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s in The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Gifted Education Database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된 인포그래픽의 특성 분석

  • Received : 2023.02.28
  • Accepted : 2023.03.20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78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winner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database focusing on infographics. The visualization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illustrations and infographics. Infographics were also classified into 11 sub-types and 7 sub-roles.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regardless of the scientific academic field, it was found to contain fewer infographics than general illustrations. Regardless of the scientific academic field, "complex infographics", "structural infographics", "processual infographics", and "comparative analysis infographics" were used frequently. Moreover, relatively many infographics played the role of the "guidance of the inquiry process", "concept explanation", and "intensive application". The most frequent types of infographics were different by the roles of infographics. The frequency distributions for visualization materials by the scientific academic field, types and roles of infographics by the scientific academic field, and types by the role of infographics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sing visualization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공모전 수상작 78개에 포함된 시각화 자료의 특성을 인포그래픽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시각화 자료는 일반삽화와 인포그래픽으로 분류하였고, 인포그래픽은 11개의 유형과 7개의 역할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학문 영역과 관계없이 일반삽화보다 인포그래픽이 더 적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학문 영역과 관계없이 대체로 '복합형', '구조형', '프로세스형', '비교·분석형 인포그래픽'이 많았다. 또한 '탐구과정 안내', '개념설명'과 '심화적용' 역할을 담당하는 인포그래픽이 비교적 많았다. 인포그래픽의 역할에 따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의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문 영역에 따른 시각화 자료의 빈도분포, 과학 학문 영역에 따른 인포그래픽 유형과 역할의 빈도분포, 인포그래픽 역할에 따른 유형의 빈도분포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시각화 자료를 활용하는 방향과 관련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이종현, 노태희(2008).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른 연계 오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71-481.
  2. 고미정, 신동훈(20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93-108.
  3. 노상미, 손정우(2014). 물리 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의 인포그래픽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59-36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59
  4. 노상미, 손정우(2015). 고등학교에서 시각적 사고에 기반한 인포그래픽 활용 물리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77-48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77
  5. 노상미, 양순영, 김용진(2017).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과학 내용 영역에 따른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과학교육학회지, 41(3), 462-479.
  6.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03
  7. 문양희(2015). 과학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문양희, 강동식(2015).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과학교육학회지, 39(2), 151-164.
  9. 박선아(2020).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인포그래픽 유형과 역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백성준, 임희준(2022). 2015 개정 초등 3~4학년 검정 과학 교과서의 인포그래픽 분석. 생물교육, 50(4), 557-568. https://doi.org/10.15717/BIOEDU.2022.50.4.557
  11. 손정우, 김현수(2016). 일반 학생의 영재성 향상을 위한 인포그래픽 활용 수업의 효과. 중등교육연구, 28(2), 235-247.
  12.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3.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179
  14. 이희우, 임효준(2019).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625-63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625
  15. 전성수, 정진규, 박종호(2014). 인포그래픽 관점을 이용한 과학 잡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601-611.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601
  16. 정경두,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2), 253-266.
  17. 정진규, 김영민(2016).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모델 사용 활성화를 위한 인포그래픽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279-29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79
  18. 정해용, 임희준(2018).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초등과학교육, 37(1), 80-91.
  19. 최준태, 이기영, 박재용(2019).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관 천체 투영관 수업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40(1), 86-106.
  20. 하준수, 민지예(2011). 인포그래픽으로서의 의궤그림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5), 591-601.
  21. Blackburn, R. A. R. (2019). Using infographic creation as tool for science-communication assessment and a means of connecting students to their departmental research.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7), 1510-1514. https://doi.org/10.1021/acs.jchemed.8b00981
  22. Dehghani, M., Mohammadhasani, N., Hoseinzade Ghalevandi, M., & Azimi, E. (2020). Applying ARbased infographics to enhance learning of the heart and cardiac cycle in biology clas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31(1), 185-200.
  23. Dunlap, J. C., & Lowenthal, P. R. (2016). Getting graphic about infographics: Design lessons learned from popular infographics. Journal of Visual Literacy, 35(1), 42-59. https://doi.org/10.1080/1051144X.2016.1205832
  24. Gallagher, S. E., O'Dulain, M., O'Mahony, N., Kehoe, C., McCarthy, F., & Morgan, G. (2017). Instructor-provided summary infographics to support online learning.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54(2), 129-147. https://doi.org/10.1080/09523987.2017.1362795
  25. Kothari, D., Hall, A. O., Castaneda, C. A., & McNeil, A. J. (2019). Connecting organic chemistry concepts with real-world contexts by creating infographic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11), 2524-2527.
  26. Smiciklas, M. (2012).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your audiences. Que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