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어 비교

Search Result 58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alysis of Modern Astronomical Terminology in the Early 1900s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3.2-63.2
    • /
    • 2016
  • 1900년대 초에 발행된 천문학 서적 2권을 중심으로 사용된 천문학 용어를 현재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두 서적에 사용된 용어에서 천문학용어, 화학원소 용어, 인물 및 지명 용어로 나누어서 현재의 과학용어사전과 비교하였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용어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용어, 그리고 의미는 동일하지만 변화를 보인 용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한 권의 천문학 서적에는 영어 색인이 포함되어 있어, 그 기준으로 현재와 비교하고, 나머지 천문학 서적은 본문에 나온 용어를 추려서 비교하였다. 용어를 통해서 두 권의 서적이 다른 경로로 수입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현재와 같이 용어의 통일이 없었다는 점에서 당시 천문학 교육의 한계점이 드러났다. 이 연구는 당시의 천문학 서적이나 관련 서적을 연구할 때, 한자 표기 없이 영어 어휘를 음차하여 표기된 용어를 동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ive Scheme for Comparative Search of Clinical Terms from Standard Clinical Terminology (표준 의학용어 체계에서의 효과적인 용어 비교 검색 기법)

  • Ryu,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3
    • /
    • pp.537-542
    • /
    • 2015
  • SNOMED CT, which is a standard clinical terminology, imposes an ambiguity problem of terminology selections caused by its huge expressive power and structural complexity.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similar terms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term among them within short consultation hours. This paper analyzes the ambiguity problem and proposes a novel scheme for comparative search of similar terms. The proposed scheme provides a differential view of similar terms by defining a "is-not-a" relationship based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ncepts. The result of this work improves the utilization of SNOMED CT such that medical officers can efficiently select an appropriate term among similar terms which represents patient's status adequately.

A Comparison Study of Subject Words of Korean Medical Papers: Author Keywords vs MeSH Terms Assigned by MEDLINE (한국 의학학술논문의 저자선정 주제어와 MeSH 용어의 비교 분석 연구)

  • 이춘실;문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67-7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학학술논문의 저자가 선정한 주제용어(저자용어)와 MEDLINE 레코드의 MeSH 용어를 비교하여 국내 의학 학술논문 저자들이 얼마나 정확히 MeSH 용어를 사용하는지 일치도를 측정하였고, 사용방법상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일치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1989년부터 1998년까지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에 발표된 415편의 논문에 사용된 1,826개의 저자용어 가운데 MEDLINE 레코드의 MeSH 용어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는 용어는 35.5% (649개)로 한 논문에 평균 1.6개의 용어가 일치하였다. 이 가운데 완전히 일치하는 용어는 10.1%밖에 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국내 의학학술논문 저자들은 MeSH 용어를 정확히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체크태그 (Check tag), 계층구조 (Tree Structure), 부표목 사용 등 MeSH 용어 사용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Park, Chan-Mo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12 s.295
    • /
    • pp.90-93
    • /
    • 1993
  • 지난 호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컴퓨터용어는 아직 순화단계에 있어 남한에서도 통일된 것이 없고, 같은 영어 낱말을 여러 가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로 「interrupt」를 정익사판 컴퓨터용어사전에는 「인터럽트」로 영어발음을 그대로 우리말로 표기한 반면, 다른 용어사전에서는 「가로채기」, 「개입중단」등으로 되어 있다. 현재 남한에서 발간 된 컴퓨터용어 관련자료로는 크라운사, 교학사, 대은사 및 정익사 발행의 컴퓨터용어사전과 하이텔 이용자 모임순화안, 서울대 뉴미디어통신공동연구소 HDTV용어사전,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연구센터안, 교육부 편수자료 등이 있고 1993년 1월에 발간된 문화체육부의 전산기 기본용어 순화시안이 최신 것이라 하겠다. 이곳에서는 주로 1990년 정익사에서 출판한 한국정보과학회편 「컴퓨터용어사전」과 1986년 북한의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에서 발간한 전웅편저「전자계산기프로그람용어사전」을 참조하여 비교하였고, 참고로 문화체육부에서 내어놓은 순화시안도 함께 병기하였다. 지면상 모든 용어를 비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여 남한과 북한에서 서로 다르게 부르는 용어 중 일부분만을 다음 표에 나열한다.

  • PDF

Design of a SNOMED CT Browser Supporting Comparative Search of Clinical Terminology (의학용어 비교 검색을 지원하는 SNOMED CT 브라우저 설계)

  • Ryu,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8-420
    • /
    • 2015
  • The SNOMED CT browser is a system for searching and browsing of a huge volume of medical terminologies included in SNOMED CT. Previous browsers provide a simple list-up of search results while they are similar from each other. It leads to a serious confusion in selecting an appropriate term among them. This paper presents a novel browser system which provides a comparative search of search results. To do this, the proposed system includes a terminology search module, a topology search module, and a sub-graph generation module for the results.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Choe, Seung-Eo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4 s.287
    • /
    • pp.90-93
    • /
    • 1993
  • 북한의 천문학용어는 한글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살별(혜성)」과 같이 전통적인 우리말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용어는 일본의 용어를 전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의 용어는 그들의 주체성에 입각하여 일본식 용어에서 탈피하고 있다. 그렇지만 순한글용어와 한자식 용어가 혼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북한의 용어는 두음법칙이 없어 역을 력이라고 표기하는 등 우리와의 맞춤법이 약간 다르다. 그리고 외래어의 표기에 있어서도 우리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는 영어식 발음을 따르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러시아식 발음을 따르고 있다. 어원의 비교를 위해서 일본, 중국 용어도 첨가하였다. 중국은 일본식 용어와는 다른 중국 독자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외래어는 모두 뜻에 맞는 한자용어로 바꾸었다. 위성과 소행성, 성단, 별자리 등의 천체의 명칭도 적절한 중국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Korean acoustic terminology and proposal for integration (남북한 음향학 전문용어 비교 분석 및 통합안 제시)

  • Jiwan Kim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4
    • /
    • pp.271-284
    • /
    • 2023
  • This study compared 431 acoustic terminology of South Korean industrial standards and North Korean national standards based on IEC 60050-801:1994 international standard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acoustic terminology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were 139 (32.3 %) AA types with exactly the same form of terminology, 35 (8.1 %) Aa types with different spellings due to differences in linguistic norms, and 257 (59.6 %) AB types with completely different forms. Morphologically, there were more than twice as many different types of terminology as the same type. In the integration of acoustic terminology with different forms, 178 (61 %) North Korean terminology and 76 (26 %) South Korean terminology were adopted. we would lik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cade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common standards for acoustic terminolog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hare acoustic terminology data between the two Koreas and publish an integrated acoustic terminology dictionary. Third,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jointly launch a terminology committee to make efforts to revise international standards together.

Evaluation of English Term Extraction based on Inner/Outer Term Statistics

  • Kang, In-S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4
    • /
    • pp.141-148
    • /
    • 2020
  • Automatic term extraction is to recognize domain-specific terms given a collection of domain-specific text. Previous term extraction methods operate effectively in unsupervised manners which include extracting candidate terms, and assigning importance scores to candidate terms.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term importance scores, the study focuses on utilizing sets of inner and outer terms of a candidate term. For a candidate term, its inner terms are shorter terms which belong to the candidate term as components, and its outer terms are longer terms which include the candidate term as their component. This work presents various functions that compute, for a candidate term, term strength from either set of its inner or outer terms. In addition, a scoring method of a term importance is devised based on C-value score and the term strength values obtained from the sets of inner and outer terms. Experimental evaluations using GENIA and ACL RD-TEC 2.0 datasets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rm extraction methods for English. The proposed method performed better than the baseline method by up to 1% and 3% respectively for GENIA and ACL datasets.

Comparison of Term-Weighting Schemes for Environmental Big Data Analysis (환경 빅데이터 이슈 분석을 위한 용어 가중치 기법 비교)

  • Kim, JungJin;Jeong,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6-236
    • /
    • 2021
  • 최근 텍스트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의 생성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자연어 처리기술을 사용하여 비정형 텍스트를 정형화하고, 문서에서 가치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법 중 하나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분서별로 특정 용어의 사용 빈도를 나타내는 문서-용어 빈도행렬을 사용하여 용어의 중요도를 나타내고,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문서-용어 빈도 행렬에서 나타내는 용어들의 빈도들은 문서들의 차별성과 그에 따른 용어들의 중요도를 나타내기 어렵기때문에, 용어 가중치를 적용하여 문서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분류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용어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환경 분야에서는 용어 가중치 기법 적용에 따른 효율성 평가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환경 이슈 분석의 경우 단순히 문서들에 특징을 파악하고 주어진 문서들을 분류하기보다, 시간적 분포도에 따른 각 문서의 특징을 반영하는 것도 상대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2015-2020년의 서울지역 환경뉴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 이슈 분석에 적합한 용어 가중치 기법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용어 가중치 기법으로는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quency), BM25, TF-IGM (TF-inverse gravity moment), TF-IDF-ICSDF (TF-IDF-inverse classs space density frequency)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문서 및 개체 분류에 대한 최적화된 용어 가중치 기법을 제시하고, 서울지역의 환경 이슈와 관련된 핵심어 추출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 지질학 용어의 비교 분석)

  • Kim, Jeong-Yul;Choi, Keun-S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8
    • /
    • pp.691-703
    • /
    • 2003
  •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Korea which has been politically separated for the last 50 years,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Geology of Korea' published in North Korea (1996), 'Geology of Korea' published in South Korea (1999) and other geological publications were compared. Among the 1272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North Korea, 49 are for geochronology, 201 for mineralogy, 199 for petrology, 257 for structural geology, 93 for paleontology, and 473 for general geology. Out of these geological terminology, 657 (51.7%) have the same pronunciation and meaning as those used in South Korea 370 (29.1%) are analogous words, and 245 (19.2%)cannot be understood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means of expression. Differences in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the two Koreas are thought to be mainly caused by language used only in North Korea, different foreign language interpretation, different initial law application, new connecting word construction, and influence from different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