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structional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Using Metaverse and Perceptions of Students: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Unit in Sixth Grade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식 - 6학년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 왕태조 (광주도평초등학교) ;
  •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Received : 2023.10.16
  • Accepted : 2023.11.20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using metavers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 experience in science, and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we examined their perceptions. The respondents were derived from two classes in the six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ho were selected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n=29 students) and comparative (n=29) groups, respectively. Across five lessons under the "Plant Structure and Function" uni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science classes using the metaverse, whereas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general textbook-based classes. To investigate instructional effects, the study performed ANCOVA using the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science classes using metaverse,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a number of subject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cience classes using metaverse exerted no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and digital literacy. However, the study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learning emotion which is a sub-element of positive experiences in science. The students were positively aware of science classes using metaverse in terms of interesting and diverse activities, and free expression of inquiry results and perceived the instability of smart devices and network connections as regrettable. Finally, the study posed the implications of the use of metaverse in science classes.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긍정 경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에서 6학년 두 개 학급으로 각각 실험집단(29명)과 비교집단(29명)으로 선정했다.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5개 차시에 대하여 실험집단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교과서 기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설문 조사와 일부 대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과학 학업 성취도와 디지털 리터러시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으며, 과학 긍정 경험의 하위 요소 중 과학 학습 정서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활동이 흥미롭고 다양하며 탐구 결과의 표현이 자유롭다는 측면 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스마트기기나 네트워크 연결의 불안정성을 아쉬운 점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수업에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계보경, 임철일, 한송이, 김은지, 권미영, 홍수민, 이다연, 박주현, 엄태연, 최재훈(2023).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가이드북_F. (GM 2023-1).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곽희관, 신동훈(2023).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과 환경'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42(2), 385-397.
  3. 교육부(2022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저자.
  4. 교육부(2022b).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저자.
  5. 김승재, 조규락(2022).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메타버스의 연구현황 탐색. 미래교육연구, 12(4), 105-138.
  6. 김영빈(2023).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지리수업의 학습실 재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7. 남상덕(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논총, 38(4), 111-134. https://doi.org/10.23103/DNUEJE.2022.38.4.111
  8.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9. 안서경(2023).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국어 융합수업이 자료.정보 활용 역량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10. 안성훈 등(2023). 2022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선 방안(KR 2023-1).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윤현정, 이진, 윤혜영(2021).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 가능세계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62, 57-81.
  12. 이동국, 김동원, 변숙자(2022). 초.중등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 443-458.
  13. 이수미(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피지컬 컴퓨팅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14. 이용섭(2021).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48-256.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3.248
  15. 이현숙, 이운지, 차현진, 김수환, 나우열, 계보경, 한나라, 권연하, 노혜림, 조혜원, 이은지, 김민정, 박성우(2022). 2022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KR 2022-2).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6. 전재천, 장준혁, 정순기(2022).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학습자 태도 및 만족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3), 187-195.
  17. 정유남, 이영희(2022).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융합교육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 561-580.
  18. 조희수, 하지은, 허열(2022).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된 경험연구 문헌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 301-315.
  19. 천이주(2023). 체육교과에서 메타버스 테크놀로지 적용 및 활용방안 탐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 한송이, 노양진(2021).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대학 교수자 인식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11), 1793-1806.
  21. 홍애령(2023). 메타버스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 탐색. 교원교육, 39(1), 251-270.
  22. Almarzouqi, A., Aburayya, A., & Salloum, S. A. (2022). Prediction of user's intention to use metaverse system in medical education: A hybrid SEM-ML learning approach. IEEE Access, 10, 43421-43434. https://doi.org/10.1109/ACCESS.2022.3169285
  23. Dionisio, J. D. N., Burns, W. G., & Gilbert, R. (2013). 3D virtual worlds and the metaverse: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ACM Computing Surveys (CSUR), 45(3), 1-38. https://doi.org/10.1145/2480741.2480751
  24. Larsson, L. (2000). Digital literacy checklist, Draft version 1.0. Washington: University of Washing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