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매의도

Search Result 1,4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모바일 쇼핑에서 광고 유형과 앱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활용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Park, Ji-S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23-128
    • /
    • 2019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전 및 보급 확대에 따라 사용자의 범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광고 또한 인터넷 기반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기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편의성이 증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를 결정하고, 결제하는 행위 등 모바일에서 이루어지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앱을 구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사용량이 급증하게 된 모바일 쇼핑에서 SNS활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여 광고 유형과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결과를 제시하여 관련 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모바일 광고유형, 앱 특성에 관한 고찰과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광고 유형, 앱 특성으로 구분하고 이들 변수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로 SNS활용도를 도입하였다.

  • PDF

The Study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m, Gyu-Hong;Lee, Jong-Ho
    • 한국산학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57-77
    • /
    • 2006
  • 모바일 인터넷 시장은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인터넷 환경과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연구되어 왔던 신뢰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모바일 환경에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화한 후, 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을 검토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들과 신뢰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용성, 용이성, 이동성, 유희성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용성, 용이성, 신뢰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K-POP'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중국소비자의 'K-POP' 선호도가 한국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Jong-Chul;Kang, Ji-Won;Im, Ji-W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1
    • /
    • pp.79-9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POP' preference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Especially, it revealed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Korean culture even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Further,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path relation according to the use-behavior of Korean wave contents. In this proposed model, we can see 'K-POP' prefer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of Korean culture event, but it was not significant for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The participation in Korean culture ev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However,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Thus, our finding showed that higher preference of 'K-POP' did not make caus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Further, the higher the preference of 'K-POP' was,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tension of Korean culture event was and, as a result,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got higher. In addition, path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media usage behaviors show that Chinese consumer who uses the internet and has a higher preference of 'K-PO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mmon products. Furthermor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urchase intension of Korean culture products and purchase intension of common products. In case of Chinese consumer who use the television, radio and newspapers, K-POP prefer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sion of common products.

제품선택속성이 제품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영향: 스타트업 제품을 중심으로

  • 박서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73-178
    • /
    • 2023
  • 스타트업이 초기 시장진출의 진입장벽을 극복하고, 신제품의 시장 진출 이후에 경쟁력을 잃어 실패하고 마는 데스밸리(DeathValley)를 극복해내기 위해서는 시장 진입 및 시장에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역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주된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 시장이 원하지 않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이유로 조사됨에 따라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상품을 만다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비해 자본력과 지속성에 약점을 갖고 있는 스타트업에 있어서는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타트업 제품선택속성이 제품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까지 연결이 되는지를 확인하여 스타트업이 제품 개발 시 소비자의 수요에 부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제품 구입 시 영향을 미치는 선택 속성을 가격, 디자인, 편의성, 기능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제품 선택 속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둘째,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선호도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품 선택 속성과 제품 선호도, 구매의도 및 구매의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선호도,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선택 속성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는 스타트업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이해 및 예측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문제 해결 실행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 PDF

Analy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ts' Intention up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nd Purchase Intention on Tourism Omnichannel Service (관광옴니채널 서비스에 대한 관광객 통합기술수용의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 Park, Hyun-Jee;Park, Jung-Hwan;Lee, Joung-Sil;Kim, Young-Ha;Park, Bong-G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5
    • /
    • pp.157-16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intention upon UTAUT and purchase intention on tourism omnichannel considering moderating effect of trust and purchase propensity. As the results, 1) there are parti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are parti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2) trust and 3) purchase propensity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on tourism omnichannel. In order to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of diversified custom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OmniChannel which integrates the on-off line, for the future, more in-depth study of purchase propensity of tourism omnichannel should be needed.

모바일음악콘텐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Yang, Seung-Gyu;Kim, Geon-A;Hwang, Seong-Hun;Lee, Jung-J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926-930
    • /
    • 2007
  • 본 연구는 음악콘텐츠를 생산, 유통, 판매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과연 소비자들의 어떤 인지요인들이 모바일음악콘텐츠 상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모델로는 모바일음악콘텐츠 상품을 정보기술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이러한 정보기술의 수용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기술수형모형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주요 이론적 토대로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모바일음악콘텐츠를 벨소리콘텐츠, 통화연결음콘텐츠, 음악 전곡 다운로드콘텐츠로 유형화하고, 각 분류에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설문을 실시한 결과, 첫째, 회귀분석을 통해 벨소리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차별성, 편재성, 신뢰성, 보안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화연결음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인 경우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차별성, 편재성, 신뢰성, 보안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전곡 다운로드콘텐츠 구매의도와의 관계인 경우 최종 도출된 요인들은 이용경력, 복제가능성, 신뢰성, 맞춤성, 사용편의 지각, 유용성 지각으로 나타났고, 이는 모바일음악콘텐츠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끼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특히 이동통신기기 특유의 콘텐츠와 일반음악콘텐츠의 경우 큰 차이를 구매의도와 독립변수간의 관계에서 보여주고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urchasing Intention on the Internet (인터넷 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 Park,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1-141
    • /
    • 2000
  • 본 연구는 실물과 인터넷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팩토리얼 디자인에 의한 실험설계에 의해 대학생 480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로는 소비자 특성(인터넷 사용량, 혁신성), 제품유형(탐색재/경험재), 가격할인폭, 상표였다. 그 결과 인터넷 다량사용자와 고혁신자 일수록, 경험재보다는 탐색재의 경우가, 가격할인폭이 클수록, 그리고 무명상표보다는 유명상표의 경우에 인터넷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물구매의도가 인터넷 구매의도보다 높았으나, 인터넷 다량사용자와 고혁신자의 경우에 이 양자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격 할인폭이 클 경우에는 제시했을 때는 실물구매의도보다 오히려 인터넷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을 확대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Using a Flow (Flow를 이용한 소비자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Park, Jong-Won;Yoon, Sung-Jun;Choi, Dong-Choo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2
    • /
    • pp.59-75
    • /
    • 2003
  • In order for electronic commerce to be successful, it must hav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user who are consumers in the cyber space and impacts their purchase intentions. We were able to obtain participation of 350 people from across the country using 316 responses(34 responses removed), we derived statistics by means of SPSS/PC version 10.0 and AMOS 4.0 statistics package.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kill and the sense of challenge,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increased. And the degree of skill has a negative influence on awareness of perceived risk than the sense of challenge. Perceived service quality, perceived risk and involvement has a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s.

  • PDF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 The Propensity For Consumption Purchase Intention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hang, Haikuo;Yao, JinGe;Bae, Ki-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413-426
    • /
    • 2021
  • This paper's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nese consumer propensity to Korean cosmetics purchase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 first, the sub-factors of Chinese consumers' consumption propensity, fashion-seeking propensity, brand-seeking propensity, price-seeking propensity, and quality-seeking propensity, were all deduc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nese consumers' trust in Korean cosmetics. It was found that price pursuit ori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while other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Chinese consumers' trust in Korean cosmetic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rust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fashion-seeking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brand-pursuing orientation, quality-seeking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ereas a mediating effect was not found between price-seeking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urth, Korea's national image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농식품 쇼핑물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3-95
    • /
    • 2021
  •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질병(COVID-19)은 많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그로 인해 학교 개학 연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가정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정부의 사회적 거리 제한에도 식료품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 필수품이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은 온라인 소매상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이며 온라인 쇼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판매 품목 중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농식품은 다른 제품보다 더딘 온라인 쇼핑의 성장 행태를 보이고 있다. 시장 상황을 보아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농식품의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 제품군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해 농식품 쇼핑몰의 특성과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농산물 쇼핑몰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 활성화를 위한 농식품 쇼핑몰 혁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농식품의 온라인 및 모바일 거래에서 거래 위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