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방안과 사적 지정 전략

Conservation Plan and Historic Site Designation Strategy of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 신민철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투고 : 2022.12.28
  • 심사 : 2023.02.01
  • 발행 : 2023.03.30

초록

본 글은 시도지정기념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비 방안과 전략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초기 청자요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 유적의 높은 학술적 잠재력을 설명하면서 기념물 지정으로 인해 추진될 예산 확보, 향후 사적 지정에 대한 기대까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현황과 정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념물로 지정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이 유적이 향후 사적 지정을 위한 정비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해야 할지에 대해 현지 조사 등으로 현재의 보존상황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유적의 명확한 성격을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와 문헌조사를 시행하고, 현지 조사를 토대로 관람객들을 위한 안내시설을 정비하고 이와 연계한 홍보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적의 정의 및 도자기 가마의 사적 지정 현황과 함께 지정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사적 지정된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요지의 사례를 검토하여 발굴조사, 문헌조사, 학술대회의 세 가지를 사적 지정의 목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발굴조사의 결과는 완전성, 진정성, 정체성을 두루 갖춘 문화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근거가 된다. 문헌조사는 발굴로 밝혀지지 않은 유구의 역사적·문화적 성격을 보완하는 근거가 된다. 학술대회는 문화재가 가진 위치성과 유적의 위상, 유적과 관계 있는 사건 등 문화재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maintenance plans and strategies for designating the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a monument designated by the city and province as a historical site. Prior to the discussion, the high academic potential of this site,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in point of early celadon main point, was explained,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designation of the monument were reviewed. Next,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plans of the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were examined. In particular, the current preservation situation was reviewed through an on-site survey on how the ruins, which have not been designated as a monument, should be maintained for historical designation in the future. Above all, it wa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duct excavation and literature survey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ins, investigate the surrounding areas, improve information facilities for visitors, and carry out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them. Finally, the definition of historical sites and the status of historical designation of ceramic kilns, along with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designation,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examples of the existing historical designated celadon kiln site in Dotong-ri, Jinan, and Buncheong Kiln Site in Undae-ri, Goheung were reviewed, and three types of excavation surveys, literature surveys, and academic conferences were presented as the target directions for historical designation.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survey is the basis for suggesting that it has cultural property values with completeness, authenticity, and identity. The literature survey is the basis for supplemen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of the remains that have not been revealed by excavation. The academic conference explained that it i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value of cultural assets, such as the location of cultural assets, the status of relics, and events related to relics.

키워드

참고문헌

  1. (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 2022,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정비사업부지내 발굴조사 복토 계획서」.
  2. 고창군, 2021,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전라북도 지정문화재(기념물) 신청 자료」.
  3. 고창군.(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 2021,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정비사업부지내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4. 고창군.(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 2022,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정비사업부지내 발굴조사(2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5. 고흥군.전국문화원연합회전라남도지회.고흥문화원, 2004, 「고흥 운대리 도자문화의 성격과 발전 방안」학술대회.
  6. 고흥군.전남대학교박물관, 2012, 「동아시아에서 본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 요지」 국제학술대회.
  7. 고흥군.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7, 「동북아 분장분청사기의 변천과 고흥 운대리 분장분청사기의 의미」 국제학술대회.
  8. 국립광주박물관, 2019, 「한국가마터 발굴현황 조사: 1. 고려청자」.
  9. 국립광주박물관, 2020, 「한국가마터 발굴현황 조사: 2. 분청사기(上)」.
  10. 국립전주박물관, 2014, 「진안 도통리 청자」.
  11. 군산대학교박물관, 2016, 「진안 도통리 초기청자요지 I」.
  12. 국립전주박물관.군산대학교박물관.진안군, 2017, 「진안 도통리 중평 초기청자요지 II」.
  13. 국립전주박물관.군산대학교박물관.진안군, 2019, 「진안 도통리 중평 초기청자요지 III」.
  14. 기호철, 2022, 「문헌으로 본 고창 용계리 청자의 형성과 발전」, 「고창 용계리 청자요지 천년도자 기념 국제학술대회」.
  15. 김철주, 2021, 「사적 지정의 행정적, 학술적 검토」, 「역사가 남긴 기념물, 사적」 문화재 행정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문화재청.
  16. 노중국, 2006, 「사적의 이해」, 「2006 문화재관리자교육」 문화재청 자료집.
  17. 문화재청, 2011, 「2011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1차 사적분과위원회 회의록」.
  18. 문화재청, 2019, 「2019년도 문화재위원회 제6차 사적분과위원회 회의록」.
  19. 문화재청, 2022,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2022~2026)」.
  20.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2000, 「禪雲寺-興德間 道路擴張工事 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
  21.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高敞郡, 2005, 「文化遺蹟分布地圖: 高敞郡」.
  22. 尹龍二, 1993, 「韓國陶瓷史硏究」, 문예출판사.
  23. 이종민, 2021, 「한국 초기청자 가마 현황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위치」, 「초기청자를 품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그 역사적 가치와 의미」 학술대회 자료집.
  24. 이주헌, 2020, 「진안 도통리 청자가마터의 보존과 활용」, 「한국전통문화연구」 25.
  25. 정상기, 2021,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와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비교 검토」, 「초기청자를 품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그 역사적 가치와 의미」 학술대회 자료집.
  26. 진안군, 2019, 「전북 기념물 제134호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 국가 문화재(사적) 지정 가결 보고」.
  27. 車順喆, 2002, 「'官'자명 명문와의 사용처 검토」, 「慶州文化硏究」 5.
  28. 차인국, 2021,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조사성과」, 「초기청자를 품다,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그 역사적 가치와 의미」 학술대회 자료집.
  29. 湖南文化財硏究院, 2020,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 긴급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홈페이지(https://buncheong.goheun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