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Research

초등과학 수업 연구를 위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변화 양상

  • Received : 2023.11.14
  • Accepted : 2024.01.19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researc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grades 4, 5, and 6 at an 18-class S elementary school in a medium-sized city in Chungcheongbuk-do conducte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research on elementary science lessons as part of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held 26 times over 7 months in 2020. Dur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video and audio recordings of the activities, research lessons, course material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eflection activiti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processing, reading, note-taking, description, classification, interpretation, reporting, and visualization; and th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elemen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framework. In the earl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stages, the participating teachers first discussed their teaching perspectives, their experiences, and their goals for teaching science, which resulted in a selection of research questions. The teachers then collaboratively designed and implemented research lessons for each grade level, after which lesson reflections were conducted. The teachers' abilities to engage in qualitative reflection on the research questions improved after each reflection itera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llaborative lesson study experience positively contributed to teaching expertise developme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us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xpertise are given.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수업 연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초등과학 수업 전문성의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충북의 한 중소도시에 있는 18학급의 S초등학교에서 2020년 4, 5, 6학년을 맡은 여섯 명의 초등교사들이 학교 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초등과학 수업에 대한 협력적 수업 연구를 7개월 동안 26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운영되는 동안 활동 영상 및 녹음 자료, 연구수업 녹화 영상, 수업 과정 자료, 전문적 학습공동체 성찰 활동 자료 등이 분석을 위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자료 처리, 읽기와 메모, 기술, 분류, 해석 그리고 보고 및 시각화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수업 전문성 준거 틀에 기반하여 수업 전문성 요소가 추출되었다. 그 결과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의 초기 단계에서 참여 교사들은 먼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과학 수업에 대한 경험 및 목표에 대해 소통하였고, 소통을 통해 연구질문을 선정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학년별로 공동의 연구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이를 동료교사들에게 개방하였다. 이후 수업에 대한 성찰이 진행되었으며, 교사들은 성찰이 거듭될수록 연구질문에 기반한 질적 성찰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적 수업연구 경험은 참여 교사들의 공동체적 학습과 이에 기반한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15).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1), 93-1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1.93
  2. 곽영순(2017). 교사 학습공동체: 신자유주의 그 이후. 교육과학사.
  3. 김남수(2013). 초등학교 전문학습공동체의 환경 수업 공동 설계와 실행 사례연구: 환경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환경교육, 28(3), 315-335.
  4. 김미환(2020). 초등학교 학교 안 수학교사학습공동체 발달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서연(2019).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서(2022).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초등과학 수업 연구'에 관한 사례 연구 - 교사의 학습, 전문성, 공동체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지선(2018).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수업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지연(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misconception)에서 정신모형(mental model)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9. 서경혜(2008).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53-80. https://doi.org/10.24211/TJKTE.2008.25.2.53
  10. 서경혜(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https://doi.org/10.24211/TJKTE.2009.26.2.243
  11. 서경혜(2012).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49-76. https://doi.org/10.24211/TJKTE.2012.29.2.49
  12. 성승민(2018).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송경오(2015).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3(4), 147-174.
  14. 신현석(2006).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공동체 운영모형 개발. 한국교육학연구, 12(1), 37-61.
  15. 양희은, 심수연(2023). 생산적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난 반복적 탐구의 유형과 전문적 학습 기회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5), 445-458. https://doi.org/10.14697/JKASE.2023.43.5.445
  16. 여상인, 성승민(2013).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2(4), 535-544.
  17. 윤정, 강에스더, 조영하(2016).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분석: 미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4(4), 155-185.
  18. 윤화영(2018).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이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초등과학사랑' 사례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경호(2017). 학습공동체 구축을 통한 학교교육 혁신방안. 2017 이슈페이퍼 5호, 한국교육개발원, 1-36.
  20. 이동선(2016). PMI 기법을 적용한 과학 토의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창의적 사고활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승호, 양민석, 한송이, 허소윤, 박세준, 박대권(2016).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2), 85-113.
  22. 이종철(2019).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변화 과정과 변화 동인에 대한 사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진아(2011). 2007년 개정 초등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및 시각자료의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혁규, 김남수, 김병수, 신지혜(2011). 수업 사례를 활용한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1(5), 97-139.
  25. 정대현(2020). 2007 개정 및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 지구와 우주 영역 비교 분석: 과학적 개념, 시각 자료, 탐구 활동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보람(2015).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에너지기후변화 수업 공동 설계와 실행 사례 연구-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영수(2004). 미래지향적 교육공동체 형성의 방향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2(1), 111-134.
  28. 차가현, 장신호(2014).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784-794.
  29. 최민석, 박수정(2019). 시⋅도교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실태 분석: 2019학년도 주요업무계획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077-1097.
  30. 최지훈(2018).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협력적 수업연구 경험-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CA: Sage.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2010).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32. De Bono, E. (1986). Edward De Bono's Cort Thinking. Advanced Practical Thinking Inc.
  33. Hargreaves, A. & Fullan, M. (2012). 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NY: Teachers College Press. 진동섭 옮김(2014).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 학교를 바꾸는 힘. 파주: 교육과학사.
  34.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35. Newman, F. M., & Wehlage, G. C. (1995). Successful School Restructuring. Madison, WI: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36.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7. Takahashi, A. & McDougal, T. (2014). Implementing a New National Curriculum: A Japanese Public School's Two-Year Lesson-Study Project. In A. R. McDuffie, & K. S. Karp (Eds.), Annual Perspec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APME) 2014: Using Research to Improve Instructi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3-21.
  38. Takahashi, A. & McDougal, T. (2016). Collaborative lesson research: Maximizing the impact of lesson study. ZDM Mathematics Education, 48, 513-526. https://doi.org/10.1007/s11858-015-075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