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the Transition of Daebodan in the Late Josun Dynasty

조선후기 창덕궁 대보단의 조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 LEE Yeonro (Inc. Architectural Documentation and Archaeology Research Group)
  • 이연노 ((주)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 Received : 2022.04.13
  • Accepted : 2022.11.07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e Daebodan was an altar, which held a memorial service for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This alter, which was referred to as Hwangdan, was first constructed in 1704. Wh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commenced in 1592, Shinjong,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sent reinforcements to Josun to help. This alter was made to repay Shinjong's kindness. Before this, Song-siyeol(宋時烈), Leader of Noron(老論), made a shrine at Hwayangdong to hold memorial services for Shinjong, and after some time, this developed into a national ceremony. Construction of the Daebodan largely changed the backyard of Changdukgung-palace. However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meaning of the Daebodan was not a big deal. At first, the optimal place for the Daebodan was selected at the site of a inner icehouse. But the inner icehouse could not be transferred to other site due to the circumstances. After all, the Daebodan was constructed at the site of Byeoldaeyeong(別隊營) which was located in the outside of palace. Most of the stones for the new Daebodan were used ones. And the annexe of Byeoldaeyeong was used for Daebodan without any changes being made. The scale of the construction was not particularly grand. After the construction, Sukjong, who made the Daebodan, showed barely any interest in it. But the conception of the Daebodan was back again in the history by Youngjo. He was also not interested in the Daebodan during his early years of ruling time. However, in the 1740's, he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the ceremony of Daebodan, and carried out a large-scale reconstruction of the Daebodan. Jegigo(祭器庫) was rebuilt In 1739. And Jaesil(齋室), staying one night before the ceremonial day, was added in 1745. In 1749, the Daebodan was greatly changed by enshrining Uijong and Taejo,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The shape of alter was changed. Moreover this alter was made by newly quarried stones. And several buildings, Junsachung(典祀廳), Jaesaengchung(宰牲廳) and Akgongchung(樂工廳), were added to the site. In 1762, meritorious retainers were enshrined to the Daebodan. After all the Daebodan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backyard of Changdukgung-palace. During the reign of Jungjo, the Daebodan also was an important part of backyard of Changdukgung-palace.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made at that time. The only change was the moving of Kyungbonggak(敬奉閣) in 1799. Afterward the Daebodan remained unchanged. The ceremonies at the Daebodan stopped in 1908. And the Daebodan disappeared into the mist of history.

대보단은 명나라 황제인 태조, 신종, 의종의 제사를 지내는 제단이다. 황단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설은 1704년에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임진왜란 때 조선에 원군을 보내준 신종에 대한 보은의 뜻으로 건립된 것이다. 노론의 영수였던 송시열은 이미 화양동에 신종을 위한 건물을 짓고 제례를 지냈었는데 이것이 국가적인 의례로 확대된 것이다. 당시의 대보단 건립은 창덕궁 후원 영역을 크게 바꿔 놓았으며, 후원 서북쪽으로 영역이 확장되었다. 하지만 당시 대보단의 건축과정만을 살펴본다면 대보단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했다고 보기에 무리가 있다. 입지선정 과정에서 공간적으로나, 의례적으로 가장 적합한 곳은 후원의 내빙고터였다. 그럼에도 빙고를 옮길 방안이 마련되지 않자 궁궐 담장 바깥에 위치한 별대영터에 건립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단을 건립하기 위한 석재는 새로 채석하지 않고 이곳저곳에서 변통한 것을 재활용했다. 별대영의 행각은 커다란 변경 없이 그대로 대보단 행각으로 전용했다. 건축공사의 규모만을 따지자면 그리 대단한 공사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숙종은 대보단 건립 후 몇 차례 제례를 치른 다음에는 대보단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대보단이 다시 역사에 크게 등장한 것은 영조에 의해서였다. 영조도 재임 초기에는 대보단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1740년대 들어 대보단에 지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수차례에 걸친 대보단 중수가 진행됐다. 1739년에는 제기고를 중건했다. 또 1745년에는 재실을 건립하면서 대보단 의식 전날에 들러 하룻밤을 보내도록 의례를 정비했다. 1749년에는 대보단에 의종과 태조를 봉안하면서 대대적인 대보단 증수가 이루어졌고, 기존의 대보단과 전혀 다르게 형태가 변경되었다. 이때 조성된 단은 새롭게 채석한 석재를 사용해서 쌓은 것이었다. 또 전사청, 재생청, 악공청 등 새로운 건물을 추가로 건립하기도 했다. 1762년에는 대보단에 공신을 종향하면서 지속적으로 대보단이 창덕궁 후원에서 중요한 곳이 되었다. 정조 재위 기간에도 대보단은 창덕궁 후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보단에서 건축적으로 커다란 중수가 진행되지는 않았다. 다만 1799년 창경궁에 위치했던 경봉각을 대보단 내부로 이건한 일이 있었다. 이후 대보단 제례는 계속되었지만 커다란 건축적 변화는 없었고, 1908년에 제향이 중지되면서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06614).

References

  1. 「궁궐지(宮闕志)」
  2. 「궁궐지(宮闕誌)」
  3. 「대보단등록(大報檀謄錄)」
  4. 「대보단사연설(大報壇事筵說)」
  5. 「대보단증수소의궤(大報壇增修所儀軌)」
  6. 「동궐도(東闕圖)」
  7. 「동궐도형(東闕圖形)」
  8.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9. 「일성록(日省錄)」
  1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1. 「황단의(皇壇儀)」
  12. 「황단증수의(皇壇增修儀)」
  13. 「황단종향의궤(皇壇從享儀軌)」
  14. 계승범, 2010, 「조선후기 대보단 친행 현황과 그 정치.문화적 함의」, 「역사와 현실」 75집.
  15. 계승범, 2011, 「정지된 시간 -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강대학교 출판부.
  16. 김문식, 2005, 「조선후기 경봉각에 대하여」, 「서지학보」 28집.
  17. 김호, 2003, 「영조의 대보단 증수와 명 삼황의 향사」, 「한국문화」 32집.
  18. 이욱, 2006, 「조선후기 전쟁의 기억과 대보단 제향」, 「종교연구」 42집.
  19. 정옥자, 1985, 「대보단 창설에 관한 연구」, 「변태섭화갑기념논총」, 삼영사.
  20. 정옥자, 1993, 「조선후기 향사 관계 문헌자료의 검토-「황단배향제신목록」을 중심으로」, 「규장각」 16집.
  21. 정우진.심우경, 2013, 「창덕궁 대보단의 공간구성과 단제 특성에 관한 고찰」, 「문화재」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