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atabase Design Model for Production System Record Management Module in DataSet Record Management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를 위한 생산시스템 기록관리 모듈의 DB 설계 모형연구

  • 김동수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임진희 (서울대학교 ) ;
  • 강성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09.30
  • Accepted : 2023.10.24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RDBMS is a widely used database system worldwide, and the term dataset refers to the vast amount of data produced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using RDBMS. Unlike business systems that mainly produce administrative documents,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generate records centered around the unique tasks of organizations. These records differ from traditional approval documents and metadata, making it challenging to seamlessly transfer them to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s. With the 2022 revision of the 'Public Records Act Enforcement Decree,' dataset was included in the types of records for which only management authority is transferred. The core aspect of this revision is the need to manage the lifecycle of records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xploration into how to manage dataset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s a result,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a database for a record management module that needs to be integrated in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to manage the lifecycle of records.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SO 16175-1:2020, we are designing a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dentifying and evaluating personnel management dataset. Through this, we aim to provide a concrete example of record management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t's worth noting that the prototype system designed in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volume compared to systems currently in use within organizations, and it has not yet been validated by record researchers and IT developers in the field. However, this endeavor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ataset and how they should be managed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t has also affirmed the need for a record management module's database with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In the future, once a complete record management module is developed and standards are established by the National Archives, it is expected to become a necessary module for organizations to manage dataset effectively.

RDBMS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이하 데이터세트)는 RDBMS를 이용하여 행정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행정적인 문서 위주로 생산되는 업무시스템과는 달리 행정정보시스템은 기관의 고유한 업무 중심으로 기록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기존의 결재문서류와 메타데이터 등이 달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이 쉽지 않다. 2022년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개정으로 기록물의 관리권한만 이전하는 유형에 데이터세트가 포함되었고, 개정의 핵심 내용은 행정정보시스템에서 기록의 생애주기를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행정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세트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모색된 바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의 생애주기를 관리하기 위해 행정정보시스템에 탑재해야 하는 기록관리 모듈의 DB를 설계하고자 한다. ISO 16175-1:2020의 예시를 수정·보완하여 "인사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인사관리 데이터세트를 식별 및 평가함으로써 행정정보시스템에서의 기록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이 실제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의 양이 적고, 기록관리 모듈의 DB가 헹정정보시스템에 적용 가능한지 현업에 계신 기록연구사분들과 IT 개발자들에게 검증을 받지 못한 한계점은 있다. 그러나, 예시를 통해서 데이터세트가 무엇인지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고, 행정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세트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행정정보시스템에서 기록관리 모듈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완전한 기록관리 모듈이 완성되고 국가기록원에서 기록관리 모듈에 대한 표준이 만들어진다면, 관련 기관에서 데이터세트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2009). 데이터세트 및 비표준문서 기록관리체계 시범구축.
  2. 국가기록원(2011).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인프라 응용기술 연구개발.
  3. 국가기록원(2015). 데이터세트 구조분석 및 진본성 보장 기록관리 기능모델 연구.
  4. 국가기록원(2017).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연구개발.
  5. 국가기록원(2020b). NAK 35:2020(v1.0)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기준-관리 기준표 작성 및 이관규격(v1.0).
  6. 국가기록원(2020c). 신뢰받는 기록관리를 위한 국가기록관리 중장기 발전계획.
  7. 국가기록원(2021a).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정보 서비스 및 활용 모형연구.
  8. 국가기록원(2021b).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체계구축 사업 완료보고회 발표자료.
  9. 국가기록원(2023). 기록물관리 지침 공통매뉴얼
  10. 그랜드코리아레저(2022).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방안 공동연구 최종보고서.
  11. 행정안전부(2022). 범정부EA기반 공공부문 정보자원 현황 통계보고서 
  12. 류한조, 백영미, 임진희(2021). 데이터세트 생산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 KR 재산관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70, 5-40.
  13. 신정엽(2021).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적용 사례 분석: 전자인사관리시스템 데이터세트 관리기준표 작성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3), 227-2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227
  14. 오세라, 박승훈, 임진희(2018).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사례 조사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109-133.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109
  15. 오세라, 이해영(201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2), 51-76.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2.051
  16. 오진관(2019). 기록관리시스템 설계모형과 기능요건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경남, 최광훈, 임진희(2021).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를 위한 기록관의 역할 연구: KR 사업관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6(3), 263-285.
  18. 임진희, 이대욱, 김은실, 김익한(2012). 영구기록물관리를 위한 기록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개발 방향. 기록학연구, 34, 57-105.
  19. 임진희, 조은희(2010). 데이터세트 기록의 이관도구 기능요건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5-162.
  20. 조은희, 임진희(200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기록학연구, 19, 251-291.
  21. 현문수(2005).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103-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05.5.2.103
  22. 황진현, 박종연, 이태훈, 임진희(2014). 행정정보시스템 기록 이관 절차와 방법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7-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007
  23. 황진현, 백영미, 임진희(2021). 공공기관 데이터세트 식별과 평가 절차 연구 : KR전자조달시스템사례를중심으로. 기록학연구, 70, 41-83.
  24. 임진희(2013). 전자기록관리론. 서울: 선인.
  25.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7. 12.] [법률 제18740호, 2022. 1. 11., 일부개정]
  26.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22. 7. 12.] [대통령령 제32772호, 2022. 7. 5., 일부개정] 
  27. 공공데이터포털. 검색일자: 2023.5.10. https://www.data.go.kr/data/3038513/fileData.do
  28. 위키백과. 범용 고유 식별자. 검색일자: 2023.5.13. https://ko.wikipedia.org/wiki/%EB%B2%94%EC%9A%A9_%EA%B3%A0%EC%9C%A0_%EC%8B%9D%EB%B3%84%EC%9E%90
  29. 위키백과. 이식(컴퓨팅). 검색일자: 2023.5.14.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B%9D_(%EC%BB%B4%ED%93%A8%ED%8C%85)
  30. NARA(National Archives). AAD. 검색일자: 2023.10.21. https://aad.archives.gov/aad/index.jsp
  31. TNA(The National Archives). NDAD. 검색일자: 2023.10.21. https://webarchive.nationalarchives.gov.uk/ukgwa/20101104101827/http://www.ndad.nationalarchives.gov.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