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Learning Experiences for Improving Science Academic Passio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탐색

  • Received : 2023.02.28
  • Accepted : 2023.04.12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learning experiences for improving the science academic passio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ward this end, 19 students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were sampled from a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metropolitan area. In-depth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programs of the center. Triangulation methods were used to inductively extract learning experiences for improving the science academic passion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ategorized the learning experiences into six types, namely, learning experiences using materials related to real life,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experiences in an environment different from school, advanced or accelerated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experience requiring convergent competencies, and career-related learning experiences. The stud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learning experiences, presented examples,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학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한 개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9명을 편의 표집하여 해당 과학영재교육원의 모든 프로그램이 종료된 직후에 심층 집단 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뒤 삼각 측정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에 영향을 주는 학습 경험을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그 학습 경험을 '실생활 소재 활용 학습 경험', '자기주도 학습 경험', '학교와는 다른 환경에서의 학습 경험', '심화 및 속진 학습 경험', '융합 역량 요구 학습 경험', '진로 관련 학습 경험'의 6가지로 유형화하였다. 6가지 학습 경험의 특징을 사례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2. 강훈식(2021).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적 열정 비교. 초등과학교육, 40(4), 421-432.
  3. 강훈식(2022).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1(3), 553-568.
  4. 강훈식(2023).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2(1), 1-16.
  5.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6. 구영수, 양연숙(2013).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3(2), 177-191.
  7.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8. 김성철, 김나정(2019).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이 일터에서의 직무성과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상이한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3(3), 103-130.
  9. 김솔비, 임효진(2020). 초등학생용 학업적 열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33(3), 171-200.
  10. 김수겸, 유미현(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22
  11. 김영천(2012). 질적 연구 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12. 김태희(2020).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 긍정경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원, 전영석(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40(3), 283-294.
  14. 류지영(2003). 효과적인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한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1(3), 433-452.
  15. 민현숙, 양연숙(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몰입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157-171.
  16. 박기수, 이종혁, 홍훈기(2019). 열정, 갈등, 그리고 역설적 소외: 한 과학영재의 소집단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7(4), 55-94.
  17. 박문숙, 유미현(2014).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4(5), 829-849.
  18. 서선진,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33-144.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33
  19. 서혜애, 심재호, 강나나(2018). 과학영재교육원 심화과정에서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동기, 과제집착력, 열정, 리더십의 개별 행동특성 탐색: 맞춤형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 과학영재교육, 10(3), 202-219.
  20.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21.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2009). 초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22. 안미정, 유미현(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23. 안태훈, 최선영(2017).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초등과학교육, 36(2), 155-162.
  24. 유은정, 김경화, 고선영, 장선경(2016). 미래의 나에게 쓴 편지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253-267.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53
  25. 윤상천, 최선영(2017).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36(4), 439-446.
  26. 이경은(2018). 유소년영재와 일반유소년의 귀인, 지능신념,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447-466.
  27. 이병임(2020). 예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가 교직열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1(2), 2283-2296.
  28.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29.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30. 이신영, 강훈식(2022). 초등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의 관계. 과학영재교육, 14(3), 115-127.
  31. 이화정, 권치순(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0-118.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10
  32. 임효진, 강훈식(2022).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초등과학교육, 41(4), 690-700.
  33. 홍민성, 정예슬, 손영우(2016). 한국판 열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0(2), 1-26. https://doi.org/10.21193/kjspp.2016.30.2.001
  34. Brunger, R. G.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th ed.), Richard A. Krueger and Mary Anne Casey. The Canadian Journal of Program Evaluation, 24(1), 179-181.
  35. Cathy, U. (2012). Grounded theory for qualitative research: A practical guide. London: SAGE.
  36. Marsh, H. W., Vallerand, R. J., Lafreniere, M. A. K., Parker, P., Morin, A. J. S., Carbonneau, N., Jowett, S., Bureau, J. S., Fernet, C., Guay, F., Abduljabbar, A. S., & Paquet, Y. (2013). Passion: Does one scale fit all? Construct validity of two-factor passion scale and psychometric invariance over different activities and languages. Psychological Assessment, 25(3), 796-809. https://doi.org/10.1037/a0032573
  37. McGehee, N. G., & San tos, C. A. (2005). Social chan ge, discourse and volunteer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3), 760-779. https://doi.org/10.1016/j.annals.2004.12.002
  38.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9. Sverdlik, A., Rahimi, S., & Vallerand, R. J. (2022). Examining the role of pa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emotions, self-regulated learning and wellbeing. Journal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28(2), 426-448. https://doi.org/10.1177/14779714211037359
  40. Vallerand, R. J. (2015). The psychology of passion: A dualistic model.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41. Vallerand, R. J., Blanchard, C.,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2003).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4), 756-767. https://doi.org/10.1037/0022-3514.85.4.756
  42. Vallerand, R. J., Mageau, G. A., Elliot, A. J., Dumais, A., Demers, M. A., & Rousseau, F. (2008). Passion and performance attainment in spor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9(3), 373-392. https://doi.org/10.1016/j.psychsport.2007.05.003
  43. Vallerand, R. J., Paquet, Y., Philippe, F. L., & Charest, J. (2010). On the role of passion for work in burnout: A process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78(1), 289-312.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9.00616.x
  44. Zhao, H., Liu, X., & Qi, C. (2021). "Want to learn" and "Can learn": Influence of academic pass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Frontiers in Psychology, 12, 697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