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generation of senior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8초

신노년세대의 시니어 주거에 대한 선호조사와 미래 방향 고찰 (Surveying the preferences of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retirement housing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 권순정;박화옥;임정원;윤극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21-2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s for future senior hous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future senior housing. Methods: Data from an online survey of a new generation of older adults and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baby boomers were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have been using quantitative analysed method. Literature surveys also have been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uture senior housing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conceptual expansion from the Aging in Place (AIP) to the Aging in Community (AIC) paradigm. The preferences of the new generation of seniors for future senior housing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preferences for location, facility size and type, unit floor plans and services, and living costs. Implications: The direction of senior housing services and architectual plans for seniors aged 55 to 65 years old were discussed.

Color Cosmetics Market's Segmentation for Korean New Seniors

  • Baek, Kyoung Ji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89-1204
    • /
    • 2020
  • Population aging and longevity have compelled major worldwide consumer markets to focus on senior citizens who exhibit a desire to nurture their appearance and obtain related products such as cosmetics. This trend signals an increasing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elderly consumers in the color cosmetics market.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in the pre-elderly stage ("new seniors") based on their lifestyle and market segments. It employed online surveys with participants consisting of pre-elderly Korean women born between 1955 and 1963 who reside in the greater Seoul and Gyeonggi area. The study used SPSS 23.0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s test, and cross-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ew sen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lifestyle: Prime Seniors, Potential Seniors, Rational Seniors, and Slump Seniors. Each group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nior market requires further segmentation and is no longer a single uniform market.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lifestyles of the elderly is an instrumental variable for their segmentation.

발효쪽 소재와 전통디자인을 활용한 뉴실버세대의 요양복 개발 (Design Development of the Recuperation Clothing using Polygonum Indigo and Traditional Design for New Silver Generation)

  • 김복주;조오순;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9_10
    • /
    • pp.1408-1417
    • /
    • 2007
  • In Korea, to deal with the housing needs of the elderly, the government operates free nursing homes and residential homes. And to deal with the needs for daily necessities, imported products or products for the disabled have been supplied for the elderly. The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ilver industry in this rapidly aging society and has established strategies to vitalize industries related to seniors to deal with the seniors' need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nursing home gowns,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home gown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beautiful and functional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status of silver fashion, necessity of nursing home gowns, emergence of new silver generation and change in lifestyle, and value and utilization of natural dye and traditional patterns. To produce nursing home gowns, fabric was dyed using fermented indigo dying, and 3 styles of nursing home gowns for each gender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easons. Lastly, these gowns were evaluated by fashion experts, medical personnel, hospital gown and silver wear experts, and natural dye exper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design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excellent and the fermented indigo dye was appropriate for the nursing home gowns. The development of nursing home gowns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silver wear and nursing home gow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seniors.

장년층(長年層)의 은퇴 후 삶에 대한 지방정부의 정책대응 -50+센터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New Aging Support Policy in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50 Plus Center)

  • 정재한;김형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91-299
    • /
    • 2016
  • 본 연구는 새로운 노인층을 구성하는 장년층 세대에 부합할 수 있는 정책 대응 방안을 50+센터의 역할 정립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장년층 세대는 기존 노인층에 비해 사회 참여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종합복지관 등 기존 기관들은 해당 역할 수행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50+센터는 서울의 장년층 세대가 은퇴 이후 최초로 진입하는 공공영역의 기관으로 그들의 인생설계교육 및 사회참여 교육을 중심으로 역할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실버세대의 여가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 (On Analysis of Silver Generation Leasure Life Activities for Contents Development)

  • 조석봉;변승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81-89
    • /
    • 2008
  • 의학의 발전과 저출산 현상이 발생하면서 우리 사회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노년의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이는 점차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실버세대를 위한 여가 활동을 위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실버세대들의 여가활동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6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TV 시청과 휴식 수면이 가장 높은 여가 활동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의 사용에 대한 응답률이 낮지만, 인터넷에 익숙한 $40^{\sim}50$ 세대가 노인층으로 진입할 경우 그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이러한 $40^{\sim}50$대가 노인층으로 진입할 경우 이들을 위한 노인용 유망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예측해 보았다.

액티브 시니어 계층을 고려한 주택단지 계획기준 연구 -서울시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Housing Planning Criterion for Active Senior Generation -Focused on Baby Boomer in Seoul-)

  • 우미경;박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29-540
    • /
    • 2014
  • 우리나라의 베이비 부머는 전체 인구구조의 약 1/4을 차지하는 인구집단으로서, 기존의 세대들이 경험하지 못한 기대수명 100세라는 초 고령화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이들 세대는 압축적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건강한 신체와 풍부한 경제력, 여가 문화적 소비욕구를 바탕으로 지속적 경제활동과 적극적 사회참여 욕구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노인세대와 구분되는 새로운 인구계층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 대상으로 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베이비 부머 거주 밀도를 보이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예비적 고령자로서 베이비 부머의 주거욕구가 무엇인지 소비자 관점에서 상향식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주거단지계획 기준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베이비부머는 주거단지계획 기준요소로 '사회 접근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의료 접근성'은 두 번째로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기타 '생활 편의성', '공간 인지성' 등이 차하의 순위를 기록하였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베이비 부머는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액티브 시니어가 지향하는 라이프 스타일과 매우 유사하다고 분석되었고, 이는 기존 노인세대가 보였던 고령자 전용적 거주선호와 구별되는 액티브 시니어의 틈새적 주거욕구라 판단된다.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 가이드라인 제안 (Proposal of GUI Guidelin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Healthcare for New Silver Generation)

  • 조성배;이재익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2호
    • /
    • pp.60-70
    • /
    • 2018
  • 최근 고령 사회로의 진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GUI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뉴실버세대는 일반적인 고령자들보다는 정보취득에 대한 거부감이 약하기는 하지만 4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과 정보습득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GUI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현황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각 분야에서 선호되는 시각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GUI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휴리스틱(heuristic)방식을 통하여 57세부터 65세까지의 뉴실버세대 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뉴실버세대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LDA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액티브 시니어 콘텐츠 트렌드 분석 (Active Senior Contents Trend Analysis using LDA Topic Modeling)

  • 이동우;김유신;신은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5-45
    • /
    • 2021
  • 베이비 부머 세대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면서 기존의 시니어와는 달리 활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시니어들이 액티브 시니어라는 신조어로 불리며 새로운 소비자 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많은 국가들과 기업들도 이들을 주목하고 관련 정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지만 액티브 시니어 트렌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특징과 이들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 트렌드를 파악하여, 액티브 시니어를 적극 포용하고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 미디어에 대한 정책 및 서비스 방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액티브 시니어를 수집 키워드로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6월 31일까지 8,740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 TF-IDF 분석,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및 TF-IDF 분석을 통해서 액티브시니어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통해서 온라인 콘텐츠의 주제 영역을 10가지로 분류하고 라이프 스타일, 혜택, 쇼핑, 정부 사업, 정부 교육, 건강, 사회/경제, 케어 산업, 실버 주택, 여가로 명명하였다.

뉴 실버세대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사례 분석 (Case Analysis for the Emotional Communication Contents of New Silver Generation)

  • 정윤지;유민성;오주영;황현석;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3-28
    • /
    • 2024
  • 연구는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 인구의 증가와 관련된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 방안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년 인구는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기업들은 AI 및 로봇 기술을 활용하여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건강 관리와 일상생활 돌봄뿐만 아니라 정서적 건강 측면에서 노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논문에서는 현재 시장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노인관련 기술을 분석하고, 그 장단점 및 발전 가능성을 조사한다. 논문은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이 더 많은 AI 및 로봇 기반의 노인 돌봄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및 정서적 문제를 완화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

베이비부머세대의 문화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ural Activity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 조태선;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70-475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들의 문화환경을 만들어 성공적인 노후를 맞을수 있도록 하며, 베이비부머세대에 적합한 문화도시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전,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버부머(1955년~1963년)세대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29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인 문화활동태도, 문화활동 필요성 및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변인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베이비부머세대들은 문화활동이 필요하다라는 부분에서는 깊은 공감을 표하였지만, 실제 참여경험은 전무했으며, 이는 문화활동태도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부머세대를 위한 문화환경 및 시설을 확대하여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쉽게 어울릴 수 있는 곳, 대화를 나누고 취미나 오락 활동을 할 수 있는 문화활동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겠다. 둘째, 베이비부머를 위한 문화공간은 지리적 접근성이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지리적 접근을 고려한 문화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아물러 친목도모, 여가활동, 취미생활, 휴식 등의 복합적인 장으로 활용가능한 장소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베이비부머세대들을 위한 문화자원 문화공간 조성 공간의 복합화 공간의 브랜드화로 베이비부머세대들의 문화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문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