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Archive Opening and Sharing Projects of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External Users of Shared Archive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5.18 Footage Video Sharing Project 〈May Story(Owol-Iyagi)〉 Contest Organized by KBS

국내 지상파 방송사의 아카이브 개방·공유 사업과 아카이브 이용자 연구 KBS 5.18 아카이브 시민공유 프로젝트 <5월이야기> 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 최효진 (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새공공영상문화유산정책포럼 )
  • Received : 2023.09.29
  • Accepted : 2023.10.26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is paper focus on the demand for broadcast and video archive contents by users outside broadcasters as the archive openness and sharing projects of terrestrial broadcasters have become more active in recent years. In the process of creating works using broadcasters' released video footage, the study examined the criteria by which video footage is selected and the methods and processes utilized for editing.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the case of the 5.18 footage video sharing project 〈May Story(Owol-Iyagi)〉 contest organized by KBS in 2022, in which KBS released its footage about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invited external users to create new content using them. Analyzing the works that were selected as the winners of the contest, the research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reators of each work. 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are identified. Among the submitted works, many works deal with the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focus on the impact of this historical event on individuals and our current socie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ways in which broadcasters' footage is used in secondary works. We found ways to use video as a means to share historical events, or to present video as evidence or metaphor. It is found that the need for broadcasters to provide a wider range of public video materials such as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describing more metadata including copyright information before releasing selected footage, ensuring high-definition and high-fidelity videos that can be used for editing, and strengthening streaming or downloading functions for user friendliness. Through this, the study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broadcasters' video data openness and sharing business, and confirms that broadcasters' archival projects can be an alternative to fulfill public responsibilities such as strengthening social integration between regions, generations, and classes through moving images.

본 논문에서는 최근 지상파 방송사의 아카이브 개방·공유 사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방송사 외부 이용자들의 방송·영상아카이브 콘텐츠 수요를 연구하였다. 방송사가 개방한 영상자료를 활용해 2차 저작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용자가 영상자료를 선택하는 기준, 편집에 활용되는 과정 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KBS가 자사 5.18영상자료를 공개하고 이를 활용해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게 했던 '5.18 아카이브 시민공유 프로젝트 5월이야기' 공모전을 사례로 살펴 보았다. 해당 공모전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작품을 분석하고 각 작품을 제작한 수상자들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모전 출품작 중에는 직·간접적으로 5.18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내용을 다루면서 해당 역사적 사건이 개인과 현재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주제를 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방송사가 소장자료 일부를 일반에 공개한다는 사실만으로도 방송사 외부 이용자들에게는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해보고자 하는 제작동기를 갖게 하고, 새로운 주제를 구상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방송사 영상자료가 2차 저작물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영상자료를 매개로 하여 역사적 사건을 공유하거나, 영상자료를 증거 또는 비유로서 제시하는 방식을 확인했다. 방송사가 영상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5.18 민주화운동 등과 같은 공공성 있는 영상자료가 더 다양하게 개방되어야 한다는 점, 선별된 영상을 공개하기에 앞서 저작권 정보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터 정리, 실제 편집에 활용 가능한 고화질·고음질 영상 확보, 이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기능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향후 지상파 방송사의 영상자료 개방·공유사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방송사의 아카이브 사업이 영상자료를 매개로 한 지역·세대·계층 간 사회통합 강화 등 공적 책무를 이행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현(2022). 한국전쟁 푸티지영상,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역사문제연구, 26(1), 133-179.
  2. 김광철, 장병원(2004). 영화사전. 서울: 미디어.
  3. 김달아(2022.3.2). KBS, 개방형 아카이브 구축해 영상자료 무료 공개. 한국기자협회. 출처: http://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51125.
  4. 김지예(2020.9.3.). 1900년대 대한민국 영상으론 처음이지. 서울신문. 출처: https://en.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904024003
  5. 김지훈(2017.3.28). 파운드 푸티지 영화제작과 벤야민적 역사쓰기: 김경만의 편찬 다큐멘터리(compilation documentary). 웹진 DOCKING. 출처: http://dockingmagazine.com/contents/6/22/?npg=1&cc=&bk=search&stype=&stext=
  6. 김지훈(2018). 2010년대 한국 다큐멘터리의 '아카이브적 전환'과 벤야민적 역사쓰기. 문학과영상, 19(3), 379-406.
  7. 노지민, 윤수현, 윤유경(2023.7.19). 2023.7.19. 수신료 분리징수 사태 속 공영방송 역할에 냉혹한 평가. 미디어오늘. 출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342&fbclid=IwAR1j1Thi-goPA9FEqCgW-wJ6edytwjjr7ecGuCcIeTonSLsypDpkh4-glKc
  8. 민정희(2023.07.11.). TV 수신료 분리징수 내일(12일) 공포...당분간 현행처럼 동시 청구. KBS. 출처: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20912
  9. 박은해(2022.5.17.). KBS, 5.18 특집 다큐 편성...계엄군의 용서받지 못한 삶. 뉴시스. 출처: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517_0001874591#_PA
  10. 방송통신위원회(2020). 공영 디지털 방송콘텐츠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11. 방송통신위원회(2021). 디지털 방송콘텐츠 아카이브 구축 기반 조성 방안 연구.
  12. 방송통신위원회(2022). 디지털 방송콘텐츠 아카이브의 단계적 구축방안 및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13. 서울신문(2018.2.26). KBS 새사장 후보에 양승동 PD.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226500165
  14. 윤은하(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2.163
  15. 이미숙(2022.8.4). 다큐인사이트 현대사 영상 프로젝트 8.15 기획 영상 아카이브 '우리의 얼굴 1863-1938'. 한국강사신문. 출처: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657
  16. 이영돈(2014). 영상 콘텐츠 제작 사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7. 임진영, 이해영(2020). 방송 영상자료의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4), 107-128.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107
  18. 장슬기(2021.7.8.). 이준석.김기현, '수신료 인상' '언론개혁법 처리' 비판. 미디어오늘. 출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318&fbclid=IwAR3M6gs4AlTaJik_5r24uBlVxZSGjepqhro2taDwX8FK2e1nQp8i_gjeyIM
  19. 정완영(2022.12.22). KTV, 6.25 직후 희귀 영상 기록물 리버티뉴스 기증 받아-박영배 (주)맥스교육 대표 기증...미국 카메라에 담긴 1950~60년대 대한민국 모습. 출처: https://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731795
  20. 정회경, 김희경, 최효진(2022).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이용자 수요 분석.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15, 7-50.
  21. 최효진(2018). 국내 공공영상아카이브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과제 프랑스 INA FRAME 영상아카이브 국제연수 참가를 통해 살펴본 해외 동향 분석. 기록학연구, 58, 95-145.
  22. 최효진(2021a).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방송.영상 컬렉션 수집 및 활용 방향.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23. 최효진(2021b). '공공기록'으로서 방송.영상 콘텐츠의 '아카이브 효과' 연구.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12, 87-140.
  24. 최효진(2022). KBS 아카이브 공유사업 성과와 과제: 2022년 KBS 5.18 아카이브 시민공유 프로젝트 <5월이야기>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KBS 후원세미나 "아카이브 공개의 공공성과 한계에 대한 고찰"(2022.9.1., KBS 본관 TS4 스튜디오) 발표자료.
  25.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편(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26.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2021). 미디어 공공성.다양성 확대를 위한 방송통신 콘텐츠의 공적 활용방안: 디지털 방송통신 콘텐츠 아카이브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7.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19), 방송.영상아카이브 필요성 및 운영방안 연구.
  28. Baron, Jaimie(2013). The archive effect: found footage and the audiovisual experience of history. London; New York: Routledge.
  29. Ericson, Timothy L.(1990). Preoccupied with our own garden: Outreach and Archivists. Archivaria, 31, 114-122.
  30. Freeman, Elsie T.(1984). In the Eye of the Beholder: Archives administr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merican Archivist, 47, 111-123. https://doi.org/10.17723/aarc.47.2.a373340078502136
  31. Jenkinson, Hilary(1922). A Manual of Archival Administration. Oxford: Clarendon Press.
  32. Maher, WILLIAM J.(1986). The Use of User Studies. The Midwestern Archivist, 11(1), 15-26.
  33. Schellenberg, Theodore R(1956). Modern Archives: Princples and Techniques. Chicago: SAA.
  34. Zyrd, Michael(2003). Found Footage Film as Discursive Metahistory: Craig Baldwin's Tribulation 99, The Moving Image, 3(2), 40-61.  https://doi.org/10.1353/mov.2003.0039
  35.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740호.
  36. 공공기록물 서비스 표준(v1.1). NAK/S 21:2018.
  37. 방송법. 법률 제19326호. 
  38. 기억의 터 홈페이지. 출처: http://peace-memory.com/archives/764
  39. 시청자미디어재단 홈페이지 https://www.kcmf.or.kr/cms/index.php
  40. 유튜브 채널 KBS Drama Classic. 출처: https://www.youtube.com/channel/UCn0nlepACCBD6rxj-GUwn5A
  41. 유튜브 채널 옛드: MBC레전드드라마. 출처: https://www.youtube.com/@MBCdrama_classic
  42. 유튜브 채널 스브스케이팝xINKIGAYO. 출처: https://www.youtube.com/@SBSKPOP
  43.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 KBS Archive. 출처: https://www.youtube.com/@kbsarchive
  44. 유튜브 채널 옛송TV: 옛날노래모음. 출처: https://www.youtube.com/@Kpop_classic
  45. 유튜브 채널 SBS Catch. 출처: https://www.youtube.com/@SBSCatch
  46. Propaganda(2004). 네이버 지식백과: 영화사전. 출처: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42617&categoryId=42617
  47. KBS현대사아카이브 웹사이트. 출처: https://archives.kbs.co.kr/
  48. KBS 아카이브 5.18 영상 시민 공유 프로젝트 '5월이야기'. 출처: https://program.kbs.co.kr/special/culture/518story/pc/detail.html?smenu=c8e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