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서학 전공생의 문제해결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n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 김정아 (숭의여자대학교 비서인재과)
  • 투고 : 2023.01.14
  • 심사 : 2023.03.07
  • 발행 : 2023.03.31

초록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최근 학력 인구의 감소로 인한 대학의 어려움을 타계하기 위한 여러 방안 중에서도 전공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어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제해결능력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영향 요인과 매개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93개의 설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회귀분석을,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능력은 전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능력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해결능력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4개 하위요인 중 정보활용능력, 비판적 이해능력, 정보분석능력은 문제해결능력과 전공만족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준수능력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에 문제해결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는데,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college due to the recent decrease in the number of educated population. In particular, problem-solving ability and digital literacy, which are essential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set as influencing factors and mediators and tried to verify them. 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a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junior college secretarial majors. A total of 19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problem-solv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ritical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analysis ability completely mediated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ability to comply with norms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problem-solving ability affects major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In addi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숙, 방은령(2015).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2(4), 21-46.
  2. 강성필(2022). 코로나19 시대 중학생의 원격수업 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청북도.
  3. 고범석, 이동근(2020). 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몰입경험이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연구, 15(2), 79-93.
  4. 곽은지(2016).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학습자 연령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권성호, 김성미(2011).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미디어와 교육, 1(1), 65-82.
  6. 김경보, 서용건(2020). 관광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전공 관련 취업희망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2), 341-359.
  7. 김계현,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8. 김명희(2017). 대학생의 문제해결자신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9. 김미영, 강은희, 박효진(2021).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 283-294.
  10. 김미영, 변은경(2019).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동기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 376-383. https://doi.org/10.5762/KAIS.2019.20.1.376
  11. 김성덕, 김주영(2022). 체육전공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와의 관계. 스포츠사이언스, 40(2), 141-150.
  12. 김윤민(2010).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6(2), 190-197.
  13. 김은재(2022).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8(4), 27-35.
  14. 김정아(2017).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정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26(1), 57-80.
  15. 김정아(2022). 비서학전공 전문대생의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비서직무수행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비서.사무경영연구, 31(4), 63-88.
  16. 김지현, 백지연, 이지연(2018). 비서의 일 주도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와 무형식학습의 관계. 비서.사무경영연구, 27(1), 5-31.
  17. 김혜정(2016).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937-958.
  18. 김희숙(2006). 정서조절양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0, 176-201.
  19. 박미정(2018). 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박주현, 강봉숙(2020).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1(3), 223-250. https://doi.org/10.16981/KLISS.51.3.202009.223
  21. 손경숙(2017).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4(1), 1-27.
  22. 송유준, 정기수(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4(12), 219-243.
  23. 신지민, 강희경(2021). 소상공인의 창업가특성과 시장특성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6(5), 75-89. https://doi.org/10.16972/APJBVE.16.5.202110.75
  24.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2013).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언론과학연구, 13(2), 161-192.
  25. 양명희, 박명지, 김희정(2010). 대학생의 전공-흥미 일치도, 직업흥미 수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 교육 연구, 29(2), 137-156.
  26. 양지혜(2022). 비서전공 전문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핵심자기평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31(3), 5-29.
  27. 양혜주(2013). 전문대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사고개발, 9(3), 103-118.
  28. 어윤경(2011).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2(5), 1793-1811. https://doi.org/10.15703/KJC.12.5.201110.1793
  29. 엄숙, 최유진, 이병호(2019). 치위생 전공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2), 151-158.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2.151
  30. 엄태완, 이기영(2004).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5-32.
  31. 오은영, 김강식(2018).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경우. 질서경제저널, 21(4), 59-73.
  32. 왕림로(2017).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팀 학습 활동에서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3. 윤시혜, 이재섭(2019). 항공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93, 675-694.
  34. 이고은(2017).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35.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2003). 생애능력 측정 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15-3.
  36. 이승희, 김정순(2020). 간호대학생의 창의성, 공감역량, 셀프리더십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8(4), 71-80. https://doi.org/10.22716/SCKT.2020.8.4.037
  37. 이운지, 이은환, 김수환(2019).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교육연구논총, 40(3), 201-221. 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3.201
  38. 이진욱, 김진영(2016).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를 통한 사례 연구. 직업 교육 연구, 35(5), 75-96.
  39. 이현숙, 안성미(2020). 간호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 기본간호술수행자신감 및 실습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251-262. https://doi.org/10.14400/JDC.2020.18.4.251
  40. 이화진, 한지영(2015). NCS 기반 비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 여성연구, 119-154.
  41. 장선철(2004). 대학생의 진로결정 유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533-551.
  42. 정병규(2020).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PP형 장기현장실습 경험 유무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 벤처혁신연구, 3(1), 87-99. https://doi.org/10.22788/3.1.5
  43. 정봄마지, 이승연(2013). 유아 주도의 UCC 제작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 변화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309-332.
  44. 정승교(2011).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8(1), 71-78.
  45. 정우정, 유영미(2019). 간호대학생의 인성, 문제해결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193-211.
  46. 조인희, 박미라(2017).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비교.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7), 397-404.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7.037
  47. 조현정, 서보람, 이현민(2020).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취업진로연구, 10(3), 1-21. https://doi.org/10.35273/JEC.2020.10.3.001
  48. 주민선(2022). 졸업 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4), 387-397.
  49. 주연우(2019). 이러닝(e-learning)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50. 주은솔, 방요순, 오은주(2020). 보건계열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243-250.
  51. 최동춘(2021).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4(1), 23-38. https://doi.org/10.22788/4.1.2
  52. 최숙영(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5), 25-35.
  53. 최지원, 이희수(2019). HR담당자의 직무특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32(7), 1219-1246.
  54. 최진주(2019).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55. 허경아, 정정희(2011).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1(5), 225-252. https://doi.org/10.18023/KJECE.2011.31.5.010
  56. 홍시명(2022).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17, 1-13.
  5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8. Heppner, P. P. & Peterso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 484-498. https://doi.org/10.1037/0022-0167.49.4.484
  59.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Y: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