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Conceptual Acquisition and Perception Change of Strata and Rocks after Geological Exploration

초등예비교사들의 지질답사를 통한 지층과 암석 개념습득 및 인식변화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23.11.22
  • Accepted : 2023.12.14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is study involved 22 students in one class of 4th year science intensive course at B College of Educa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geology and the perception of geological exploration among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 period of four weeks was designated for a semester to a geological field trip. For the geological exploration, the Geoparks of City B (Geumjeongsan Mountain, Amnam Park, Igidae, Dusong Peninsula, Jangsan, Taejongdae, and Hwangnyeongsan Mountain) were designated. The concept of geology and rocks has been extracted from the concepts that can be found in the Geopark.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was composed of one group of four members autonomously. The other two of the pre-service teachers joined a group of friends with whom they had an affinity.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e materials were organized by group and PPT presentations were made during the lecture time where all the members could listen. The extent to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acquired the concepts of geology and rocks after conducting the geological field trip wa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pre- and post-statistical processing. In addition, we interpreted what kind of perception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processing before and 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effectiv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the concepts of strata and rocks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conducting geological field trips ha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geological field trips. In addi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se results were obtained because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geology and rock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is reason is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in geological exploration by exploring and experiencing the sites of the Geopark for each group.

본 연구는 B 교육대학교의 4학년 과학 심화과정 1개반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질답사 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개념 습득과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 학기 중 4주간의 시간을 지정하여 지질답사를 하였다. 지질답사는 B시의 지질공원(금정산, 암남공원, 이기대, 두송반도, 장산, 태종대, 황령산)을 지정하였다. 지층과 암석에 대한 개념은 지질공원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념을 추출하였다. 모둠원 구성은 자율적으로 4인 1조로 구성하였다. 모둠원 구성 중 나머지 2명은 친화력이 있는 동료 모둠에 합류하였다. 지질답사 후에는 모둠별로 자료를 정리하여 모든 모둠원이 청취가 가능한 강의 시간에 PPT 발표를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이 지질답사를 한 후, 지질과 암석에 대한 개념을 습득한 정도를 전-후 통계 처리 결과로 해석하였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이 지질답사 후에 어떠한 인식을 하게 되었는 지도 전-후의 통계 처리 결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질답사를 통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개념습득은 효과적이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이 지질답사를 수행하면서 미리 학습한 개념이나 내용을 지질현장에서 가서 확인하는 과정에서 보다 지층과 암석에 관련 된 내용을 심도있게 학습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둘째, 지질답사를 통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지질답사를 수행함으로써 지층과 암석에 관련한 내용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보다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길영우, 최돈원, 정우철, 조윤수, 정려진(2018). 야외지질 학습장으로써 사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64-177.
  2. 김우겸(2020). 3D 파노라마를 활용한 가상야외지질답사 수업이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지윤(2018). 경상남도 고성군 상족암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해경(2016). 고흥군 북서 해안의 지질학습장으로서의 활용가능성.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63-172.
  5.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 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6. 김희수(2014). 적벽강 지역의 가상 야외지질답사 자료 개발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8(3), 205-215. https://doi.org/10.15737/SSJ.8.3.201410.205
  7. 윤마병(2019).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만들기를 통한 학성리 맨삽지 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339-35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39
  8. 이면우(2010). 지질답사 전후 예비 초등 교사의 지질 영역에 대한 지식과 지질답사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 초등과학교육, 29(4), 484-495.
  9. 이우희(2021). 중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 변화 분석: 백령도 3D 가상 야외지질답사 자료 적용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동권(2021).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야외지질답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73-192.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173
  11. 정찬미, 신동희(2017).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답사 교육 문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65-48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465
  12. 진연자, 위수민, 임성만(2016).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포천 아트 밸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23-148.
  13. 천종배, 김희수(2018). 실제 야외지질답사와 가상 야외 지질답사의 수업 효과 비교. 현장과학교육, 12(3), 331-340. https://doi.org/10.15737/SSJ.12.3.201810.331
  14. 최윤성, 김종욱(2022).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171-19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171
  15. 최윤성, 김찬종(2020).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활용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의 야외지질학습 적용. 현장 과학교육, 14(2), 175-192. https://doi.org/10.15737/SSJ.14.2.202005.175
  16. 하수진, 채용운, 강희철, 김종선, 박정웅, 신승원, 임현수, 조형성(2021). 화성 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한국지구과학회지, 42(3), 311-324.
  17. Bopegedera, A. M. R. P., & Coughenour, C. L. (2021). An interdisciplinary, project-based inquiry into the chemistry and geology of alkaline surface lake waters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8(4), 1352-1360.
  18. Hoyer, L., & Hastie, W. W. (2023). Geoscienc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how field work and practical skills influence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ubject interest.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71(2), 158-176.
  19. Senger, K., & Nordmo, I. (2021). Using digital field notebooks in geoscientific learning in polar environment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9(2), 166-177. https://doi.org/10.1080/10899995.2020.1725407
  20. Shinneman, A. L. C., Loeffler, S., & Myrbo, A. E. (2020). Self-guided field trips allow flexibility in undergraduate student introductory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8(4), 371-379. https://doi.org/10.1080/10899995.2020.1768006
  21. Xie, Y., Gao, G., Niu, N., & Wang, Y. (2023). Exploration and practice of the use of mobile devices to assist in general geological field practice.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47(2), 210-226. https://doi.org/10.1080/03098265.2021.2006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