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메타버스를 활용한 가상 브랜드 체험이 흥미, 몰입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virtual Brand experience using Metaverse on Interest, Immers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장성복 (청주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학과)
  • 투고 : 2023.07.24
  • 심사 : 2023.08.25
  • 발행 : 2023.08.31

초록

본 연구는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가상 브랜드 체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선행연구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브랜드 체험(일탈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이 흥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흥미와 몰입이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체험요인들 모두 흥미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흥미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흥미와 몰입이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xperiences (Deviant, Entertainment, and Aesthetic experiences) in Metaverse on Interest and Immersion, and to verify whether these Interests and Immers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ll Brand experience factors had a positive (+) effect on Interest and Immersion, Interest had a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and Interest and Immer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유가여, 최미연, 조영, 심성욱, "제페토(ZEPETO)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광고 태도 연구 : 광고효과의 긍정적.부정적 인식의 조절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5권, 제1호, 243-281쪽, 2023년 3월 
  2.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3. 전 세계 메타버스 시장 현황(2023), https://it.donga.com/103662/(accessed Jul., 01, 2023). 
  3. "난 메타버스에서 명품 산다," https://www.tinnews.co.kr/21871(accessed Jul., 01, 2023). 
  4. Andre, S. and Meyer, C, "Understanding Customer Experie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85, No. 2, pp. 117-126, Feb. 2007. 
  5. Alba, J. W., & Hutchinson, J. W.,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3, No. 4, pp. 411-454, 1987.  https://doi.org/10.1086/209080
  6. Machleit, K. A., Madden, T. J., & Allen, C. T, "Measuring and modeling brand interest as an alternative ad effect with familiar brands," ACR North American Advances, Vol. 17, pp. 223-230, 1990. 
  7. 성영신, 박은아, 박현희, "브랜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반응 : 유발된 감정과 느낀 감정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9권, 제3호, 19-50쪽, 1998년 6월 
  8. Keiningham, T., Ball, J., Benoit, S., Bruce, H. L., Buoye, A., Dzenkovska, J., & Zaki, M, "The interplay of customer experience and commitment,"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 31, No. 2, pp. 148-160, Mar. 2017.  https://doi.org/10.1108/JSM-09-2016-0337
  9. Pine, B. J., & Gilmore, J. H,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Cambridge, MA, USA: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Vol. 76, No. 4, pp.97-105, Jul. 1998. 
  10.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1-13쪽, 2010년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11. 이희준, 차상안, 권해나, "증강현실을 활용한 IT교육 콘텐츠가 성인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학습 흥미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424-437쪽. 2016년 1월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424
  12. 조홍식, 최헌혁,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가 과제수행에 대한 의도적 연습과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26권, 제5호, 131-143쪽, 2021년 12월  https://doi.org/10.15831/JKSSPE.2021.26.5.131
  13. 서미경,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기독교교육 논총, 제72집, 165-182쪽, 2022년 12월 
  14. 홍영일, "제품유형에 따른 은유적 표현의 광고가 브랜드 흥미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21권, 제2호, 5-18쪽, 2023년 6월 
  15. 양재장, 남중헌, "어촌체험마을에 대한 이미지가 브랜드 진실성, 흥미성,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포어촌체험마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9권, 8호, 393-413쪽, 2017년 8월 
  16. 이지윤, 박지환, "향기 제품의 브랜드 네임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흥미의 매개효과 및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제32권, 제5호, 51-60쪽, 2014년 10월  https://doi.org/10.36345/KACST.2014.32.5.005
  17. 황다미, "고객이 지각한 주류제품 판매촉진광고태도가 브랜드 흥미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년 6월 
  18. 안광호, 이지은, 전주언, "명품브랜드-자아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아시아마케팅저널, 제10권, 제4호, 1-33쪽, 2009년 1월  https://doi.org/10.53728/2765-6500.1225
  19. 곽지훈, 이재진, 간형식, "브랜드 태도, 애착, 몰입, 신뢰, 충성도의 개념과 관계에 관한 고찰," 글로벌 경영연구, 제24권, 제1호, 1-20쪽, 2012년 2월 
  20. 이모란, 이해수, "메타버스에서의 브랜드 체험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37권, 제1호, 73-108쪽, 2023년 1월  https://doi.org/10.22876/KAB.2023.37.1.003
  21. 김진희, 전유정,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이 관심, 몰입, 열망, 추천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AIDA 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5권, 제7호, 21-33쪽, 2021년 7월  https://doi.org/10.21298/IJTHR.2021.7.35.7.21
  22. 이수덕, 이용기, "상권방문 유인동기와 몰입, 태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상품학연구, 제37권, 제2호, 179-195쪽, 2019년 4월  https://doi.org/10.36345/KACST.2019.37.2.019
  23. 김지희, 한진수, "국립박물관의 물리적 환경과 감정, 방문객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3권, 제1호, 107-128쪽. 2011년 4월 
  24. 최현주, 김주연, "역사관 전시체험이 관람객의 기억, 몰입,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대문 형무소역사관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2권, 제11호, 187-206쪽, 2020년 11월  https://doi.org/10.31336/JTLR.2020.11.32.11.187
  25. 이홍석, "메타버스를 활용한 스포츠 브랜드 체험 마케팅과 몰입, 브랜드충성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3년 2월 
  26. 김현정, "증강현실 (AR) 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자아일치감 반영을 중심으로," OOH 광고학연구, 제17권, 제3호, 97-135쪽, 2020년 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