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an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erials in the pottery excavated at the palace site in Yongjangseong Fortress, Jindo

진도 용장성 왕궁지 출토 도기호 내부 유기물의 분석법과 성분 특성 연구

  • YUN Eunyoung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U Jia (Division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Kyuho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윤은영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 유지아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김규호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2.06.08
  • Accepted : 2023.08.16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Pottery filled with organic materials was excavated from the G-2 building site of Yongjangseong Fortress, Jingo, a relic of the Goryeo Dynast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erial were confirmed by a scientific analysis of organic material in pottery found at the palace in Yongjangseong, Jindo.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review the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natural resin and to secure characteristic components(biomarkers) for each natural resin and use them as basic data in the future. The organic materials in the pottery were analyzed using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ourier-transformed infrared spectroscopy(ATR-FTIR)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 The infrared spectral characteristics were estimated to be natural resin, and biomarkers of organic materials were identified as sesquiterpene-based compounds(C15H24, MW 204) and derivatives. The lacquer(T.vemicifluum) is composed mainly of alkenes, alkanes, and catechol. Pine resin(P.densiflora), on the other hand, is primarily composed of diterpenoid(abietic acid, pimaric acid) and Whangchil(yellow lacquer) is identified to have sesquiterpenes(such as selinene, muurolene, calamenene) as its main components. So, the organic material in the pottery can be identified as Whangchil by comparing their compounds with modern resin materials from Dendropanax. morbifera that correspond with the results. Whangchil, which is exuded from the Dendropanax. morbifera, has been used as a natural coating materials since ancient time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re well preserved even 700 years later.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terior Whangchil was stored not for use as a coating, but rather for ritual purposes when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because the pottery was found near the cornerstone. Furthermore, based on simplified sample preparation using pyrolysis-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Py-GC-MS),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ducts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suggesting that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of natural resins used in historic artifacts.

고려시대 유적인 진도 용장성 왕궁지 G지구 건물지에서 내부에 유기물이 채워진 도기호가 출토되었다. 문화유산에 남아 있는 유기물은 동물과 식물자원에서 유래된 것으로, 과거 생활사 복원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하면서 최근 주목을 받아왔다. 이 연구는 진도 용장성 왕궁지에서 발견된 도기호 내부 유기물의 특성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와 함께 천연수지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 방법을 검토하고 천연수지별 특성 성분을 확보하여 향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도기호 내부 유기물은 적외선 분광법과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특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적외선 스펙트럼 특성으로는 천연수지로 추정되었으며,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을 통해 유기물의 주성분은 분자량이 204인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계열의 화합물(C15H24)과 유도체물로 확인되었다. 천연수지인 옻칠은 알켄류, 알칸류, 카테콜이 주성분이며, 송진은 수지산(아비에틱산, 피마릭산), 황칠은 세스퀴테르펜 계열의 화합물(셀레넨, 뮤뮬렌, 칼라메넨 등)이 주성분으로 확인되어, 도기호 내부 유기물은 황칠로 규명할 수 있었다. 황칠나무에서 삼출되는 황칠은 예부터 천연도료로 알려진 전통 재료로, 700년이 지난 황칠에서도 특성 성분은 잘 보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석 인근에서 발견된 도기호는 진단구로, 내부에 담긴 황칠은 도료로 사용하기 위해 보관되기보다는 건물을 세울 때 진단용(ritual purposes)으로서 매장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전처리가 간소화된 열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 결과에서도 도기호 내부 유기물의 열분해산물이 황칠의 특성 성분과 유사하게 검출됨에 따라 향후 문화유산에 사용된 천연수지 규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태.윤은영.박종서, 2014, 「옥제품과 호박의 과학적 분석 조사」, 『武寜王陵 III』, 국립공주박물관, pp.56~78.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9, 『경주 황남동 대형건물지- 황남동123-2번지 유적-』,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102.
  3. 국립산림과학원, 2011, 『황칠나무』, pp.9, 16~47.
  4.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문화재 과학적 분석 재질별 연구사례』, pp.138~142.
  5. 김지은.유지아.정용재, 2017, 「Py-GC/MS 분석법을 이용한 첨가물 혼합 옻칠 접착제의 정성분석」, 『보존과학회지』 33(1), pp.51~59. https://doi.org/10.12654/JCS.2017.33.1.07
  6. 김효윤, 2014, 「영흥도선 출수 도기병의 내용물 분석」, 『인천 옹진군 영흥도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pp.360~367.
  7.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진도 용장성 왕궁지 발굴조사 종합보고서-본문』, pp.17~30, 106.
  8. 박종서.이정원, 2017, 「열분해/GC/MS와 IR을 이용한 사찰 벽화 시편 교착제 분석」, 『보존과학회지』 33(5), pp.449~457.
  9. 안준철.김민영.김옥태.김광수.김성호.김세현.황백, 「황칠수액 분비 우수개체 선발 및 방향성 정유성분 조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0(2), pp.126~131.
  10. 유혜선, 2009, 「유개합 내부 잔류물질 분석」, 『경주 황남동 대형건물지 -황남동123-2번지 유적-』,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p.159~180.
  11. 윤은영, 2019, 「도기호 내부 유기물질 분석」, 『진도 용장성 왕궁지 발굴조사 종합보고서-본문』, 목포대학교박물관, pp.561~567.
  12. 윤은영, 2021, 「유기잔존물 분석을 활용한 천연 수지 특성 분석-의정부 신곡동 유적 출토 목관 부착 유기물을 중심으로」, 『문화재』 54(4), pp.78~89. https://doi.org/10.22755/KJCHS.2021.54.4.78
  13. 윤은영.강형태, 2014,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토기의 접합에 사용한 물질 분석」, 『보존과학회지』 30(1), pp.33~38. https://doi.org/10.12654/JCS.2014.30.1.04
  14. 임기표.정유양.홍동화, 1998, 「전통 황칠 도료 개발에 관한 연구(III)-전통 황칠 도료의 주성분 분석」, 『목재공학』 26(3), pp.73~80.
  15. 정병석.조종수.표병식.황백, 1995, 「전통 황칠 도료 개발에 관한 연구(III)-전통 황칠 도료의 주성분 분석」, 『한국생물공학회지』 10(4), pp.393~400.
  16. Colombini, M.P., Modugno, F., 2009, 「Organic maerials in art and archaeology」, Organic mass spectrometry in art and archaeology, pp.3~35.
  17. Evershed, R.P., 2008, 「Organic residue analysis in archaeology: The archaeological biomarker revolution」, Archaeometry 50(6), pp.895~924. https://doi.org/10.1111/j.1475-4754.2008.00446.x
  18. Mills, J.S., White, R., 1994, 『The organic chemistry of museum objects』, 2nd, Butterworth Heinemann, pp.99~105.
  19. Niimura, N., Miyakoshi, T., 2003, 「Characterization of Natural resin films and identification of ancient coating」, J. Mass Spectrom. Soc. Jpn 51(4), pp.439~457. https://doi.org/10.5702/massspec.51.439
  20. Regert, M., Vacher, S., Moulherat, C., Decavallas, O., 2003, 「Adhesive prpduction and pottery function during the iron age at the site of grand aunay(sarthe, France)」, Archaeometry 45(1), pp.101~120. https://doi.org/10.1111/1475-4754.00098
  21. Steele, V.J., Stern, B., Stoot, A.W., 2010, 「Olive oil or lard?: Distinguishing plant oils from animal fats in the archeological record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using gas chromatography/combustion/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 Rapid communications in Mass spectrometry 24, pp.3478~3484. https://doi.org/10.1002/rcm.4790
  22. 안정복, 동사강목(東史綱目), 제3하,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6A_0110_000_0050_2002_002_XML(접속일: 2023. 5. 29.)
  23. 김종서 외,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제20권,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94A_0210_010_0050_2000_003_XML(접속일: 2023. 5. 29.)
  24. 서긍, 고려도경, 제23권,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9A_0240_010_0080_2003_001_XML(접속일: 2023. 5. 29.)
  25. 진연의궤 제2권, 감결(甘結), 임인년 10월 1일, 한국고전종합 DB,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448A_0030_110_0060_2011_002_XML(접속일: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