. 정연태(1984). 한국과학교육의 오늘과 내일. 서울: 한국방송사업단.
  84. 정연태(1988). 교육과 과학과 한평생: 정연태 문집.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85. 정용재(1973). 과학교육과정 개발사업.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5-48).
  86. 정준모(1970). 새 시대에 맞는 과학교육의 목표. 교육연구, 3(8), 23-27.
  87. 조주행(1984). 과학실 운영 사례. 과학충남, 22, 269-276.
  88. 중앙대학교 부설 한국교육문제연구소(1974). 문교사 1945-1973.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89. 차재선(1970). 자연과 화학 영역에서의 문젯점. 과학교육, 71, 8-10.
  90. 차재선(1971). 개편교육과정의 잇슈. 교육연구, 4(9), 55-58.
  91. 차재선(1972a).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개편. 논단, 1(1), 19-20.
  92. 차재선(1972b). SCIS Program 학습이 아동의 과학적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논총, 3, 169-185.
  93. 차재선(1973). 국민학교 자연과 교육내용.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8-40).
  94. 청주교육대학 SCIS 초등과학연구그룹(1970). SCIS 초등과학교육과정 실험 연구 보고(1). 과학교육, 64, 68-73.
  95. 청주교육대학 SCIS 초등과학연구그룹(1972). SCIS 초등과학교육과정 실험 연구 보고(끝). 과학교육, 91, 64-65.
  96. '체력장 변경없다' 문교부 발표(1977.9.15.).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91500209207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9-15&officeId=00020&pageNo=7&printNo=17216&publishType=00020
  97. 최규진(2023). 전시체제기 국민체력관리와 건민운동. 역사 연구, 47, 333-395.
  98. 최기철(1970). 새 과학교육 과정 제정은 이렇게. 과학교육, 68, 19-21.
  99. 최승만(1979). 과학장제 2년을 결산하다(상). 과학과 교육, 5월호, 98-102.
  100. 최영복(1970). 과학과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교육연구, 3(8), 20-22.
  101. 최영복(1973). 과학교육과 기술교육.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42-44).
  102. 최종락(1973). 과학화를 위한 교육 내용의 개선.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33-38).
  103. 최초의 과학장제 실시한 인천시교육청(1979).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4월호, 121.
  104. 최형섭(1973a). 기조강연, 현실 과제면에서 - 국력배양과 국민의 과학화 운동. 문교부(편), 전 국민 과학화의 길 (pp. 20-28).
  105. 최형섭(1973b). 전 국민 과학화에 따른 과학교육 방향과 문제점 타개. 교육전남, 6월호, 43-49.
  106. 충남도교육청 교원.학생대상 행사 감축(2000.5.4.). 홍성신문. http://www.h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75
  107. 하병권, 김덕만, 박화서(1971). SCIS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실험연구. 서울교대 논문집, 4, 301-312.
  108. 하영준(1974). 현행 체력장 종목과 인성과의 관계: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9, 67-72.
  109. 학교 일회성 행사 줄줄이 폐지(2015.3.19.). 헤드라인 제주.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096
  110. 80년도 문교 정책 방향 - 대통령 연두 순시 보고 자료를 중심으로(1980). 과학교육과 시청각교육, 3월호, 80-83.
  111. Osgood, K. (2006). Total Cold War: Eisenhower's Secret Propaganda Battle at Home and Abroad. Lawrence, K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12. Rudolph, J. L. (2019). How We Teach Science; What's Changed, and Why It Matter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13. The Cent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973). Evaluative research on UNESCO/UNICEF-assisted Korean science education project. The Cent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14. Wolfe, A. J. (2017), 냉전의 과학 (김명진, 이종민 역). 파주: 궁리출판. (원저 2013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