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

  • Seonmin Kim (Department of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Jin Kook Tak (Department of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김선민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23.04.25
  • Accepted : 2023.05.19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on behavior, and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boss'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77 office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with the same boss for more than 6 month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Hayes'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was statically significa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aching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equen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the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does not directly affect innovative behavior, but rather leads to the exertion of coaching leadership by boss, and coaching leadership promotes more innovative behavior by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memb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This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n how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erior leadership, affect individual motivational variables, desire, and thus affect individual behavioral vari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6개월 이상 동일한 상사와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377명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Hayes의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간 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의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상사의 코칭리더십 발휘로 이어지고,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더 많은 혁신행동을 촉진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문화와 상사의 리더십인 환경적 변인이 어떻게 개인의 동기적 변인인 욕구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행동적 변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외에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김문중 (2019).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33(6), 229-258. https://doi.org/10.34274/KRABE.2019.33.6.011 
  2. 강문실, 김윤숙 (2020). 관광서비스 산업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상업교육연구, 34(2), 73-95. https://doi.org/10.34274/krabe.2020.34.2.004 
  3. 강문실, 김윤숙 (2022).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심리자본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감정공유의 매개효과. 상업교육연구, 36(5), 121-143. https://doi.org/10.34274/krabe.2022.36.5.006 
  4. 강영순, 김정훈 (2013). 코칭리더십, 기본심리욕구, 혁신행동,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26(7), 1909-1928. 
  5. 강지선, 김국진 (2019) 조직몰입, 공공봉사동기, 혁신지향문화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와 비관리자 간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8(2), 225-259. https://doi.org/10.22897/kipajn.2019.28.2.008 
  6. 구정모 (2014). 혁신지향적 기업문화의 구성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마케팅 전문기업군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14(1), 1-31. 
  7. 권도희, 박천경 (2021). ICT 연구개발직 조직원이 인식한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리더의 감성지능을 조절 변수로. 코칭연구, 14(2), 129-147. 
  8. 권중생 (2011). 혁신적 조직문화가 인적자원의 혁신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26(1), 153-182.  https://doi.org/10.22903/JBR.2011.26.1.153
  9. 김근세, 이경호 (2005).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시험 관리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9(3), 179-204. 
  10. 김문준, 김노사 (2019).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10(1), 199-229. 
  11. 김성용 (2022). 공공기관 종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성훈, 지성호, 강영순 (2014).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1(5), 93-114. https://doi.org/10.14396/jhrmr.2014.21.5.93 
  13. 김영헌, 장영철 (2013). 공유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P'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12), 6173-6185.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2.6173 
  14. 김종관, 송경렬, 유희훈 (2019).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6(2), 1-22. https://doi.org/10.14396/jhrmr.2019.26.2.1 
  15. 김현숙, 강경화 (2015). 리더십유형과 조직문화가 종합병원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1(4), 447-456.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47 
  16. 김혜성 (2017). 조직문화유형과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계완, 최석봉, 문재승 (2009).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2(6), 3289-3320. 
  18. 박동진, 장은영 (2016). 혁신조직문화가 셀프리더십. 창의성, 그리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1(2), 211-229. 
  19. 박선우 (2018). 외식기업의 고객가치공동창출을 위한 혁신지향 조직문화, 서비스 종사원 태도의 영향 관계에 대한 다수준분석: 개인창의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백평구 (2007). 조직 문화와 관리자 코칭 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서대곤 (2011).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직무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순금, 이지혜, 오상진 (2020).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칭연구, 13(2), 5-30. http://dx.doi.org/10.20325/KCA.2020.13.2.5 
  23. 안영진 (2010). 한국 기업들의 혁신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지, 21(1), 45-61. https://doi.org/10.21131/kopoms.21.1.201003.45 
  24. 안영진 (2011). 혁신에 관한 문헌적 고찰. 서비스경영학회지, 12(1), 257-277. https://doi.org/10.15706/jksms.2011.12.1.011 
  25. 유승완, 이찬 (2021). 국내 기업 근로자의 혁신적 업무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3(2), 107-140. https://doi.org/10.23840/agehrd.2021.53.2.107 
  26. 이경수 (2019). D 건설사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혁신행동의 관계: 현장조직과 본사조직의 비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157-174. https://doi.org/10.21193/kjspp.2008.22.4.010 
  28. 이민호 (2007). 코칭 리더십의 공공부문 도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선미 (2019). 조직문화 유형 인식과 직속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승원, 김병직 (2021). 서번트 리더의 중요성: 고용 불안정성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 리더십으로 조절된 기본 심리욕구 만족의 매개 효과. 전문경영인연구, 24(1), 31-50. https://doi.org/10.37674/CEOMS.24.1.2 
  31. 이정민, 도미향 (2017).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칭연구, 10(2), 5-28. http://dx.doi.org/10.20325/KCA.2017.10.2.5 
  32. 이주용, 권석균 (2021).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지각된 조직문화와 CEO 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8(5), 43-67. http://dx.doi.org/10.14396/jhrmr.2021.28.5.43 
  33. 이주원 (2013). 학교조직문화 유형이 혁신행동과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이지우, 김일천, 김종우 (2002). 임파워먼트와 조직지원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2002, 1-22. 
  35. 정동섭 (2014).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혁신의 관계-조직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3(5), 55-70. https://doi.org/10.29214/damis.2014.33.5.003 
  36. 조경호, 김정필 (2005).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효과성의 관계: 경쟁가치모형의 적용. 지방행정연구, 19(4), 59-90. 
  37. 조은현, 탁진국 (2011).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127-155. https://doi.org/10.24230/ksiop.24.1.201102.127 
  38. 조일현 (2021).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2, 73-108. http://doi.org/10.22243/tklq.2021.12.3.73 
  39. 주철근 (2020).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119-131. https://doi.org/10.14400/JDC.2020.18.8.119 
  40. 최석봉, 김정은, 장수덕 (2013).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창의성의 매개효과 및 혁신지원분위기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3), 209-229. 
  41. 최인옥, 박지환, 선종규 (2011). 조직문화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 조직신뢰와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산업혁신연구, 27(3), 1-33. https://doi.org/10.22793/indinn.2011.27.3.001 
  42. 최창열 (2012). 조직문화와 개인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하원식, 탁진국 (2012). 코칭리더십이 맥락수행 및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미덕과 학습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195-213. https://doi.org/10.24230/ksiop.25.1.201202.195 
  44. 한윤자 (2012).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이 간호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한채연 (2021).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훈련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및 연령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홍기산 (2016). 리더쉽과 조직문화가 내재적 동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황혜원 (2014). 직무만족 수준에 따른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일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8. Alvi, H. A., Hanif, M., Adil, M. S., Ahmed, R. R., & Vveinhardt, J. (2014).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Europe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27(6), 30-39. 
  49. Cameron, K. S., & Quinn, R. E. (2011).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The competing values culture assessment. A tool from the competing values product line. Retrieved December, 3, 2015. 
  50. Dai, Y. (2019). Coaching leadership, job motivation and employee innovation behavior. 5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 and Contemporary Humanity Development, 376, 696-701. https://doi.org/10.2991/sschd-19.2019.120 
  51. Deci, E. L., & Ryan, R. M. (1980). The empirical exploration of intrinsic motivational processe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3, 39-80.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130-6 
  52.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53.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54.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55. Janssen, O. (2000). How fairness perceptions make innovative behavior more or less stressfu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2), 201-215. https://doi.org/10.1002/job.238 
  56. Kalkavan, S., & Katrinli, A. (2014). The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on the employees'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organis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Case study on insurance industry in Turke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0, 1137-1147.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9.129 
  57. Kanter, R. M. (1988). Three tiers for inno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Research, 15(5), 509-523. https://doi.org/10.1177/009365088015005001 
  58. Kanter, R. M. (2006). Innovation: The classic traps. Harvard business review, 84(11), 72. 
  59. Klaeijsen, A., Vermeulen, M. & Martens, R. (2018) Teachers' Innovative Behaviour: The Importanc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2(5), 769-782. https://doi.org/10.1080/00313831.2017.1306803 
  60. Messmann, G., Evers, A., & Kreijns, K. (2022) 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33(1), 29-45. https://doi.org/10.1002/hrdq.21451 
  61. Park, S., McLean, G. N., & Yang, B. (2008). Revision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Measuring Managerial Coaching Skills in Organizations. Online Submission. 
  62. Quinn, R. E., & McGrath, M. R.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J. Frost, L. F. Moore, M. R. Louis, C. C. Lundberg, & J. Martin (Eds.), Organizational culture (pp. 315-334). Beverly Hills, CA: Sage. 
  63. Reeve, J. (2005).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4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64. Reeve, J. (2018). 동기와 정서의 이해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6th Edition]. (김아영 역). 서울: 박학사(원전은 2014년에 출판). 
  65. Rosenfeld, R., & Servo, J. C. (1990). Facilitating organisation in large organisations.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Chichester: Wiley. 
  66. Ryan, R. M. (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3), 450. 
  67.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2, 3-33. 
  68. Saribagloo, J. A., Azar, F. S., & Mahmoudi, H.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adolu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International, 4(2), https://doi.org/10.18039/ajesi.22725 
  69. Schein, E. H. (1987). Defin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J. M. Shafritz, J. S. Ott (Eds.), Classics of organizational theory (2nd ed.), (p.381-396). Chicago: The Dorsey Press. 
  70. Stowell, S. J. (1987). Leadership and the coaching process in organizations. The University of Utah. 
  71. Wallach, E. J. (1983). Organizations: The cultural match.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37(2), 29-36. 
  72. Whitmore, J. (2010). Coaching for Performance: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Coaching and Leadership FULLY REVISED 25TH ANNIVERSARY EDITION. Hachette 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