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malt pigments used in 10 large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to clarify the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by observ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rough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the smalt of all 10 large Buddhist paintings is judged to be potash glass using SiO2 as a former and K2O as a flux.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related to cobalt ore used as a colorant, the paintings were found to contain high levels of As2O3, BaO, and PbO. The smalt particles did not have specific forms, and were blue in color, with various chromaticity. In some particles, conchoidal fracture, spherical bubbles, and impurities were observed. Through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it was found that the smalt from paintings produc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D had a high level of As, but the smalt from paintings produced from the mid-18th century AD onwards exhibited various contrast differences from particle to particle, and there was smalt with high levels of As, Ba, and Pb.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large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into three smalt types. Type A is a type with high As2O3, type B is a type with high BaO, and type C is a type with high PbO. Looking at the three types of smalt pigments by the period of production, although some in-between periods were not detected, type A was confirmed to have been used from 1705 to 1808, while type B and type C were shown to have appeared in 1750 and used until 1808. This reveals that only one type of smalt was us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AD, and from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D, several types of smalt were mixed and used in one large Buddhist painting. Studies such as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t pigments used to produce large Buddhist paintings at the time.
본 연구는 조선시대 대형 불화 10점에 사용된 회청 안료에 대하여 에너지분산형X-선분광기를 이용하여 화학 조성 분석을 시행하고,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여 재질 및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화학 조성 분석에 의하면, 10개의 대형 불화의 회청은 모두 주제로 SiO2, 융제로 K2O를 사용한 포타쉬 유리로 판단된다. 착색제로 사용한 코발트 광석과 관련된 성분 외에도 As2O3, BaO, PbO가 높게 검출되는 대형 불화가 확인된다. 회청 입자들은 일정한 형태가 없고, 다양한 색도의 청색을 띤다. 일부 입자에서는 패각상의 깨짐, 구 모양의 기포, 불순물이 관찰된다. 반사전자상을 통해 AD 18세기 초반의 대형 불화에서 나온 회청은 As가 높은 회청만 검출되었으나 AD 18세기 중반 이후의 대형 불화에서 나온 회청에서는 입자마다 다양한 명암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As, Ba, Pb 등이 높은 회청이 검출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조선시대 대형 불화의 회청 유형은 3가지로 구분된다. A형은 As2O3가 높은 유형, B형은 BaO가 높은 유형, C형은 PbO가 높은 유형이다. 회청 안료의 3가지 유형을 대형 불화의 제작 시기별로 살펴보면, A형은 중간에 검출되지 않은 시기도 있지만 1705년부터 1808년까지 사용이 확인되며, B형과 C형은 1750년부터 출현하여 1808년까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AD 18세기 초반까지는 한 가지 유형의 회청만 사용되었고, AD 18세기 중반부터는 하나의 대형 불화 안에서도 여러 유형의 회청이 혼합되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당시 대형 불화를 제작할 때 사용한 회청 안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