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지담, "국민 3명 중 1명 '근골격계 질환' 진료... "VDT 증후군 등 주의", 한겨례, 2020,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965376.html, 2020.10.
- 권의정, "최근 20년간 우리나라 질병구조의 변화 - 내원일수를 중심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4권, 5호, pp.66, 2020.
- 김상중, "어깨, 허리, 무릎 등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 비수술적 치료로 환자의 삶을 높이다", 삼성서울병원, 2014,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28791&CONT_CLS_CD=001027&CONT_ID=6674, 2014.06.
- 이준혁, "잘못된 자세가 부른 허리 통증 이제 수술없이 치료", 한국경제, 2013,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3032980881, 2013.03.
- 권재한, "특발성 척추측만증 cobb 각 개선을 위한 교정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1, 2003.
- 염은영.신수진, "자기 사진이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진학회지, AURA, No. 15, pp. 100-111, 2006.
- 진숙,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한국동서철학회, 동서철학연구, No. 97, pp.283-310, 2020. https://doi.org/10.15841/KSPEW..97.202009.283
- 박미정.박정숙, "자세관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척추측만 정도와 자세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영향", 대학간호학회지, Vol. 33, No. 5, pp.643-650, 2003.
- 안재경. 민영, "소통 전략으로서 미러링의 효과 관점 수용과 외집단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 64, No. 5, pp.46-80, 2020. https://doi.org/10.20879/kjjcs.2020.64.5.002
- Carlson-Sabelli,L., "Role reversal: A concept 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literature",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Psychodrama and Sociometry, No. 42, pp.139-152, 1989.
- 육은영, "일 지역 농촌노인의근골격계통증, 우울및 삶의 질", 한양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3.
- 임정욱.권영준.장채원.이종헌.김인석.유상철.노재훈.원종욱.차봉석.이철호, "중소규모 사업장의 근막통증증후군 관리를 위한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 대학산업의학회지, Vol.22, No. 4, pp.307-315, 2010.
- 전진현.조영달.박성혈, "상-벌점제에서 학생들의 "상점받기" 경험에 대한 이해? "벌점부여-상점받기"를 반복하는 K중학교 학생의 사례 연구-", 법교육연구, Vol. 8, No.3, pp.83-114, 2013. https://doi.org/10.29175/KLREA.8.3.201312.83
- 박찬우. 구재본. 진한빛. 김윤정. 임채현. 홍찬화. 김혜진,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Vol. 37, No. 2, 2022.
- 권혁준," 반창고처럼 붙여 실시간 체크하는 센서 개발", 2019, 대학저널, https://www.dhnews.co.kr
- 전은광 한상욱. 강란희. 이화민, "스마트워치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행위데이터 분석",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22, No. 2, 2015.
- 이민정. 황순자,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9(1), 75-94, 2010.
- 정혜란. 박현숙, "자기감독 중재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수업 중 과제수행행동 및 읽기성취에 미치는 효과", 언어청각장애연구, 12, 334-358, 2007.
- 하정혜. 김판희. 윤연기, "행동점검플래너를 적용한 학습전략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Vol. 28, No. 3, pp.521-537, 2014.
- 윤성덕. 박기덕, "코어 근육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Vol. 29, No.6, pp.1217-1230, 2020.
- 정지영. 신충수, "코어근력이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기계학회, 대한기계학회춘추학술대회, 2365-2368, 2017.
- Panjabi, M. M., "Clinical spinal instabilityandlow back pai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3(4), 371-379, 2003. https://doi.org/10.1016/S1050-6411(03)00044-0
- Hibbs, A. E., Thompson, K. G., French, D., Wrigley, A., & Spears, I., "Optimizing performance by improvingcore stability and core strength", Sports Medicine, 38(12), 995-1008, 2008. https://doi.org/10.2165/00007256-200838120-00004
- Krabak, B., & Kennedy, D. J.,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lumbar spine injuries in theathlete. Sports medicine and arthroscopy review", 16(1), 47-54, 2008. https://doi.org/10.1097/JSA.0b013e318164c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