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compared 431 acoustic terminology of South Korean industrial standards and North Korean national standards based on IEC 60050-801:1994 international standard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acoustic terminology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were 139 (32.3 %) AA types with exactly the same form of terminology, 35 (8.1 %) Aa types with different spellings due to differences in linguistic norms, and 257 (59.6 %) AB types with completely different forms. Morphologically, there were more than twice as many different types of terminology as the same type. In the integration of acoustic terminology with different forms, 178 (61 %) North Korean terminology and 76 (26 %) South Korean terminology were adopted. we would lik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cade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common standards for acoustic terminolog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hare acoustic terminology data between the two Koreas and publish an integrated acoustic terminology dictionary. Third,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jointly launch a terminology committee to make efforts to revise international standards together.
본 연구는 IEC 60050-801:1994 국제 표준을 기준으로 남한 산업표준과 북한 국가규격의 음향학 전문용어 431개를 비교 분석하고 통합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남북한 음향학 용어 통합안을 제시하였다. 용어가 완전히 같은 형태인 AA형은 139개(32.3 %), 어문규범의 차이로 인해 표기 형태가 다른 Aa형은 35개(8.1 %), 형태가 완전히 다른 AB유형은 257개(59.6 %)로 확인되었다. 형태적으로 같은 유형의 용어보다 다른 유형의 용어가 2배 이상 많았으나 내용 면에서 대부분 용어는 충분히 이해하고 유추할 수 있는 범위 안에 있었다. 형태가 다른 음향학 전문용어 통합에서는 북한 전문용어가 178개(61 %), 남한 전문용어가 76개(26 %)로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북한 전문용어가 고유성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남한 전문용어는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용어 순화를 통한 고유성과 최신 기술 용어의 대중 활용을 높일 수 있는 경제성 기준을 충족하는 음향학 전문용어 통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남북한 음향학 전문용어를 최초로 비교하고 통합안 제시에 의의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제언으로 연구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남북한 학술 교류 및 표준화 공통 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 및 법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북한 관련 연구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음향학 용어 데이터를 남북한이 공유하고 통합 음향학 용어사전을 발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추후 남북이 전문용어 위원회를 함께 발족하여 표준 개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