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Obstacles in the Export Process of Korean Ginseng

고려인삼 수출과정에서의 장애요소 분석 - 중국, 홍콩, 대만에 대한 고려인삼 수출을 중심으로

  • Hongjian Lin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굉건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 Received : 2023.10.15
  • Accepted : 2023.12.26
  • Published : 2024.03.02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ssues in Korean ginseng exports through analyzing the ginseng market.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ginseng production statu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major ginseng-produc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cultivated areas, harvested areas, and production volumes. For South Korea, specific data on ginseng, such as average prices, operating costs, and production costs, were compiled to demonstrate the production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Furthermore, as major ginseng-exporting countries, South Korea, China, and Hong Kong's export trends, including export quantities, export values, and export prices, as well as crucial export items and tariff rates, were summarized to showcas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ginseng in China, Hong Kong, and Taiwan by presenting various cases and events in these countrie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ion, export, and consumption, this study identified obstacles in the ginseng export process, including market downturns, weakened 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increased market share of competing products like Chinese and Western ginseng, a lack of promotion and marketing, and insufficient development and export of various ginseng products. In response,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se obstacles were proposed, including diversifying exports, establishing effective production systems, enhancing quality and branding, strengthening promotion and marketing efforts, and developing various ginseng products.

본 연구는 인삼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려인삼 수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주요 인삼 생산국인 한국과 중국의 인삼 경작면적, 수확 면적, 생산량 등의 인삼 생산 현황에 대해 파악하였고 한국의 경우 인삼의 평균 가격, 경영비용, 생산비용 등을 별도로 정리함으로써 생산 측면의 고려인삼의 생산 경쟁력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어 주요 인삼수출국으로서의 한국, 중국, 홍콩의 수출량, 수출액, 수출단가와 같은 수출 동향과 주요 수출 품목 및 관세율 등의 수출 데이터를 정리하여 고려인삼의 수출 경쟁력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에 덧붙여 중국, 홍콩, 대만의 인삼 소비 현황을 다양한 사례와 사건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수출국 현지의 소비 형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산, 수출, 소비 등에 대한 정보를 미루어봤을 때, 본 연구는 고려인삼의 수출 과정의 장애 요소를 수출시장의 경기침체, 취약한 고려인삼의 가격 경쟁력, 중국 삼과 서양 삼 등 경쟁제품의 시장점유율 증가, 홍보와 판촉의 부족, 다양한 인삼 제품의 개발과 수출의 부족 등으로 도출했다. 동시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출 다각화, 효과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 품질 및 브랜드 강화, 홍보와 마케팅 강화, 다양한 제품 개발 등의 전략을 제안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년 고려인삼학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박지혜, "면역력 관심 커지자... 한국산 인삼 미국서 주목", (헤럴드경제, 2021,04,7) 
  2. 농림축산식품부 원예산업과, 「2022년 인삼 통계자료집」 (농림축산식품부, 2023,1,5) 
  3. 서종혁 외.「인삼산업의 중장기 발전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1992) 
  4. 성명환 외. 「인삼 수급전망과 인삼협동조합의 경제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5. 정헌배 외. 「인삼산업의 세계화 전략」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인삼산업연구센터, 이진 문화사. 2003) 
  6. 김희철. 「한국 인삼의 국제경쟁력의 변천과정과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영사학 제23집 제3호」, (한국경영사학회, 2008). 
  7. 곽이성. 「고려인삼 연구의 글로벌화 전략」. 「고려인삼 연구와 산업 4월호」 (고려인삼학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