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effect of improving access to wide-area public transportation on the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광역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이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이상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정책연구실) ;
  • 유승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정책연구실) ;
  • 이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정책연구실) ;
  • 김대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Received : 2023.08.17
  • Accepted : 2023.09.26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analyzing the index changes and tourism big data before and after the opining of the KTX on the Gangneung Line in Gangneung City, where the population continues to decline. For This, the main current status of Gangneung-si and internal operation record data(DTG) of Gangneung-si were analyzed. After that, changes in the movement behavior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KTX Gangneung Line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changes in tourist transportation preferences, demographic shifts, alterations in small-scale business sectors and in the travel patterns of tourists within the city of Gangneung.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small business sector have shown an increase in general restaurants, leisure food establishments(cafes, etc.),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KTX Gangneung Line. All three sectors have experienced growth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Gangneung Station, indicating the influence of Gangneung Station, which opened in the central part of Gangneung city,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the KTX Gangneung Line.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감소가 계속되고 있는 강릉시의 강릉선 KTX 개통 전후의 지료 변화와 관광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강릉시의 주요 현황과 강릉시 내부 운행기록 데이터(DTG)를 분석하였다. 이후, KTX 강릉선 개통 전후 대중교통 이용객의 이동행태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광객 이용 교통수단 변화, 인구 변화, 자영업종 변화, 강릉시 내 관광객 통행 행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자영업종 변화에서는 KTX 강릉선 개통 이후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카페 등), 숙박업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업종 모두 강릉역 인근에 집중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KTX 강릉선 개통 이후 강릉시 중심부에 개통한 강릉역의 영향이라 판단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근, 유승민, 이준, 김대일, "빅 데이터 기반의 도시정보 ·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 플랫폼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저널, 제11권, 제11호, 49-62쪽, 2022년 12월 https://doi.org/10.30693/SMJ.2022.11.11.49
  2. 허재완, 김갑성, 유예진, "고속철도(KTX)의 입지효과 및 개통으로 인한 수도권 인구지중 완화효과 분석," 국토계획, vol. 53, no. 4, pp. 107-122, 2018년 https://doi.org/10.17208/jkpa.2018.08.53.4.107
  3. 이제용, 김영표, "KTX 강릉선 개통 이후 거리 속성이 관광산업 활성화, 지역 발전,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철도학회 논문지, vol. 23, no. 10, pp. 989-1000, 2020년. https://doi.org/10.7782/JKSR.2020.23.10.989
  4. 조재욱. 우명제, "고속철도 개통이 지역경제 및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대한민국 KTX 경부선 · 경전선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9권, 제5호, 263-278쪽, 2014년 8월
  5. 강병길. 강정규, "고속철도개통에 따른 역세권 지가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울산역·김천구미역·신경주역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제16권, 제3호, 131-150쪽, 2018년 9월
  6. 김수현. 박민철. 김충수. "고속철도 네트워크의 신뢰성 분석 방법 개발,"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21권, 제7호, 726-738쪽, 2018년 8월 https://doi.org/10.7782/JKSR.2018.21.7.726
  7. 김형민. 장희순, "지방도시내 KTX 역세권으로의 주거이동 특성," 주거환경, 제18권, 제4호, 77-89쪽, 2020년 12월
  8. 이재원. 조미정, "경인선 역세권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 제6권, 제3호, 5-24쪽, 2020년 12월
  9. PIMA 지표체계(2020), http://blog.naver.com/krriblog/221825727613 (accessed Jan., 20, 2023)
  10. 한국교통안전공단 운행기록데이터(2023), http://www.kotsa.or.kr/dps/ (accessed Jan., 20, 2023)
  11. 최돈정, 유무상, "디지털 운행기록계 데이터를 활용한 천안시 시내버스 운전 행태 분성 방안," 충암연구원, 14쪽, 2019년
  12. 노미진, 이충권, "빅데이터 분석능력과 가치가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0권 제1호, 108-115쪽, 2021년 03월
  13. 한국관광 데이터랩 2019년 강릉시 관광객 활동 (2019), http://datalab.visitkorea.or.kr (accessed Dec., 15,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