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process and limit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y,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발전과정과 한계, 미래 방향에 대한 제언

  • Received : 2023.04.11
  • Accepted : 2023.07.17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jor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ies and to derive desirable future policy directions in the policy environment of a paradigm shift in supply and demand. To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y, which was promoted in earnest from the 2000s, with the topic of resolving the phenomenon of avoida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basic plan for supporting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Next, we summarized the main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e change in demand for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supply shock of demographic decline, that is, the paradigm shift in the supply and demand of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Based on this, the core direction of the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policy was suggested to create a human-center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ecosystem that promotes the continued growth and inflow of human resources, so that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training and utilization of excellent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본 논문의 목적은 주요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발전과정에 대한 정리와 함께 수급 패러다임 변화라는 정책 환경 속에서 바람직한 미래 정책 방향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를 화두로 2000년대부터 본격 추진되었던 과학기술인력정책의 전개과정을 이공계인력 지원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과학기술인력 수요 변화와 인구구조 감소라는 공급충격, 즉 과학기술인재 수급 패러다임 전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과학기술인력정책의 핵심 방향을 우수 과학기술인재 배출과 활용의 토대가 되어 인재의 지속 성장과 유입을 촉진시키는, 사람 중심의 과학기술 연구생태계 조성으로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진 외(2020.12), 산업일자리 고도화 기술동향, KEIT PD ISSUE REPORT VOL 20-1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 과기정통부 외(2022), 2020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과기정통부(2021.2.26.),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안).
  4. 관계부처 합동(2016.1.),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6~'20)(안).
  5. 박기범(2022.7.29), 이공계 대학원생 Downsizing: 전망과 영향, 제44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발표자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엄미정 외(2018),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기술인력 직무 변화 추세 진단과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엄미정 외(2021), 첨단.신기술분야 고급 인력의 육성 및 성장 지원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윤혜준 외(2019.11.26.), Z세대가 온다: 99년생 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KRIVET Issue Brief 제173호, 한국직업능력연구원.
  9. 이혜선 외(2022. 10. 19.), 인구절벽시대, 이공계 대학원생 현황과 지원 방향, STEPI Insight 제306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통계청(2012.12), 장래인구 추계: 2020~2070.
  11. 최영준(2022.03.15.), MZ세대의 현황과 특징, BOK 이슈노트 제 2022-13호, 한국은행.
  12.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20.12), 중견기업 R&D 활성화 방안 연구.
  13. 홍성민 외(2017), 제4장 과학기술 인력정책, 한국과학기술50년사: 제2편 과학기술정책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4. 홍성민 외(2019), 과학기술의 일자리 영향 분석에 기반한 좋은 일자리 창출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홍성민 외(2021a), 산업 핵심인재 확보전략 수립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6. 홍성민 외(2021b), 과학기술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국가R&D 중장기 투자전략 수립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과기정통부.
  17. 홍성민(2022.7.7.),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발전과 한계, 미래 방향에 대한 제언, 2022년 기술경영경제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18. Henderson, R. M., and Clark, K. B.(1990), Architectural Innovation: The Reconfiguration of Existing Product Technologies and the Failure of Established Fir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pp. 9-30.  https://doi.org/10.2307/2393549
  19.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6, 2018, 2020.
  20.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21. World Economic Forum(2020), The Future of Jobs Report 2020.
  22. 科學技術.學術審議會人材委員會(2009), 「科學技術關係人材の社會全体での活躍に向けて(中間まとめ). 
  23. 데일리메디(2021.12.09. 18:47)
  2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DB (https://kess.kedi.re.kr/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