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장집중도를 이용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지역개발격차 분석 및 시사점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Market Concentration Ratio - Focusing o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

  • 조예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약학과, (재)충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산업기획팀 ) ;
  • 최상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약학과)
  • 투고 : 2023.03.23
  • 심사 : 2023.06.22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가 다른 지역 간 개발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산업조직론의 집중지수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 제안한다. 연구의 범위는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해당 산업을 육성해 온 충청북도 11개 시·군이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지역개발격차지수 이론을 기반으로 상위기업집중률과 허핀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육성 의지를 표명하고 있는 바이오헬스산업으로 대상지의 시·군경쟁력강화산업 결과를 기반으로 4개의 세부분야(제약,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부분야별 매출액, 종사자수, 연구개발비를 기준으로 분석한 지역개발격차지수 결과에 따라 지역별로 강점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별 차별화된 산업육성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of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And the range of study is 11 citi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concentration ratio(CR) and Herfindahl-Hirschman Index. After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 intend to study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using these two indexes. Target is the bio-health industry that all povinces in South Korea want to develop competitively.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bio-health industry into four detailed fields(pharmaceuticals, medical devic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These fields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ity and county competitiveness-enhancing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index based on sales, the number of workers, and R&D expenses by detailed fiel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s according to the detailed fields differed by reg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differentiated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each region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2018~2022).
  2. 관계부처 합동, 2019,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3. 관계부처 협동, 2023, 지역 기반 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pp.1-16.
  4. 김대중.김태진, 2014,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산업정책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충남 전략산업의 산업집적과 지역경쟁력간의 관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3), pp.31-50.
  5. 김수엽.반영길, 2009, 물류산업의 시장집중도 분석 -허핀달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해양물류연구」, 1, pp.25-42.
  6. 김영수.이상호, 2010, 지역 간 성장격차의 요인 분석과 정책 시사점, 「e-keit산업경제정보」, 481(2010-13), pp. 1-12.
  7. 김지오.이윤정, 2005, 시장집중도를 이용한 에너지.환경 지역개발격차의 실증분석 및 해소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논단」, pp.28-45.
  8. 김태환, 2004, 지역발전을 위한 중앙-지방 역할분담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정책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41(2004. 6), pp.37-52.
  9. 남영호, 1996,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및 지표산정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pp.1-63.
  10. 노영진.유재원.권선희, 2022, 제조업 고정투자에 대한 시장집중도의 비선형적 영향 분석, Journal of Korean Economic Studies, 40(4), pp.5-28. https://doi.org/10.46665/jkes.2022.12.40.4.5
  11. 문혜선.강민성.이경숙, 2018, 우리나라 바이오클러스터의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연구,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884, pp.1-231.
  12.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2016,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13. 유승준.이시영, 2020, 국내.외 바이오클러스터 동향 및 정책 제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76, 1-19.
  14. 윤옥경, 2015, 지학사, 지역격차와 공간적 불평등, pp.256-261.
  15. 이주한.김동현, 2020, 지역경제 성장에 따른 지역 내부의 경제적 격차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지, 36(3), pp.29-40.
  16. 장영호, 2015, 지역간 격차와 지역내 격차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경기도 31개 시군을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29(1), pp.099-125.
  17.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2012, 지역격차해소를 위한 상생발전방안 연구.
  18. 정갑영.김동훈.최윤정, 2021, 산업조직론 6판, 「박영사」.
  19. 정호연.강혜정, 2015, 식품제조업의 시장집중도 분석, 농촌경제, 36(3), pp.37-60. https://doi.org/10.1016/j.denabs.2014.07.030
  20. 최지현, 2009, 농어업 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1/5차연도); 식품산업의 구조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 최형길, 2016, 대도시와 농어촌에서 치과의료기관 의료수익분포의 지역 간 차이: 경쟁 지표에 대한 실증적 검증, 「대한치과의사협회지」, 54(12), pp.971-984. https://doi.org/10.22974/JKDA.2016.54.12.002
  22. 충북테크노파크, 2022, 시군경쟁력강화산업 발굴 최종보고서.
  23. 충청북도, 2018,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연구.
  24. 충청북도, 충북과학기술혁신원, 2020, 2020년 충청북도 시군경쟁력강화산업 발굴 보고서.
  25. 충청북도, 2022, 2022년 충청북도지역산업진흥계획.
  26. Dongsu Kim.Miyoung Ahn.Jeeyoun Jung.Soohyun Kwon.Eun-Ji Park.Ki Hoon Koo.Jong-Min Woo, 2015, Evidence-Based Complemetary and Alternative Medicinem, 2015(12).
  27. Gil Eunsun, 2021, The Contribution of Industries over Sixty Years of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26(5), pp.29-42. https://doi.org/10.2139/ssrn.4192209
  28. Statistics Korea, 2017,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Rev 10, Statistics Korea, 2017,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