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Ginseng Consumption Culture of College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Attitudes Toward Ginseng and Intention to Purchase it -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인삼 소비문화 비교 연구 -대학생 소비자의 인삼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 Siwuel Kim (Sang-Huh College, Konkuk University)
  • 김시월 (건국대학교, 상허교양대학 소비자학)
  • Received : 2022.01.27
  • Accepted : 2023.03.29
  • Published : 2024.03.02

Abstract

In order to compare the ginseng consumption culture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eir purchase status of ginseng products, attitudes toward ginseng, and satisfaction with ginseng products were examined, and the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ginseng products was investigated. It targeted 267 Korean college students and 318 Chinese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eating ginseng products. As a result of the survey, in the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 consumers, interest in ginseng product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COVID-19,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recommend ginseng products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ginseng, the higher the frequency of ginseng purchase experience, the higher the social benefit attitude toward ginseng,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recommend ginseng products. Chinese college student consumers had higher parental purchases than Korea, higher positive intentions to purchase and recommend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and their 20s are already more interested and friendly than Korea. What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college student consumers have in common is that interest in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has increased since before COVID-19, and interest in ginseng-related products has changed in individual experiences, indicating that individual experiences are important and Chinese college student consumers are influenced by parents. In particular, COVID-19 i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ealth, which is important to those in their 20s, and is actual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se results, it seems that expansion to preferred products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and differenti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family influence and consumption culture should be made, and these new changes due to COVID-19 seem to be a timely opportunity. At a time when interest in health and safety has increased, strategic preparations are needed for the future consumersociety to respond to changesin product diversity and convergence, changes in marketing media to meet consumer consumption values, and changesin consumer family types, such assingle households.

한국과 중국 대학생 소비자의 인삼 소비문화 비교를 위하여 그들의 인삼 제품구매현황, 인삼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인삼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고, 인삼제품의 구매 및 추천 의도를 조사하였다. 인삼 제품을 섭취한 경험이 있는 한국대학생 267명, 중국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 대학생 소비자의 경우, COVID-19 이전에 비해 인삼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인삼 제품의 구매 및 추천 의사가 증가하였다. 또한 평소 인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인삼구매 경험 빈도가 많고 인삼에 대한 사회적 혜택 태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인삼 제품의 구매 및 추천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 소비자는 가정 내에서 부모의 구매 정도가 한국보다 높고 사회심리적인 혜택에 대해 긍정적인 집단에서 구매 및 추천 의도가 높았으며, 한국에 비해 이미 20대도 관심이 높고, 친근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 소비자의 공통점은 COVID-19 이전에 비해 이후에 건강이나 안전, 그리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고, 더불어 인삼 관련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는 것이며, 다른 점은 개인별 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한국 대학생 소비자는 개인의 경험이 중요했고, 중국 대학생 소비자는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OVID-19는 20대에게도 중요한 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계기가 되며, 실제로 구매의도와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위한 선호하는 제품으로의 확대, 그리고 가족의 영향 정도 및 소비문화에 따른 마케팅 전략의 차별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COVID-19로 인한 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적기의 기회로 보인다. 즉,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한 이즈음에, 제품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제품의 다양성과 융합화, 소비자의 대상별 소비가치에 부응하는 마케팅 매체 변화와 온라인으로의 확대, 그리고 소비자의 가족 유형, 예를 들면 단독가구 등으로의 변화에 부응하는 미래의 소비사회를 대비한 전략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0년 고려인삼학회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곽이성, 「고려인삼 연구의 글로벌화 전략」, 「고려인삼 연구와 산업」, 13(1)(고려인삼학회, 2019).
  2. 김나영, 채현석, 박성진, 윤덕인, 서강태, 배현수, 「강원영서지역 남,여 대학생의 건강 기능성 식품인 인삼제품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3)(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3. 김시월, 「고령사회 소비자정책의 방향: 소비자 소외를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50(3)(한국소비자원, 2019).
  4. 김종의, 「소비자행동」(형설출판사, 2005).
  5.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유통공사, 「농림수산식품 수출입동향 및 통계」(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9).
  6.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8 농식품수출 이슈보고서」(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8).
  7.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2014), "'인삼산업 중장기발전 보완대책(2014~2018)' 추진" https://www.mafra.go.kr/mafra/2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bWFmcmElMkY2OCUyRjMxMTUxOSUyRmFydGNsVmlldy5kbyUzRg%3D%3D(검색일: 2021년 9월 29일).
  8. 박기환, 허성윤, 최세균, 「화훼.인삼.녹차의 소비행태조사」(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9. 박채규, 곽이성, 황미선, 김석창, 도재호. 「건강기능식품에서 인삼 제품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40(2)(한국식품과학회, 2007).
  10. 배모세,「소비자들의 홍삼 액기스 구매에 대한 제품 속성별 영향력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11. 서철현, 「브랜드 글로벌성과 브랜드 명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0).
  12. 송성진,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품의 정보전달이 구매만족과 반품에 미치는 영향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13. 유소이.윤하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경험과 영향요인: 비타민/미네랄, 알로에, 칼슘, 홍삼, 글루코사민을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2),(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1).
  14. 윤석순, 「삼산업의 품질규격과 수요확대 방안」, 세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7).
  15. 윤성환,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 개성이 상해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무역학회지」(한국무역학회, 2006).
  16. 이선, 「한국여행 중국 소비자의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17. 정헌배, 고성권, 박성훈, 조순현, 임병옥, 「주요 국가들의 인삼 소비실태와 인식에 관한 조사」, 「고려인삼학회지」, 29(3)(고려인삼학회, 2005).
  18. 정헌배, 손익동, 황영태, 고병권, 임병옥, 「홍콩 국제 인삼시장의 수입수요 분석」, 「고려인삼학회지」, 30(3) (고려인삼학회, 2006).
  19. 조영태, 「정해진 미래시장의 기회」(북스톤, 2018).
  20. 조재환, 「인삼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0).
  21. 최나영, 「한국 인삼제품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도 및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7).
  22. 최정민, 「브랜드의 진정성이 브랜드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5).
  23. 채병권, 「한국고려인삼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 연구 - 금산지역 인삼제품의 대 중화권 수출 중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7).
  24. 채홍(2016), 「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와 제품품질이 한국 인삼제품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인 소비자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5. 편이숙, 「기능성화장품과 기능성식품의 구매행태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0).
  26. 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8 해외시장 맞춤조사」(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8).
  27. 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9 해외시장 맞춤조사」(한국농수산유통공사, 2019).
  28.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홈페이지, http://www.kati.net(검색일: 2020년 11월 1일).
  29. 농림축산식품부, 2020 인삼 통계자료집(2021, 08).
  30. Bleiel. Functional foo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How to make it a success? International Dairy Journal 20 (2010).
  31. Holm L. Food health policies and ethics: Lay perspectives on functional food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Ethics 16 (2003).
  32. Urala N, Lahteenmaki L, Consumer's changing attitudes towards functional food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