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ing the preferences of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retirement housing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신노년세대의 시니어 주거에 대한 선호조사와 미래 방향 고찰

  • Received : 2023.10.17
  • Accepted : 2023.11.14
  • Published : 2023.12.15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s for future senior hous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future senior housing. Methods: Data from an online survey of a new generation of older adults and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baby boomers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have been using quantitative analysed method. Literature surveys also have been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uture senior housing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conceptual expansion from the Aging in Place (AIP) to the Aging in Community (AIC) paradigm. The preference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future senior housing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preferences for location, facility size and type, unit floor plans and services, and living costs. Implications: The direction of senior housing services and architectual plans for seniors aged 55 to 65 years old were discussed.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굿네이버스 미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한국형 시니어주거공동체 모형 및 조성방향」 (2021) 보고서의 설문조사 및 FGI 내용을 토대로 작성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태헌, 2016, "주요 선진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및 고령화에 따른 영향과 시사점",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 47(1), p1
  2. 구혜경, 조희경, 2016, "50세 이상 장년층 세대 유형별 주거선호 연구", 한국소비자학회지, 27(2), p67~84
  3. 권오정, 이용민, 2018, "노후 주거 관련 의식에 기초한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주거대안 제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5), p39~50,
  4. 김미희, 문희정, 2017, "중산층 베이비부머의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 내 자립주거의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분석",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9(1), p121~126,
  5. 김수린, 2014, "신노년세대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편방향 모색",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109~118
  6. 김한나, 2006, "중년층의 노후대비수준에 따른 주거 선호의식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김혜연, 이연숙, 2010,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p83~92
  8. 박정기, 노영학, 2012,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호를 고려한 주거정책 방향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0(2), p187~214
  9. 박현식, 전오진, 2014,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년세대와 신노년세대 인식 비교", 한국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연구, 22(4), p217~237
  10. 윤가영, 이연숙, 2013,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사회적 건강을 배려한 노인주거공간 선호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12(6), p67~81
  11. 이윤경, 강은나, 김세진, 변재관, 2017,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2. 조아라, 2013, "일본의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5), p709~727
  13. 정문미, 원영신, 2011, "신노년 세대에 대한 고찰",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1(2), p49~65
  14. Kastenberg, E. C.; Chasin, J., 2004, "Elderly housing", InternalRevenue Services, US
  15. Institute for Public Policy & Economic Development, 2017, Community toolkit: Senior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