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s of Climate Technology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

기후기술 인재양성사업의 효과성 연구

  • Received : 2023.03.28
  • Accepted : 2023.04.14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global competition for technological supremacy to address climate change, it is crucial to develop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in the field of climate technology to accumulate the national technological capabilities. However, these programs are rarely monitored and evaluated, and research related to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the field of climate technology workforce development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in hydrogen energy and policy sectors on students' R&D capabilities and career aspirations in these sectors. Th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beneficiaries revealed that individual students' R&D capabilities and career confidence improved, and group-level R&D capabilities were also enhanced, and students felt greater appreciation on the significance of climat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cessary R&D capabilities to train R&D workforce in climate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but more measures are required to promote career development in this field.

오늘날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기술패권 경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기술 역량을 보유한 기후기술 분야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인재양성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가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기후기술 분야 인재양성 사업의 성과평가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대응 기술 분야 중 수소 및 정책 분야 인재양성 사업을 통해 수혜 학생들의 R&D 역량과 경력개발 의지를 향상시켰는지 분석하였다. 기후기술 인재양성 사업의 수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 개인별로는 R&D 역량이 향상되었고, 경력개발 자신감이 높아진 것으로 보였다. 대학별로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R&D 역량이 향상되었고, 기술가치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기후기술 분야의 R&D 역량들은 발굴되었지만 기후기술 분야 경력개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가녹색기술연구소의 한국연구재단 수탁사업인 "기후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정책 지원 사업(1711159568)"의 일환으로 수행한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임

References

  1. 김동원(2015). 기후변화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모델과 대학교육과정의 개발, 25(1), pp. 221-247.
  2. 김명진, 배관표(2022). 대학원 재정지원 사업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재정수혜가 인재양성 성과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3(1), pp. 289-306. https://doi.org/10.16935/EJSS.2017.33.2.009
  3. 김봉문, 김우영(2012). 정부지원 인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재양성사업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4(3), pp. 267-296.
  4. 김영준, 문인철, 고경민(2017). 인재양성 사업의 정책효과 분석; 정부의 '원자력대학생 논문연구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2), pp. 29-50.
  5. 노민선, 송창현(2019). 중소기업 산학협력 인재 양성사업의 성과 영향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38(6), pp. 1-21.
  6. 관계부처 합동(2022).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안).
  7. 녹색기술센터(2017).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연구. 기후 변화 개발협력 역량강화 연구, 녹색기술센터.
  8. 박기문(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 pp. 234-257.
  9. 박기범, 홍성민, 조가원, 김선우, 장보원, 이상돈, 심정민 (2014). 전환기 과학기술인재정책의 한계 및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박재민, 박명수, 김형주, 조현대, 박동배, 임하얀(2006). 고급 과학기술인재 양성 관련 정부지원사업의 성과평가 방안, 정책연구, pp. 1-185.
  11. 박정환, 김국보(2014). 지역특화IT 인재양성프로그램 성과분석 사례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1), pp. 93-94.
  12. 이광희, 김종덕, 김찬석, 박현용(2020). 인재양성사업 정책성과의 추적조사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3(1), pp. 221-244.
  13. 이빛나라, 이은희(2013). 기후변화 교육이 대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환경교육, 26(4), pp. 480-489.
  14. 이연우, 홍성민(2019). 고학력 과학기술인재의 역량개발 현황과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 2(2), pp. 53-78.
  15. 이유아, 김진수, 허은녕(2008). 신재생에너지 인재양성 평가방법론 연구, 2008년도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pp. 103-106.
  16. 이찬, 윤여창, 문예원, 이재은(2012). 환경경영전문가 육성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선 연구; 서울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25(2), pp. 210-223.
  17. 이창훈, 서원석(2016). 델파이법을 이용한 과학기술분야 인재의 직능 수준 도출,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9(6), pp. 32-37.
  18. 이창훈, 서원석, 고홍월, 조동헌, 서지연(2016).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과학기술분야 인재의 역량 도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 pp. 252-275.
  19. 장혜원(2018). 과학, 기술, 공학, 수학 (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pp. 781-79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6.781
  20. 진경희(2013). 인재양성사업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제주 지역산업 인재양성사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한나, 김민철, 박제우(2018). 영국의 기후변화 역량 강화 정책과 전문가의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한국 정책에의 시사점 도출, 핵심역량교육연구, 3(2), pp. 43-63.
  22. 환경부(2021). 한국형 K-TAXONOMY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23. 홍성민(2013). 미래 과학기술인재의 경력단계별 핵심 역량, 과학기술정책, (193), pp. 132-138.
  24. 홍성민, 김형주, 조가원, 박기범, 김선우(2013). 미래 과학기술인재상에 대응한 인재양성전략, STEPI Insight, (131), pp. 1-35.
  25. 홍성민, 장선미(2016). 과학기술인재의 경력개발 촉진 요인에 대한 분석, 기술혁신연구, 24(3), pp. 139-159.
  26.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pp.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27. Creswell, J. W., & Clark, V. L. P.(2017).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cations.
  28. Hall, D. T.(1996).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10(4), pp. 8-16. https://doi.org/10.5465/ame.1996.3145315
  29. Kruger, R., & Casey, M.(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th ed.,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30. Krumboltz, J. D., Mitchell, A. M., & Jones, G. B.(1976). "A Social Learning Theory of Career Selec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6(1), pp. 71-81. https://doi.org/10.1177/001100007600600117
  31. Lederman, L. C.(1990). "Assessing Education Effectiveness; The Focus Group Interview as a Technique for Data Collection", Communication Education, 39(2), pp. 117-127.
  32. McLagan, P. A.(1997). "Competencies;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 Development, 51(5), pp. 40-48.
  33. Morrison, R. F., & Hock, R. R.(1986). "Career Building; Learning from Culculative Work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pp. 236-273.
  34. Richardson, C. A., & Rabiee, F.(2001). "A Question of Access;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Health of Young Males Aged 15 to 19 living in Corby and Their Use of Health Care Services", Health Education Journal, 60(1), pp. 3-16.
  35. Spencer, L. M.,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 Wiley.
  36. Super, D. E.(1980). "A Life-Span, life-Space Appor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3), pp. 282-298.
  37. Super, D. E., & Hall, D. T.(1978). "Career Development; Exploration and Plann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9(1), pp. 333-372. https://doi.org/10.1146/annurev.ps.29.020178.002001
  38. Ryu, Yun-Seok(2011). "Relationship among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ust a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Korean Educational Forum, 10(1), pp. 227-247.
  39. White, R. W.(1959). "Motivation Reconsider;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p.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