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al improvement of burial mound in Geonwonneung and Heonne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Byeongpungsadaeseok and Nanganseok -

조선초 건원릉과 헌릉의 봉릉 구조개선과 의의 - 병풍사대석과 난간석을 중심으로 -

  • SHIN Jihye (Inc. Architectural Documentation and Archaeology Research Group)
  • Received : 2022.09.14
  • Accepted : 2022.11.03
  • Published : 2022.12.30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tructure of Byeongpungsadaseok (屛風莎臺石) and Nanganseok (欄干石) in Geonwonneung (建元陵) and Heonneung (獻陵), which were built in the early of 15th century, based on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addi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structural changes and their significanc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with the contents of the dismantlement survey. Geonwonneung, Jereung(齊陵), and Heonneung were repaired at the same time in 1442, and the structural changes were the similar. The purpose of the repair in 1442 wa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palace with smooth drainage.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tructure of Geonwonneung and Heonneung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t was created in a very similar form to the Hyeonneung and Jeongneung of Goryeo. And it was clearly recognized that the Royal Tomb of Goryeo was followed. However, as the structure was improved in 1442,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rmed. First is the appearance of the Bokbuhyeong lime (覆釜形石灰, which is a convex roof on the Byeongpungsadaseok that serves to prevent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burial mound. It also plays a role in connecting and fixing the Manseok (滿石) and the Inseok (引石), which are the upper structures of the Sadaseok (莎臺石). Second, the Bakseok (薄石) between the nanganseok and the sadaseok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Sangseok (裳石) with a slope. This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inner stone chamber by expanding the length of the bakseok, which forms an overall slope, like the eaves of the roof. After both of these features were first attempted in 1442, they were applied to all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unique features of these Royal Tombs.

본 연구는 15세기 초에 건립된 건원릉과 헌릉의 병풍사대석과 난간석 구조를 『세종실록』을 바탕으로 추정하고, 현재 해제 조사된 내용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구조적 변화와 그 의의를 밝히는 것에 주목적을 두고 있다. 건원릉과 제릉 및 헌릉은 1442년 동시에 수리되었는데 이때의 구조적 변화 양상이 동일하게 보인다. 1442년에 시행된 수리의 목적은 원활한 배수를 통해 지하 현궁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공사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하구조와 병풍사대석은 그대로 유지한 채, 병풍사대석 상부에 복부형석회를 추가하고, 난간석의 구조를 변경하는 정도에서 구조 개선을 이루었다. 『세종실록』의 기록에 따라 1420년과 1422년 사이에 건립된 헌릉의 구조를 추정하여 복원도를 그려보고, 1989년에 해제조사보고서에 기록된 구조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1998년에 해체조사된 건원릉의 구조에 대응하여 수리된 부분과 건립 당시의 구조를 구분하였다. 건원릉과 헌릉의 건립 당시 모습을 추정해 본 결과, 고려의 현·정릉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조성되어, 고려왕릉을 그대로 답습한 점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러나 1442년의 산릉수리도감에 의하여 구조개선이 이루어지면서 고려왕릉과는 차별된 조선왕릉의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1442년에 시도되어 조선의 전 시기 동안 봉릉 구조에 적용된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복부형석회의 등장이다. 복부형석회는 병풍사대석에 볼록한 지붕으로, 봉토(封土) 안으로 스며드는 빗물이 사대석 내부까지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 사대석의 상부구조인 만석과 인석을 안쪽에서 하나의 구조체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복부형석회는 1442년에 처음 시도된 이래로, 병풍사대석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사례에 적용되어 조선왕릉의 고유한 특징이 되었다. 둘째는 난간석과 병풍사대석 사이 공간에 평평한 박석을 까는 대신에 물매를 형성하는 상석(裳石)을 설치하였다. 1442년에 설치된 상석은 병풍사대석에서 난간석 방향으로 빗물이 흘러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기왓골을 새긴 조선의 첫 와첨 상석으로볼수있다.이후로는기왓골을생략하기도하지만,치마형태의상석은조선왕릉에만사용된특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
  2. 「국조오례의」 권3 「흉례」.
  3. (주)삼성토건.문화관광부 문화재관리국, 1998, 「건원릉 병풍석해체 보수공사 보고서」.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1_고려말조선초」.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II」.
  6. 김버들, 2018, 「왕릉건축을 통해 본 박자청(朴子靑)의 김사행(金師幸) 건축계승」, 「건축역사연구」 27(2), pp.113~124. https://doi.org/10.7738/JAH.2018.27.2.113
  7. 김상협, 2008, 「조선초기 왕릉 석실구조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4(8), pp.179~186.
  8. 새한건축문화연구소.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헌릉(원경왕후릉)해체실측보고서」.
  9. 신지혜, 2020, 「조선후기 회격릉 지하구조를 반영한 봉릉의 시공과 형식」, 「건축역사연구」 29(2), pp.19~31. https://doi.org/10.7738/JAH.2020.29.2.019
  10. 신지혜, 2021, 「17-18세기 조선왕릉의 봉릉 구조개선에 따른 사방석(四方石)의 등장과 소멸」, 「건축역사연구」 30(4), pp.67~78. https://doi.org/10.7738/JAH.2021.30.4.067
  11. 신지혜, 2022, 「조선 세종대 삼물회 도입에 따른 석실릉 구조개선과 의의」, 「문화재」 55(1), pp.223~241. https://doi.org/10.22755/KJCHS.2022.55.1.223
  12. 정해득, 2013, 「조선왕릉제도연구」, 신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