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Tourism Concept Map based on the model of Advance Organizer that attracts Interest for Space Telling in Metaverse

메타버스 내 스페이스텔링을 위한 흥미유발 선행조직자 모델 기반 스마트관광 개념지도 설계

  • 김소진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 주용민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Received : 2023.08.20
  • Accepted : 2023.09.26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Users who want to experience the metaverse for tourism are exposed to strategic planning in space for the purpose of cultural content. In addition, users learn integrated cultural content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according to the virtual environment. and Along with the meaning of time and space, users will experience space-telling. It is important to induce interest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ence to continue the experience. However, obstacles arise in this process. This is because developers should promote connections with new information to users who do not have sufficient prior knowledge and only have keywords of interest. Therefore, efficient design methods to enhance interest should be studied in advance. But so far,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ow to systematically design prior organizers to induce interest in virtual space. This study is an interest-inducing design method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meaning of virtual space and storytelling of cultural content, and can be seen as a basic study using conceptual guidance-based prior organizer education and learning techniques. First, virtual space elements and human behavior theories were considered. Subsequently, five representative examples of previous organizers currently used were explored, and redesigned and proposed based on a conceptual map for information access and delivery purpos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spatial attributes and cognitive interest elements we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meaningful learning leading to storytelling learning and elements of service design design method through conceptual guidance.

관광 목적으로 메타버스를 체험하려는 사용자는 문화콘텐츠의 목적에 의해 공간 속 전략적인 기획에 노출된다. 또한, 가상환경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에서 통합적인 문화콘텐츠를 학습하게 되고 나아가 시공간적 의미와 함께 결국 스페이스텔링까지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체험 시작부터 흥미를 유도하여 체험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장애요소들이 발생한다. 충분한 사전지식 없이 관심키워드만을 가진 사용자에게 새로운 정보와의 연결을 촉진 시켜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흥미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설계 방법을 사전에 연구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상공간 속에서 흥미유발을 위한 선행조직자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태이다. 본 연구는 개발자가 가상공간의 의미와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흥미유발 설계 방법으로 개념지도 기반 선행조직자 교육학습 기법을 이용한 기초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먼저 가상공간 요소와 인간행동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현재 활용되어지는 선행조직자의 5가지 대표 사례들을 탐구하고 정보접근 및 전달 목적의 개념지도를 기반으로 재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메타버스 체험자들에게 공간적 속성과 인지적 흥미 요소가 스토리텔링 학습으로 이어지는 유의미한 학습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점과 개념지도를 통한 서비스 디자인 설계방법의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한국문화기술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홍성용, 스페이스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11쪽 2008년
  2. 양정식, "스페이스 마케팅 관점에서 본 주택문화관의 평가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2008년
  3. 플러스스페이스, 김포 평화문화체험관 스페이스텔링 연출, 김포평화문화관, 2019년
  4. 범원택, 김자영, 김남주, "VR AR을 활용한 실감형교육콘텐츠 정책 동향 및 사례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슈리포트, 제15호, 3쪽, 2019년
  5. 국세청, 조세박물관 메타버스, 2022년
  6. Donald A. Norman, the Design cf Everyday Things, Basic books, pp. 45-49, 2013.
  7. 장효진, "가상현실 교육콘텐츠 설계 프레임워크", 한양대 박사학위, 9쪽, 2022년
  8. 익숙한 미래 : 공공디자인이 추구하는 가치, 2021, 문화역서울284, 서울, 디자인문화진흥원
  9. 신정엽, 이건학, "공간 인지에 기반한 길 찾기의 방법론적 고찰과 인지 경로 모델링," 한국지도학회지, 제12권, 제3호, 2012년
  10. Golledge, Reginald G, ilWayfinding behavior: Cognitive mapping and other spatial processes," JHU press, 1999.
  11. VINSON, Norman G., "Design guidelines for landmarks to support navig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278-285, May 1999.
  12. BURNETT, Gary SMITH, Darren MAY, Andrew, Supporting the navigation task: Characteristics of 'good' landmarks Contemporary ergonomics, 1st Edition, 2001.
  13. 정지석, 박혜경, "코엑스 몰에서의 시각적인 길 찾기 단서에 따른 보행자의 길 찾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2권, 제11호, 97-104쪽, 2006년
  14. Novak JD,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inical Report, Florida,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Jan., 2006.
  15. 허인숙, "선행조직자로서 개념도(concept map) 활용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117-129쪽, 2003년 9월
  16. 김경옥, 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서울 원미사, 213-225쪽, 2001년
  17. Ausubel, D.P, Educational posychology: A cognitive view. N. Y: Holt, Rinehart and Winston, 2nd Edition, 1978.
  18. Joyce B., Weil, M., & Calhoun, E. Models of Teaching, Boston: Allyn and Bacon, 7th Edition, 2003.
  19. 한국민족문화대백과(2023),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292 (accessed May., 28, 2023).
  20. 광주시립미술관(2023), https://artmuse.gwangju.go.kr (accessed Jul., 10, 2023).
  21. 한혜원, "MMORPG의 NPC유형에 따른 서사적 기능 연구," 한국게임학회, 제9권, 제3호, 56쪽, 2009년
  22. 전경란,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2-110쪽,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