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ical Meaning of Creation Myths: Focused on Darkness/Massa Confusa, Separation of World Parent and Creation of Land/Island

무의식의 창조성 관점으로 고찰한 창조신화: 흑암/혼돈, 천지개벽/분리, 섬/육지 창조 중심

  • Jin-Sook Kim (Graduate School of Seoul Buddhist University)
  • 김진숙 (서울불교대학원 대학교)
  • Received : 2023.09.30
  • Accepted : 2023.11.27
  • Published : 2023.1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creation myths by utilizing related myths, analysand's dreams, active imagination, and artwork to reveal the creative function of the unconscious. The creation myth is the phenomenon of projection when a new order is demanded in the chaotic phase of personal and human history.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ego, it can be a sign of a reconstruction/alteration of consciousness or an invasion. Related literature such as Jung, von Franz, Neumann, Harding, and Edinger, domestic papers, and case reports a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darkness' in creation myths is regarded as unconscious that is too dark to see. The Eskimo creation myth and an analysand's dreams of being blind and wandering in darknes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nigredo in Alchemy.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massa confusa' regards Uroboros, pleroma, early childhood experience, and a psychological womb in which everything is contained in one. With related myths and unconscious materials, a discussion is followed on how this realm can be a precursor of creation but also be trapped in an abys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separation of world parent' is related to splitting one into two when unconscious contexts were touched before it became consciousness. Related myths, 'the world created between heaven and earth,' 'celestial being descending to the earth,' and 'the legend of relocation of a mountain,' as well as clinical material, are examined.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eparation of heaven and earth occurring on its own, that the creator's emotional aspects, such as loneliness and anxiety, are involved, and that delayed separation leads to the death of creatura and sudden separation leads to the death of the chaos. Then, the meaning of 'separation of world parent'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separatio, the alchemical process of acquiring light/consciousness from darkness/unconsciousnes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creation of 'land/island' refers to the emergence of consciousness, the contents of the unconscious material into the realm of the ego. Related myths, such as the 'body of the monster/dragon becoming land' and analysand's dreams, are introduced,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Mercurius. This is followed by discussing related myths in creating the land to coagulatio in alchemy and utilizing creative work such as active imagination, art, music, and dance that can coagulate or concretize unconscious material in clinical approaches. Finally, myths of resurfaced land after the Flood o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the world in relation to the reconstruction of ego are discussed with related clinical material to show the importance of the analyst/therapist/supervisor's mental stability and capacity.

본 논문의 취지는 창조신화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흑암/혼돈 천지개벽/분리, 육지/산 창조 관련 신화의 심리학적 의미를 임상현장에서 관찰한 꿈, 적극적 상상 및 예술작업과 연관하여 무의식의 창조성과 치유적인 기능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먼저 창조신화가 개인사나 인류사에서 혼돈에서 새로운 질서를 필요로 할 때 무의식의 창조성에 의하여 저절로 만들어지는 원형적인 투사 현상으로서 자아의 태도에 따라 새로운 의식의 도약(재건)의 조짐이 될 수도 있고 자아의식의 침범이 될 수 있음을 논하고, 융, 폰 프란츠, 노이만, 하딩, 에딘져 및 국내의 연구현황과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소개하면서 사례를 연관시켜서 연구하게 된 배경을 밝힌다. 창조신화의 흑암/원초적인 혼돈(massa confusa)'의 심리학적 의미에서 '흑암'은 어두워서 보지 못하는 무의식 상태로 보고 어둠속에서 기어다니는 에스키모의 창조자와 어둠속에 있거나 보는 것에 문제가 있는 꿈들과 상황을 소개하면서 연금술의 니그레도(nigredo)공정과 연관하였다. '원초적인 혼돈'은 하나 속에 모든 것이 들어있는 우로보로스, 플레로마, 유아기의 경험 또는 근원적인 자궁의 의미를 가지며 창조의 전조이기도 하지만 심연(abyss)에 갇힌 경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관련된다고 보는 꿈과 상황을 함께 논한다. '천지개벽(분리)'은 무의식적인 내용이 의식이 되기 전에 의식의 문턱을 건드릴 때 두 개로 쪼개지는 것과 관련되고 의식의 진보가 있을 때 나타난다고 보면서 관련신화로서 '천지에 간극이 생겨서 만들어지는 세상', '천상의 존재가 지상으로 내려와 만들어지는 세상', '산 이동 설화'를 소개하고 각 신화가 가지는 심리학적 의미를 관련 사례와 함께 논한다. 관련문헌을 토대로 천지분리가 자체적으로 일어난다는 것과 창조자의 외로움, 불안함 등 정서적인 부분이 개입한다는 것, 그리고 지연된 분리가 크레아투라(creatur 창조물)의 죽음이 되고 성급한 분리가 천재 혼돈의 죽음이 된다는 것이 임상에서 시사하는 바를 논한다. '천지개벽'을 연금술의 분리(separatio)공정과 연관하면서 흑암/혼돈/무의식에서 빛/의식성을 획득해 가는 과정과 동일하다고 보았다. '육지 창조'는 무의식의 내용물이 자아의 영역으로 구체화되는 의식성의 출현을 의미하며. 관련 신화로서 메르쿠리우스 영의 육화라고 볼 수 있는 '괴물/거신의 몸이 육지가 되는 신화', '흙을 가지고 오는 등 창조자의 부단한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육지'와 '저절로 만들어지는 육지'에 관련되는 신화와 관련 사례를 소개한다. '육지 창조'를 연금술의 땅처럼 구체화되는 응고(coagulatio)와 연관시키면서 적극적 상상 및 미술, 음악, 무용 등의 창조적인 작업이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심상을 자아영역으로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무의식의 치유적 기능을 허용 내지 활성화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한다. 마지막으로 세계멸망 후 다시 떠오른 육지관련 신화를 '자아의 재구축'의 의미로 보고 관련 임상 자료를 소개하면서 분석가/치료사/임상감독자의 무의식이 임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열규 (1976): <<한국의 신화>>, 일조각, 서울.
  2. 김열규 (2003):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아카넷. 파주.
  3. 김열규, 한국정신문화원 (20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김진숙 (2012): 창조신화, 특히 '알(卵)'의 상징성과 그 분석심리학적 함의, <<한국 융연구원 전문과정수료 논문>>.
  5. 김진숙 (2017):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섬' 상징의 임상적 적용: 꿈, 모래상자, 그림작업에 출현한 섬 이미지 중심으로, <<심성연구>>, 32(1).
  6. 박시인 (1994): <<알타이 신화>> 청노루, 서울.
  7. 사라시나 겐조, 이경애(역) (2000): <<아이누 신화>>, 역락출판사, 서울.
  8. 서유원 (2002): 中國天地開闢神話에 보이는 天地의 形象, <<中語中文學>>, 18.
  9. 서대석 (1997): <<한국의 신화>>, 집문당, 서울.
  10. 서대석 (2002): 창세시조신화의 의미와 변이, 창조신화의 시계, 전북대 인문학 연구소, 소명출판, 서울.
  11. 손진태 (1930): '창세가'<<조선신가유편>>, 향토연구사, 동경.
  12. 孫晉泰 (1981): <<朝鮮巫覡의神歌, 孫晉泰先生全集>> 5, 太學社, 파주.
  13. 신화아카데미 (2001): <<세계의 창조 신화>>, 동방미디어, 서울.
  14. 이부영 (1998): <<분석심리학>>(개정판), 일조각, 서울.
  15.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16. 이영수 (2008): "인천지역의 산 이동 설화 연구", <<비교민속학>>, 35, 비교민속학회, 안동.
  17. 임석재 (1989): 한국구전설화, 전집 2, 평민사, 서울
  18. 임석재 (1991): "우리나라의 天地開闢神話", <<比較民俗學>>, 7, 비교민속학회, 안동.
  19. 장주근 (1952): <<한국의 신화>>, 성문각, 서울.
  20. 張籌根 (1973): 韓國の民間信仰, 東京金花舍, 동경.
  21. 전인초, 김선자 (1998): <<중국 신화전설>>, 개벽편, 민음사, 서울.
  22. 赤松智城.秋葉隆 (1937): 朝鮮巫俗の硏究, 大阪屋號書店.
  23. 정재서(역) (1991): 산해경 1, 민음사, 서울.
  24. 최상수 (1984): 韓國民間傳說集, 通文館, 서울.
  2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6. 한국문화상징편찬위원회 (1996): <<한국문화상징사전 1. 2>>, 두산동아, 서울.
  27. 현용준 (1976): 제주도 전설, 서문당, 서울.
  28. 玄容駿 (1980): 濟州島巫俗資料事典, 新丘文化社, 서울.
  29. 현용준 (1996): 제주도 신화, 서문당, 서울.
  30. Edinger E, 김진숙(역) (2015): <<연금술의 상징과 심리치료>>, 돈화문출판사, 서울.
  31. Edinger E, 김진숙(역) (2016): <<의식의 창조, 이 시대 융의 신화>>, 돈화문출판사, 서울.
  32. Harding E (1949): An Old Tales Retold: Creation Myths of Babylonia, Spring, The Analytical Psychology Club of N.Y. Inc.
  33. Harding E (1964): The Parental Image: Its Injury and Reconstruction, A Study in Analytical Psychology, G.P. Putnam's Sons, for The C.G. Jung Foundation for Analytical Psychology, New York.
  34. Harding E (1965): The 'I' and the 'Not-I',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Bollingen Series LXXIX, Princeton University, Princeton.
  35. Jaffe A(edit), 이부영(역) (1989): <>, 집문당, 서울.
  36.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37.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 융 기본저작집 제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 출판사, 서울.
  38.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5): 융 기본저작집 제7권, <<상징과 리비도>> 솔 출판사, 서울.
  39. Jung CG (1976): 6 Psychological Types.
  40. Kim JS (2016): Clinical Implication of Images of Island: Based on Dreams, Sandtrays and Artwork of Four Korean Women. IAAP, Congress Proceeding Book.
  41. Neumann E (1954): The Origins of History of Consciousness, Bollingen Foundation Inc.,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42. Neumann E (1955): The Great Mother, Bollingen Foundation Series LIV, New York.
  43. Neumann E, R. Manhuem(translation) (1990): The Child, Shambhala Boston.
  44. Perera SB, 김소영 역 (2014): <<여신에게로 내려가기>>, 돈화문출판사, 서울.
  45. Von Franz ML (1995): Creation Myths, revised edition, Shambhala, Boston &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