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ilures i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How Students Cope with Them

공학적 설계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이 마주하는 실패 경험과 이에 대한 대처 행동의 특징 탐색

  • Received : 2023.10.17
  • Accepted : 2023.11.15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ypes of failure encounte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how they coped with them. To achieve this goal, we developed and taught engineering design lessons on water shortages to four fourth-grade classes, observing and interviewing seven focus groups. Our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 failur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ypes: those caused by cognitive factors and thos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While cognitive failures are typically within students' control, environmental factors are beyond their reach. Our findings also showed that students tended to avoid discussing the root causes of failure and instead relied on ad hoc solutions. Additionally, some students lowered their expectations for success to avoid failure. Based on our findings, we offer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educators to help students learn from their failures in a constructive manner.

본 연구는 공학적 설계 과정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학생들이 공학적 설계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실패를 경험하였으며,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물의 여행' 단원에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 장치 설계하기' 차시를 공학적 설계 과정에 맞추어 재구성하였으며, 4개의 학급에 재구성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7개의 초점 집단을 정하고, 초점 집단의 학생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경험한 실패는 크게 인지적 요인으로 인한 실패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실패로 나눌 수 있었다. 인지적 요인들은 대체로 학생들이 통제 가능한 요인들이었던 반면, 환경적 요인은 통제할 수 없는 요인들이었다. 실패를 경험한 학생들은 대체로 실패의 원인에 대한 논의를 하지 않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즉흥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학생들은 실패를 회피하고자 테스트의 성공 기준을 완화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를 건설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일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8066030)

References

  1. 강남화, 최상호, 정은영, 이경택, 이나리, 임성민, 이준기, 김현경, 남윤경, 손정우, 임희준, 오기철, 윤현주, 이상민(2023). 융합교육(STEAM) 성과지표 개발 및 융합교육 종합계획 이행 분석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3.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9].
  4. 김아영(2018). 실패는 나의 힘. 초이스북.
  5. 김종백(2017). 지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실패교육. 교육심리연구, 31(4), 745-766.
  6. 남윤경, 이용섭, 김순식(2020). 과학.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 및 공학 설계 수준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21-133.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121
  7.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연(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9. 변명섭(2008).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 자연보존, 142, 33-39.
  10. 이동영, 남윤경(2018).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63-77.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63
  11. 임성만, 강원미, 위수민, 양일호(2012).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 특성; 과학학습 동기체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25-6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25
  12. 한경희, 윤일구, 이강택, 김태연(2014). 실패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공학교육에서의 함의. 공학교육연구, 17(6), 12-19. https://doi.org/10.18108/JEER.2014.17.6.12
  13. Clifford, M. M. (1984). Thoughts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Educational Psychologist, 19(2), 108-120. https://doi.org/10.1080/00461528409529286
  14. Clifford, M. M. (1990). Students need challenge, not easy success. Educational Leadership, 48(1), 22-26.
  15. Cunningham, C. M. (2017). Engineering in elementary STEM education: curriculum design,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Teachers College Press.
  16. Cunningham, C. M., & Kelly, G. J. (2017). Epistemic Practices of Engineering fo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101(3), 486-505.
  17. Cunningham, C. M., & Lachapelle, C. P. (2014). Designing engineering experiences to engage all students. Engineering in Pre-College Settings: Synthesizing Research, Policy, and Practices, 21(7), 117-142. https://doi.org/10.2307/j.ctt6wq7bh.10
  18. Finn, A. (1979). Academic success or failure: a clinical approach through open interviews wi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Revue de Psychologie Appliquee, 29(1), 1-14.
  19. Frate, L. D. (2013). Failure of engineering artifacts: a life cycle approach. Journal of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19(3), 913-944.
  20. Johnson, M., Kelly, G., & Cunningham, C. (2021). Failure and Improvement in Elementary Engineering. Journal of Research in STEM Education, 7(2), 69-92. https://doi.org/10.51355/jstem.2021.101
  21. Kenned y, T., & Od ell, M. (2014). Engaging stud ents in STEM educatio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5(3), 246-258.
  22. Lottero-Perdue, P. S., & Parry, E. A. (2017a).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s on design failures and use of fail words after teaching engineering for two years.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J-PEER), 7(1), 1-24.
  23. Lottero-Perdue, P. S., & Parry, E. A. (2017b). Perspectives on failure in the classroom by elementary teachers new to teaching engineering.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J-PEER), 7(1), 47-67.
  24.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NASEM). (2020). Building capacity for teaching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National Academies Press.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6.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27. Park, J., Abrahams, I., & Song, J. (2016). Unintended knowledge learnt in primary science practical les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6), 2528-2549. https://doi.org/10.1080/09500693.2016.1250968
  28. Petroski, H. (2012). To forgive design: understanding failur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9. Robbins, R. L., & Harway, N. I. (1977). Goal setting and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0(6), 356-362. https://doi.org/10.1177/0022219477010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