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review of the Structure of the Jeongsa-Kisun (Senior Envoy Ship)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Shipbuilding Engineering

조선통신사 정사 기선(騎船) 구조의 조선기술 연구

  • HONG Sunjae (Maritime Heritage Research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 홍순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유물연구과)
  • Received : 2022.05.16
  • Accepted : 2022.11.04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structure of the "Kisun"(senior envoy ship) taken by senior envoys for the 10th to 12th visits to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shipbuilding engineering focusing on the theory of the ship in the travel logs of royal envoys to Japan (Sahaengrok) written by Joseon Tongsinsa that includes 12 visits to Japan for about 200 years from 1607 to 181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ize of Kisun for the 10th to 12th envoy visits was 19 Pa (把) and a half in length and 6 Pa (把) and 2 Cheok (尺) in width. The height of the Sampan was found to be 2 Pa (把) and 1 Cheok (尺) based on records in Gyemisusarok and Jeungjeonggyorinji. The structure of Kisun was different for each visit but, it was found that Kisun was mainly composed of a main deck, bow (bow plate, stem plate), stern (stern plate), Sampan, Meonge (support), Garyong (support), Sinbang, Gungji, deck, two masts and sail, Gurejjak (mast support), Panok, stern Panok, Taru, dodger, anchor reel, stairs, rail, rudder, oar, and anchor. In addition, wood and iron nails were used together for conne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sail was made of herbage and cotton. This study found that Kisun, which was operated for the 10th and 12th envoy visits, was big in terms of length and height among the Joseon Tongsinsa fleet to show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Joseon and that it had passages outside on the sides of the vessel and paddles were located between the sides and Panok structure and rails were installed on four sides on the Panok, improving stability and linear beauty. The walls of Panok were decorated with the royal Dancheong pattern and fancy mur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wished for a safe voyage by drawing a demon face on the bow.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Kisun, which was taken by envoys as recorded in travel logs, was made by the state and equipped with structures and functions that enabled international voyages.

본 연구는 통신사(通信使)가 임진왜란 이후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약 200여 년간 12번에 걸쳐 일본을 왕래하며 남긴 사행록(使行錄) 중 선설(船說)을 중심으로 10~12차 사행에 정사 기선의 구조를 조선기술사적 측면에서 보다 깊이 있게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연구 결과 10~12차사행의 기선은 크기는 『계미수사록』과 『증정교린지』를 근거로 상장(갑판)의 길이가 19파(把)반(半), 너비 6파 2척(尺)이고, 삼판 높이는 2파 1척임을 알 수 있었다. 구조는 사행록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을 종합해 보면 본판·선수(비아:이물)·선미(고물)·삼판·멍에·가룡·신방·궁지·갑판·두 개의 돛대와 돛·구레짝·판옥·선미판옥·타루·파도막이·호롱·계단·난간·치·노·닻 등을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부재를 서로 이음하거나 각단을 올릴 때는 연결하는 결구 못은 피삭(皮槊), 나무못[정: 釘], 쇠못[철정: 鐵釘] 등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돛의 종류는 초둔(草芚)으로 만든 돛[석범:席帆]과 베로 만든 돛[포범:布帆]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10~12차 사행에 정사가 타고 간 기선은 조선의 권위와 위엄을 보이기 위해 조선통신사 선단 중 길이를 가장 크게 하고, 선고(船高)를 높게 제작하였으며, 뱃전 바깥으로 이동 통로를 만들고, 뱃전과 판옥 사이에서 노를 젓고, 뱃전 안쪽으로 판옥을 올려 방을 만들고, 판옥 위 사방에 난간을 두어 안정적이며 선형의 미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판옥 벽면에는 궁궐 단청과 화려하게 벽화를 그려 장식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수에 귀면(鬼面)과 선안(船眼)을 그려 항해의 안전을 도모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사행록에 기록된 선설을 통해 정사 기선은 국가에서 제작하고 국제를 항해할 수 있도록 기능과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經國大典」
  2. 「癸未隨槎錄」
  3. 「東槎錄」
  4. 「海遊錄」
  5. 「辛未通信日錄」
  6. 「軒聖遺稿」
  7. 「增正交隣志」
  8. 「使行錄」
  9. 「和漢船用集」
  10. 「津島日記」
  11. 「各船圖本」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전통 목조건축 결구법」.
  1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9, 「조선통신사 정사 기선」, 전통선박 조선기술 VI.
  1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판옥선 학술 복원 보고서」, 전통선박 조선기술 VII.
  15. 金同圭, 1980, 「辛未通信日錄」, 通文館.
  16. 金在瑾, 1975, 「渡海船造船式圖攷」, 「학술원논문집」 인문사회과학편 제14집, 대한민국학술원.
  17. 김재근, 1986, 「韓國船舶史硏究」, 韓國文化硏究叢書 24, 서울대학교출판부.
  18. 김재근, 1989, 「우리 배의 歷史」, 서울대학교출판부.
  19. 김재근, 1994, 「續 韓國船舶史硏究」, 韓國文化硏究所 編 韓國文化硏究叢書 29, 서울대학교출판부.
  20. 김재근, 1994, 「韓國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21. 대불대학교 산업협력단, 2007, 「漁船調査報告書」, 대불대학교 산업협력단 출판부.
  22. 문경호, 2021, 「1811년 신미통사행록」, 공주지역 문화콘텐츠로서의 통신 정사 김이교와 「신미통신일록」, 조선통신사.
  23. (재)부산문화재단, 2018,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2017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념 도록.
  24. 부산문화재단, 2021, 「조선통신사」, 여름호.
  25.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4,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 12」, 學古房.
  26. 이원식, 1990, 「한국의 배」, 대원사.
  27. LG네트웍스, 2020, 「보보담」, 통권 38호.
  28.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 「漁船調査報告書」 第 一冊, 第 二冊.
  29. (사)조선통신사현창회, 2020, 「1748년 조선통신사 행렬도」.
  30. 조정윤, 2021,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원형복원 사례연구」, 「항도부산」 제42호.
  31. 홍순재, 2018, 「조선통신사 정사 기선에 관한 연구」, 「해양문화재」 제11호.
  32. 홍순재, 2018, 「한국 전통선박의 조선기술-새롭게 밝혀낸 조선통신사 정사 기선의 축조술-」, 「2018 해상실크로드 무형유산 국제학술대회-선박, 항해 그리고 사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33. 홍순재, 2019, 「한국 전통선박 변천과정과 조선통신사선 재현에 관한 연구」, 조선통신사학회, 춘계 국제학술 심포지엄, pp.53~78.
  34. 홍순재, 2020, 「조선통신사 정사 기선 재현」, 부산문화재단, 조선통신사 국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워크숍.
  35. 「朝鮮通信使船團屛風」, 正使 騎船, 영국 'Kiplin Hall' 소장.
  36. 「信行渡海船」 북한 조선미술관 소장.
  37. 「朝鮮通信使行列圖」, 영국박물관 소장.
  38. 「朝鮮通信使船牽備前舟船行列圖」, 일본 中塚 廣重, 晶博 소장.
  39. 「近江名所圖會」, 「朝鮮聘使」,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40. 「朝鮮通信使船大坂河口之図屏風」, 広島県 呉市 下蒲刈町 御馳走一番館 소장.
  41. 「朝鮮通信使正使官船圖」, 佐賀県立名護屋城博物館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