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Lesson Planning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4.01.05
  • Accepted : 2024.01.19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actical research needed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plans. Specifically, a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that included elementary student misconceptions was presented and the influences of this activity on preservice teachers' science lesson planning were assessed. First, the eight preservice teach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lesson plan for a dissolution and solution unit, after which a first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hen,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Based on the activity results, the participants revised their previously planned lessons, and seco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and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investigate the lesson plan changes. It was found that after the video clip-based pedagogical reasoning activity, the preservice teacher tightened the activity or changed the material to understand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es. In addition, they supplemented their goals and assessment criteria to accommodate the diverse students' thinking. Some also specified motivational strategies that considered student interests, motivation, and possible misconceptions. However, some preservice teachers still set goals that did not sufficiently account for student misconceptions and some planned the student assessments based only on the learning goals rather than the students' thinking. The few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motivational strategies that considered interest, motivation, and misconceptions. The preservice teachers claimed that they had difficulty predicting the misconceptions and connecting these to the lesson content. Discussions were then held to assist the preservice teachers to consider possible student misconceptions when planning their lessons.

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이 연구에서는 오개념이 드러나는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용해와 용액 단원에 대한 1차시의 수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반구조화된 1차 면담을 하였다. 이후 예비교사들에게 비디오 클립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한 수업을 수정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반구조화된 2차 면담을 진행하였다.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과 면담 전사본을 주 자료로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업 계획의 변화양상을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비디오 클립을 활용한 교육적 추론 활동 이후,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활동을 구체화하거나 소재를 변경하였다. 또한 일부 예비교사는 학생의 다양한 사고를 고려하여 목표나 평가 기준을 보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의 흥미나 동기, 오개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체화한 예비교사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예비교사가 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상태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사고보다는 정해진 학습 목표만 고려하여 평가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단순한 흥미 외에 오개념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기유발 전략을 구성한 예비교사도 많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오개념을 수업내용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오개념에 대한 예측 한계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학생의 오개념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교육부의 춘천교육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 사업비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고연주, 이현주(2014).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수행 경험이 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 및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49-45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449
  2.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3. 방정숙, 권민성, 선우진(2017). 수학교육에서 노티싱(Noticing)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교수학, 19(4), 795-817.
  4.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5. 선우진, 방정숙(2020). 예비 초등교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수학교육학연구, 30(4), 751-772.
  6. 손태권, 황성환(2021). 학생의 문제해결 전략에 대한 교사의 노티싱 역량 분석: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60(2), 229-247.
  7. 송나윤, 윤혜경(2023). 학생의 용해와 용액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추론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64-81.
  8. 양찬호, 송나윤, 김민환, 노태희(2016). 중등 예비 화학 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81-691.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81
  9.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10.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아동의 과학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64-18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2.164
  11. 윤혜경(2015). 학생의 과학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추론. 초등과학교육, 34(1), 58-71.
  12. 윤혜경(2020). 그림자 원리에 대한 초등과학 수업 지도안 분석-시각적 표상의 유형과 인지 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1), 26-39.
  13. 윤혜경, 송영진(2017). 과학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반성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553-564.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553
  14. 윤회정(2022).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성찰지에 나타난 노티싱 특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754-770.
  15. 장명덕(2006).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91-205.
  16. Appleton, K. (2007).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S. K. Abell & N.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493-53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Choy, B. H., Thomas, M. O.J., & Yoon, C. (2017). The FOCUS framework: Characterising productive noticing during lesson planning, delivery and review. In E. O. Schack, M. H. Fisher, & J. A. Wilhelm (Eds.), Teacher Noticing: Bridging and Broadening Perspectives, Contexts, and Frameworks (pp. 445-466). Cham, Swizerland: Springer.
  18. DiSessa, A. A. (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2-3), 105-225. https://doi.org/10.1080/07370008.1985.9649008
  19. Hammer, D. (1996). Misconceptions or p-prims: How may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gnitive structure influence instruction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5(2), 97-127.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502_1
  20.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https://doi.org/10.1002/sce.20473
  21. Goldman, R. (2007). Video representations and the perspectivity framework: Epistemology, ethnography, evaluation, and ethics. In R. Goldman, R. Pea, B. Barron, & S. J. Derry (Eds.), Video Research in the Learning Sciences (pp. 3-38). Mahwah, NJ: Lawrence Erlbaum.
  22. Lam, D. S. H., & Chan, K. K. H. (2020). Characterising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noticing of different forms of evidence of student th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4), 576-597. https://doi.org/10.1080/09500693.2020.1717672
  23. Lemke, J. (2007). Video epistemology in- and outside the box: Traversing attentional spaces. In R. Goldman, R. Pea, B. Barron, & S. J. Derry (Eds.), Video Research in the Learning Sciences (pp. 39-5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Park, S., & Chen, Y.-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https://doi.org/10.1002/tea.21022
  25. Roller, S. A. (2016). What they notice in video: A study of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teach.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9, 477-498. https://doi.org/10.1007/s10857-015-9307-x
  26. Santagata, R., & Yeh, C. (2014).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and to analyze teaching effectiveness: Evidence from a video- and practice-based approach.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7, 491-514. https://doi.org/10.1007/s10857-013-9263-2
  27. Santagata, R., Zannoni, C, & Stigler, J. W. (2007). The role of lesson analysi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learning from a virtual video-based field experien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 123-140. https://doi.org/10.1007/s10857-007-9029-9
  28. She 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8155
  29. Star, J. R., & Strickland, S. K. (2008). Learning to observe: Using video to improv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 107-125. https://doi.org/10.1007/s10857-007-9063-7
  30.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31. van Es, E. A., & Sherin, M. 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44-276. https://doi.org/10.1016/j.tate.2006.11.005
  32. Walkoe, J. (2015). Exploring teacher noticing of student algebraic thinking in a video club.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6), 523-550. https://doi.org/10.1007/s10857-014-92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