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Geographical Patterns of Intellectual Property Applications by Region

지역별 지식재산 출원의 지리적 패턴 분석

  • 신수연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정상훈 (가천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 Received : 2023.04.17
  • Accepted : 2023.06.0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s of intellectual property across various region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intellectual property trends and their influential factors. While there's an overall upsurge in intellectual property applic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a more detailed inspection reveals divergent patterns based on the type of intellectual property - with patent rights primarily increasing in certain non-Seoul areas and trademark rights seeing a rise predominantly within Seoul. Our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growth in intellectual property applications correlates positively with improvements in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expansion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and a rise in large enterprises, although the relationships vary by intellectual property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geographical factors and industrial structures on knowledge-generation activities, thereby suggesting a need for region-specific policies to bolster these capacities.

본 연구는 지식재산 추세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통해 지역별 지식재산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체적으로 지식재산 출원은 수도권에서 더욱 증가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특허권은 서울 외곽의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상표권은 서울 중심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 지식재산 특성별로 증가패턴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지식재산 출원은 전체적으로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을수록, 지식기반서비스업이 성장할수록, 대기업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식재산 특성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지리적 요인 및 산업구조가 지식창출활동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지식창출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육성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호, 2008, 지역경제 성장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42(1), pp.365-381. https://doi.org/10.1108/00330330810912052
  2. 국가지식재산위원회, 2021,「연구자를 위한 알기 쉬운 지식 재산 지침서(개정판)」, 국가지식재산위원회지식재산 전략기획단, pp.43-45, 세종시: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전략기획단.
  3. 권기정, 2007, 인적자산투자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내생적 성장모형의 검증, 「국제회계연구」, 20, pp.275-294.
  4. 김경희, 2005, 지역혁신클러스터를 위한 지역혁신역량과 지역산업성과간의 실증 및 비교분석. 「무역학회지」, 30(6), pp.27-45.
  5.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탐색과 공간회귀분석(spatial regression)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확회보」, 13(1), pp.273-294.
  6. 김명수, 1998, 공공투자와 지역경제 성장, 「경제학연구」, 46(3), pp.279-295. https://doi.org/10.1023/A:1007056310032
  7. 김선배, 2004, 혁신주도형 경제를 향한 한국형 혁신체제 구축방향, 「과학기술정책」, (149), pp.1-15,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김성태.노근호, 2004, 지역혁신 클러스터 추정과 지역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응용경제」, 6(2), pp.63-98.
  9. 김정홍, 2003, 지역혁신역량과 지역산업성과간의 실증분석, 「경제학연구」, 51(2), pp.99-121.
  10. 김헌민.박윤경, 2015, 광역자치단체 경제발전과 지식기반 산업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3).
  11. 김형준.박인권, 2021, 인구집적이 지식확산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생활인구 데이터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pp.14-15.
  12. 김홍주, 2006, 지식창출의 결정요인 분석, 「지역연구」, 22(3), pp.95-115.
  13. 문동진.홍준현, 2015, 도시 규모와 입지에 따른 지역경제 성장에 대한 산업다양성의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9(3), pp.125-152.
  14. 박지형.홍준현, 2007, 시군 통합의 지역경제성장 효과, 「한국정책학회보」, 16(1), pp.167-196.
  15. 변창흠.권영섭, 2007, 도시규모별 혁신잠재력과 혁신창출능력 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5, pp.137-153. https://doi.org/10.15793/KSPR.2007.55.4.008
  16. 손수정 외 8, 2010, 산업특성에 따른 지식재산 (IP) 경쟁력 제고방안, 「정책연구」,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우영진.김의준, .2015, 특허활동의 도시 프리미엄. 「국토계획」, 50(3), pp.55-72.
  18. 이상호.김홍규, 1996, 도시별 집적경제효과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1), pp.55-70.
  19. 이승주, 2018,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실용신안제도의 혁신-한중일 실용신안제도의 비교를 통하여, 「동북아법연구」, 12(1), pp.123-144. https://doi.org/10.19035/nal.2018.12.1.5
  20. 이희연.김홍주, 2006, 특허 데이터에 기초한 지식창출활동의 공간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3), pp.319-341.
  21. 이희연.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 실습, 「문우사」.
  22. 이희연, 2010, 지식창출활동의 공간적 집적과 지역간 격차요인 분석, 「지식재산연구」, 5(1), pp.115-143.
  23. 장인석, 2007, 지역혁신체제의 경제적 효과 분석, 「서울도시연구」, 8(1), pp.19-39. https://doi.org/10.23129/SEOULS.8.1.200703.19
  24. 정선양, 1999, 지역혁신체제 구축방안, 「정책연구」, pp. 1-12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5. 조철주, 2008, 시.도별 지역경제력 측정과 지역경쟁력 결정요인. 「한국사회과학연구」, 30(2), pp.281-31.
  26. 최태림.김의준.박승규, 2004, 지역경제성장의 공간연계성 분석, 「국토계획」, 39(3), pp.111-118.
  27. 특허청.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 미래전망 연구-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pp.93-102, 서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8. Anselin, L., 1995 ,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pp.93-115.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338.x
  29. David, P. A., & Rosenbloom, J. L., 1990, Marshallian factor market externalities and the dynamics of industrial localiz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28(3), pp.349-370. https://doi.org/10.1016/0094-1190(90)90033-J
  30. Domar, E., 1946, Capital Expansion, Rate of Growth, and Employment, Econometrica, 14 (2), pp.137-147. https://doi.org/10.2307/1905364
  31. Feldman, M. P., & Florida, R., 1994, The geographic sources of innovation: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product innovation in the United Stat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4(2), pp.210-229. https://doi.org/10.1111/j.1467-8306.1994.tb01735.x
  32. Galbraith, J. K., 1956, American capitalism: The concept of countervailing power, 619, Transaction Publishers.
  33. Harrod, R. F., 1939, An Essay in Dynamic Theory, The Economic Journal, 49 (193), pp.14-33. https://doi.org/10.2307/2225181
  34. Jaffe, A. B., 1989, Real effects of academic research,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pp.957-970.
  35. Korkmaz, S., & Korkmaz, O.,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n OECD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9(5), pp.71-76. https://doi.org/10.5539/ijef.v9n5p71
  36. Klosterman, R., 1990, Community and Analysis Planning Techniques. Savage: Rowmand and Littlefield
  37. Lim, Up., 200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novative activity in US metropolitan areas: Evidence from patent data,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 Policy, 33(2), pp.97-126.
  38. Lucas Jr, R. E. 1988,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22(1), pp.17-22.
  39. MacGarvie, M., 2005,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knowledge diffusion as measured by patent citations. Economics Letters, 87(1), pp.121-126. https://doi.org/10.1016/j.econlet.2004.09.011
  40. Maurseth, P. B., & Verspagen, B., 2002, Knowledge spillovers in Europe: a patent citations analysis,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104(4), pp.531-545. https://doi.org/10.1111/1467-9442.00300
  41. OECD, 2001, Measuring Productivity, Measurement of Aggregate and Industry-Level Productivity Growth.
  42. Pakes, A., & Griliches, Z., 1980, Patents and R&D at the firm level: A first report. Economics letters, 5(4), pp.377-381. https://doi.org/10.1016/0165-1765(80)90136-6
  43. Romer, P. M., 1986,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4(5), pp. 1007-1013. https://doi.org/10.1086/261420
  44. Solow, R. M., 1956,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70(1), pp.70-74. https://doi.org/10.2307/1884513
  45. Wojan, T. R., 2019, Geographical differences in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ies and outcomes: Establishment -level analysis across the American settlement hierarchy, Regional Studies, Regional Science, 6(1), pp.574-595. https://doi.org/10.1080/21681376.2019.1682651
  46. 특허청 보도자료 "한국, 2년 연속 국제특허출원(PCT) 세계 4위!", 2022년 2월 14일, https://www.kipo.go.kr/ko/kpoBultnDetail.do?menuCd=SCD0200618&parntMenuCd2=SCD0200052&aprchId=BUT0000029&pgmSeq=19412&ntatcSeq=19412. 2023년 3월 22일 접속.
  47. 지식재산동향뉴스 "미국 상무부, 경쟁력 및 혁신역량 보고서를 통해 지식재산 및 접근성 균형 강조", 2012년 1월 9일. https://www.kiip.re.kr/board/trend/view.do?bd_gb=trend&bd_cd=1&bd_item=0&field=searchTC&query=%EC%95%84%EC%9D%B4%EB%94%94%EC%96%B4&po_item_gb=¤tPage=36&po_no=11011. 2022년 3월 28일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