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upply Chain Risk on Port Container Throughput: Focusing on the Case of Busan Port

공급망 리스크가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항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기 (경상국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 김찬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Received : 2020.03.08
  • Accepted : 2023.03.29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As the scope of supply chains expands globally, unpredictable risks continue to arise. The occurrence of these supply chain risks affects port cargo throughput and hinders port ope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global supply chain risks on port container throughput,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variables such as the Global Supply Chain Pressure Index (GSCPI), Shanghai Container Freight Index (SCFI),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Retail Sales Index on port traffic using the vector autoregressive(VAR)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ise in GSCPI causes a short-term decrease in the throughput of Busan Port, but after a certain point, it acts as a factor increasing the throughput and affects it in the form of a wave. In addition,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the retail sales index were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hroughput of Busan Port. In the case of SCFI, the effect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GSCPI.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how risks affect port cargo throughput in a situation where supply chain risks are gradually increasing, providing man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ort operation policies for future supply chain risks.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복잡성은 증가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리스크도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리스크도 한 예라 할 수 있다. 공급망에 대한 리스크는 항만 물동량에 영향을 주어 항만운영과 항만산업 발전에 지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항만 물동량,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항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GSCPI),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산업생산지수, 소매 판매지수 등의 변수들이 물동량에 주는 영향에 대해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GSCPI의 상승은 단기적으로 부산항 물동량의 감소를 유발하지만, 일정 시점 후에는 물동량 증가요인으로 작용하는 파동의 형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비교군인 상하이항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LA/LB항에서는 GSCPI가 물동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 생산지수와 소매판매지수는 부산항 물동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FI의 경우 GSCPI가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망 리스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리스크가 항만 물동량에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향후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한 항만운영 정책 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현.남종오(2015), VAR 모형을 이용한 유통단계별 갈치가격의 인과성 분석, 수산경영론집, 제46권, 제1호, 93-107.
  2. 김현석.장기명(2015), VAR 모형과 Bayesian VAR 모형의 물동량 예측력 비교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2호, 449-466. https://doi.org/10.37059/TJOSAL.2015.31.2.449
  3. 나진성(2022),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 요인분석: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 정보학회논문지, 제 27권, 제1호, 111-123.
  4. 리윈장.이열.최태영(2022), 항만물류와 지역경제 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부울경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8권, 제3호, 1-13. https://doi.org/10.38121/kpea.2022.3.38.3.1
  5. 모수원(2009), 경제변수의 변동이 광양항 수입컨테이너 물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269-282.
  6. 모수원(2013), 항만 물동량과 지역경기의 인과관계: VAR 접근, 해운물류연구, 제29권, 695-714. https://doi.org/10.37059/TJOSAL.2013.29..695
  7. 문권순(1997),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의 이해, 통계분석연구, 제2권, 제1호, 23-56.
  8. 오진호.우수한(2018),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제주항 물동량 예측, 물류학회지, 제28권, 제3호, 29-40.
  9. 이기열.최석우.이나영.김가현(2022), 부산항, 중국 상하이시 봉쇄 장기화에 선제적 대비해야, KMI 동향분석, 제182호
  10. 이성윤.안기명(2020), ARIMA와 VAR.VEC 모형에 의한 부산항 물동량 예측과 관련성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4권, 제1호, 44-52. https://doi.org/10.5394/KINPR.2020.44.1.44
  11. 이재득(2013), 승법계절 ARIMA 모형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추정과 예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3호, 1-23.
  12. 정성환.강경우(2015), 계량경제모형간 국내 총화물물동량 예측정확도 비교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33권, 제1호, 61-69. https://doi.org/10.7470/jkst.2015.33.1.61
  13. 조삼현.이광배(2006), 부산항과 상하이항의 물류중심항만 경쟁력 비교에 관한 고찰, 산업경제연구, 제19권, 제5호, 1817-1837.
  14. 최봉호.이기환(2016), 브렉시트(Brexit)의 한국 컨테이너 물동량에 대한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권, 제3호, 67-81.
  15. 하영규.우수한(2020), 코로나 19로 인한 자동차 산업 영향과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에 대한 효과 분석, 국제상학, 제35권, 제3호, 149-169.
  16. Brakman, S., Garretsen, H. and van Witteloostuijn, A.(2020), The turn from just-in-time to just-in-case globalization in and after times of COVID-19: An essay on the risk re-appraisal of borders and buffers, Social Sciences & Humanities Open, 2(1), 100034.
  17. Wu, J.(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Logistics and International Trade Based on VAR Model,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3(SI), 601-604. https://doi.org/10.2112/SI103-122.1
  18. Zhou, B. G., Yang, B. and Li, G(2021), Interaction between coastal ports and regional economy in Liaoning province, Resources & Industries, 23(6),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