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tention to Recommend, and Job Preparatory Behavior : Focusing on Job Searchers i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 추천의도,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외식분야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 신동진 (호남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Received : 2022.05.09
  • Accepted : 2022.06.30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trainees wishing to get a job at coffee-related companie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educa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posited five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relative literature and also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with the five hypotheses.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study found that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al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 of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the study foun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ect of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mployment recommendation intention. Such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practical suggestio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wide range of trainees in the study of coffe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improve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services and competitiveness of coffee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는 커피관련 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교육생들이 인식하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를 통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도출한 5개의 연구가설을 토대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보여준다. 첫째,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만족도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취업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 만족도 연구에 폭넓고 다양한 교육생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교육서비스의 방향성 및 커피교육 기관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 제언을 제공한다.

Keywords

I. 서론

최근 국내 외식산업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우리나라의 음식문화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중 식음료시장의 커피산업이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1]. 소비형태를 보면, 식사비용과 비슷한 가격으로 커피음료에 지출하거나 식사비용보다 좀 더 비싼 금액을 커피음료에 지출하는 경우를 흔히 볼수 있다.

2000년 이후 국내 기업에서는 커피 시장에 진출하였고, 인스턴트커피와 커피전문점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커피 시장을 레드오션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지만,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커피 업계에 의하면 국내 커피산업은 세계 6위 수준, 성인 1명당 1년 동안 약 353잔의 커피를 마시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곧 세계 평균소비량(132잔)의 2.7배 수준이다[2]. 국세청 통계에 따르면 커피 음료점은 2007년 2375개, 2011 년 1만2381개, 2017년 4만4305개, 2021년 말 기준으로 8만3363개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또한, 커피산업(소매시장+커피 음료점) 규모는 2016년 5조9000억원, 2017년 6조4000억원, 2018년 6조8000억원으로 커졌으며 2022년 7조원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커피산업의 5가지 트렌드 변화와 전망의 보고서의 따르면 국내 커피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시장 및 고객이 다양화 되면서 국제 스페셜티 커피협회(SCA)가 평가한 100점 만점 기준 80점 이상 등급을 받은 스페셜티 커피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하였다[2]. 국내 커피산업과 커피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은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학과 전공, 평생교육원 등 강좌개설 및 커피 사설학원의 개원을 통해 알 수 있다[3]I4].

또한, 고용노동부 직업훈련포털(]HRD-NET)에 등록된 국내 커피바리스타 훈련기관 수는 122개 달하고, 국내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커피바리스타 학원 수는 1,077개로 나타났다[5]. 이처럼 교육기관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교육기관에서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와 교육서비스 품질 및 강사서비스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기관의 시설, 안전점검, 위생관리에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61, 강사의 건강검진 실시, 그리고 서비스 품질에 집중하여 교육을 받은 교육생들이 자발적으로 취업준비행동에 더욱더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교육서비스 품질과 연관된 연구에서는 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 (1988)가 제안한 SERVQUAL 이라는 측정도구를 할용해 교육서비스가 유형성,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 등 5가지로 조사되었으며 커피바리스타 교육서비스 품질과 창의적 직무수행의 관계 연구[7], 교육서비스 품질은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8],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9].

본 연구에서는 교육만족도와 관련된 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서비스, 강사서비스, 시설서비스을 제시하였으며. 강사서비스는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핵심적 역할을 담담하며, 교육생들의 만족도 중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10]. 이처럼 커피라는 음료는 산업 경제적측면 이외에도 학문적, 교육적인 측면에 이르기까지 진출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커피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적의존성이 높은 교육기관에서의 체계적인 교육생관리 및 교육서비스 품질중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교육강사의 역할과 교육생들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강사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피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 추천 의도,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커피관련분야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적용시키고자 하며, 커피교육서비스 품질, 만족도 연구에 폭넓고 다양한 교육생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교육서비스의 방향성 및 커피교육 기관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Ⅱ. 선행연구 검토

1. 커피교육서비스 품질

교육서비스 품질은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에서 시초가 된 개념이라 볼 수 있으며, 서비스 품질은 소비자에 의해 인식되고 판단되는 주관적인 평가로[11]. 평가과정은 소비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과정에 걸쳐 이루어진다[12]. 게다가 서비스 품질은 그 특수성으로 인해 측정하기 어려워 객관적 품질보다는 주관적 평가로 지각된 품질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다[13]. 무형성이 존재하는 교육서비스 품질은 정해진 교육시간, 장소, 방법에서 동일하게 재연될 수 없으며[14], 교육강사와 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15]. 이는 곧 교육서비스품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과 교육강사 및 교육생의 직접적으로 대면 접촉에 의한 관계가 형성됨을 뜻한다. 교육서비스 품질은 일정 기간 내 커피교육에 관련된 내용과 취업성공을 위하여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활동이라고 한다[16]. 서비스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는 무형성과 비분리성이라는 특성으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전 기대된 수준보다 상회하게 되면 만족도를 높아지고 기대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품질은 낮게 평가된다[17]. Parasuraman et al.[17]에 의하면 고객이서비스 기업에서 제공받는 서비스와 고객이 서비스 공정과 결과에 관해 지각한 성과의 차이를 서비스 품질로 정의하였다. 이처럼 서비스는 유형의 제품이 아닌 무형의 제품이기에 객관적 품질 평가가 어렵다.

이에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육서비스 품질 측정방법에 있어서 물리적 환경과의관계 연구[18], 교육서비스 품질을 강사와의 관계성 및 교육환경과의 관계[19], 교육서비스 품질을 교수와 강사,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20] 등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교육서비스품질과 강사,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취업준비행동과의 연구에서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교육생이 인식하는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는 교육기관과 관련된 교육생의 모든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생들에게교육의 공급자인 교육기관이 제공한 유·무형의 서비스 및 물질적·정신적 지원에 대한 만족하는 정도라 하였다 [21]. 교육만족도란 교육 및 프로그램의 경험에 관한평가를 기초로 하여 그에 대한 태도, 정서, 행위 및 의욕과 같은 주관적 반응이라고 정의하였다[22]. Sahin & Shelley[23]은 교육생 자신이 학습에 대한 평가에서 얻어진 긍정적이며 유쾌한 감정 상태를 교육만족도라고 하였다. Serenko[24]는 교육만족도를 교육내용 만족과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로 제시하였고, Kim & Lee[25] 는 교육내용과 방법의 만족도 뿐만 아니라 교육환경, 강사와의 관계를 강조한 교육만족도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교육만족도를 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교육만족도, 교육생의 개인적 요인과 주관적인 반응까지 포함한 다양한 구성요인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3. 추천의도와 취업준비행동

의도란 계획된 행동 및 예기된 미래의 행동을 의미하며, 신념과 태도가 특정 행위로 전이될 수 있는 확률을 뜻한다[26]. Cronin & Taylor[27]에 의하면 추천의도는 기업에 긍정적 구전활동의 종류로서 소비자가 만족하면 자신이 경험했던 지각된 상품과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주변인들에게 알려주는 소비자의 행동으로라고 주장했다. 한편 교육서비스 품질에서도 교육을 받은 수강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추천의도는 높아진다고 하였다[28].

본 연구에서 논의할 추천의도는 자신이 경험한 긍정적인 상황에 대해 타인에게 권유하는 심리적 행동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취업준비행동은 자신의 경력기회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정보 및 취업을 성공적으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방법을 탐색하는 행동을 뜻한다 [29]. Lee[3이]는 일자리를 구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이라고 하였고, 잠재적인 직업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획득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한편, 이진영과 최상수[31]는 호텔·관광관련 전공학생들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조수민과 윤병국132: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높을수록 취업에 대한 열의가 높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래 경력기회를 획득하기 위해 취업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수집과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노력을 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본 연구에서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에서 강사의 교육서비스 수준이 높으면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는 높아 재수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3]. [34]의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이 높으면 강의, 교육강사 및 교육기관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하게 되고,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에 대한 추천의도와 재이용의도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교육서비스 품질은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8],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9]. 이는 교육서비스 품질이 자신이 교육받았던 강의를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데 있어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교육을 받은 교육생은 타인에게 강의를 추천하거나 재이용하게 된다[24]. Gundalach et al.[35]에 의하면 사회교환론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만족감을 지각하는 경우에 서비스업체에 대해 충성도가 높은데 관계의 품질을 높게 평가할수록, 소비자는 서비스업체를 신뢰하게 되어 상호 간에 이익이 되고, 이는 만족도는 높이 평가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H1.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교육서비스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강사서비스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시설서비스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교육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교육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교육만족도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4-1. 교육만족도는 교육서비스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4-2. 교육만족도는 강사서비스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4-3. 교육만족도는 시설서비스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5. 교육만족도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5-1. 교육만족도는 교육서비스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5-2. 교육만족도는 강사서비스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H5-3. 교육만족도는 시설서비스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을 것이다.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본 연구에서는 Likert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점~매우 그렇다 5점)로 측정되었으며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생들이 소속된 교육기관에서 강사들이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교육생들이 지각하는 정도로 정의되며, Cronin과 Taylor[36]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12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교육만족도는 교육생의 만족 및 신뢰가 연속되는 상태로 정의되며, Oliver[37]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추천의도는 자신이 경험했던 좋았던 것을 타인에게 권유하는 심리적 행동으로 정의되며, Cronin & Taylor[27]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4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행동은 미래 경력기회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 수집 및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노력을 포함한 행동으로 정의되며, Barber et al.[38]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여 4개의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는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코로나 19로 인해 설문을 진행하기가 다소 어려워 각 교육기관의 담당자가 조사원에게 구글 서베이폼을 설명해주고, 교육생들에게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46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답변이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35부를 최종적인 분석에 활용하여, SPSS 25.0과 AMOS 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V. 실증 분석

1. 표본의 특성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성별은 남성 121명(36.1%), 여성 214명(63.9%)을 나타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미만 21명(6.3%), 고등학교 졸업 69명(20.6%), 전문대 졸업 110명(32.8%), 대학교 졸업이상 135명(40.3%)으로 나타났다. 타 커피교육기관 이용경험은 처음 118명(35.2%), 1곳 이용 174 명(51.9%), 2곳 이용 36명(10.8%)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종류는 내일 배움 재취업자 265명(79.1%), 내일배움재직자 27명(8.1%), 기타 본인부담 35명(10.4%)으로 나타났다. 조리교육기관정보의 취득은 TV 및 신문 15명(4.5%), SNS 80명(23.9%), 인터넷 검색 185명 (55.2%), 팜플렛 20명(6.0%), 지인추천 및 기타35(10.4%)명으로 나타났다.

표 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335)

2. 확인적 요인분석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실시하는 확인적 요인분석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다 [39]. 이러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신뢰성과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40]. 본 연구의 타당성 검증 결과 표준화 요인부하량(AVE)의 기준 5이상이 되어야 하고, .7이상이 바람직하다[40]를 적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명력 (Sqrared Multiple Correlations)이 0.4이상을 기준으로 낮은 문항은 제거하여 재분석결과 표준요인 부하량이 임계치 기준인 0.5를 상회하고 또한 모든 잠재변수들의 개념신뢰성(CR)과 추출된 평균분산추출값(AVE)이 기준치에 적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Fornel] & Lacker, 1981). 따라서, 설문 문항들은 각각의 요인들의 문항들이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어 집중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본 연구모형이 입력 자료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를 나타내는 절대적합도 지수(absolute fit indices)는 22 =2.250(CMIN/DF=533.335/237, p=0.000), GFI=0.885 (기준치 .9이상), AGHI=0.854(기준치 .9이상), RMR=0.036(기준치 .05이하)으로 나타났다. 증분 적합도 지수인 IFI=0.925(기준치 9이상), TLI=0.912, CHI=0.924(기준치 .9이상)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적합도 지수로 절대, 증분 적합도 지수 중 적어도 한개 이상은 기준치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합도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표 2. 확인적 요인분석

3. 상관관계 분석 및 신뢰도

[표 3]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각각의 AVE와 변수간의 상관관계의 제곱을 비교하여 AVE가 모두 (상관관계)2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판별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변수 간에 정(+)으로 나타나 측정도구들의 법칙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40].

표 3. 상관관계분석 결과

*p<0.05, **p<0.01 O: 상관계수의 제곱값

4. 연구 가설 검증

가설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고, 타당성 평가과정을 거쳐서 남은 측정변수들의 공분산 행렬을 토대로 변수 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설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는 검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교육 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 취업준비행동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셋째,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추천의도 및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전체적 모형에 최대 우도법 (Maximum likelihood)을 적용한 적합도 지수는 x2 =1.782(CMIN/DF=523.241/241, p=0.000), GFI=0.888, AGFI=0.860, IFI=0.928, TLI=0.917, RMR=0.048, CFI=0.928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평가 기준을 삼는 지표들과 비교할 때 대체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연구 개념들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설명하기에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으며, 커피교육서비스품질의 교육서비스(경로값 .183, C,R=2.266), 강사서비스(경로값 -333, C,R=3.773), 시설서비스(경로값 .283, C,R=3.714)는 교육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경로값 .758, C,R=7.577; 경로값 .688, C.R=7.170)는 추천의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크기를 살펴보면 강사서비스, 시설서비스, 교육서비스의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추천의도의 교육만족도 간접효과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사서비스(경로값 .239, p=.007)에 대한 교육만족도의 긍정적 영향은 추천의도를 가장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취업준비행동의 교육만족도 간접효과는 모든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사서비스(경로값 .217, p=.005)에 대한 교육만족도의 긍정적 영향은 취업준비행동을 가장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는 모두 채택되었으며, 커피교육기관운영을 위해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은 요인은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표 4. 상관관계분석결과

*p<0.05, p<0.0-

그림 3.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V. 결론

본 연구는 커피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교육생 대상으로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만족도의 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서비스 품질의 강사서비스가 교육생들이 인지하는 교육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기존연구와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다[41]. 이에 연구결과를 토대로 커피교육서비스 진행과 기관의 경쟁력 제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의 교육서비스, 강사서비스, 시설서비스는 교육만족도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33]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로 커피교육기관의 강사가 질적 강의를 정확히 수행할 경우 교육생들은 교육기관의 강사를 신뢰하여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교육서비스 품질에서 보여지는 유형서비스 보다 강사의 자질, 교육프로그램과 같은 무형서비스에 대해 만족도가 더높은 것으로 보여준다.

둘째,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도는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줬다. 이는 [24]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로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가 높으면 자신의 교육만족도에 즐거움과 긍정적인 경험을 자발적으로 타인에게 추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육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대안을 극대화하여 교육생들이 자발적으로 취업준비행동에 더욱더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넷째,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추천의도와 관계에서 교육만족도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커피교육기관 운영을 위해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추천의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커피교육서비스 품질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교육만족도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교육생들은 자발적으로 취업준비에 좀 더 적극적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강사와 교육생들 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교육기관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이 교육생들에게 우수한 교육서비스 품질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생의 교육만족도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의 강사서비스에 대한 집중 뿐만아니라 교육기관의 시설관리, 위생, 안전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여 교육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교육기관에서는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블로그, 페이스북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해야된다. 다음으로, 교육생들이 교육기관에 상담을 요청할 경우 행정직원은 교육생들의 요구를 신속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둘째,교육기관에서는 강사가 교육생들에게 교육내용의 전달능력, 교육생과의 소통능력, 그리고 친절을 다함으로써 교육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교육생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을 재수강할 수 있는 노력을 꾸준히 해야한다.

셋째, 교육생들이 취업을 위해 커피관련 연구와 공부를 통해 커피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 커피 관련 기업체에 취업을 할 수 있는 좋은 실습재료와 좋은 시설환경, 뛰어난 강사 확보 등 기관의 서비스품질에 집중해야 된다.

앞서 제시한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교육서비스 품질에 있어서 교육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소상공인들의 창업교육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학교와 사설기관과의 차이 분석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제한점이 보완된다면 교육기관의 경쟁력 제고에 더욱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박진영, 석미란,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의 브랜드인식이 브랜드이미지 및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6권, 제1호, pp.183-199. 2011.
  2. 박용정, 이정원, 한재진, "커피산업의 5 가지 트렌드 변화와 전망-국내 커피산업 약 7조원 규모로 성장," 한국경제주평, 제848권, pp.1-15. 2019.
  3. 손권배, 김재열,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버스공정성, 서비스신뢰, 서비스 관계볼업의 매개효과," 경영교육연구, 제29권, 제1호, pp.271-303, 2014.
  4. 최재호, "커피바리스타 전공생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과 성취목표 지향성 및 창의적 직무 수행에 대한 차이 검증," 한국안전문화연구원, 제2권, 제1호, pp.45-61, 2016.
  5. https://www.hrd.go.kr/hrdp/ma/pmmao/index.do
  6. 김경란, 오재연, 박경,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지도요소에 근거한 유아교사의 응급상황 안전지식과 수행수준인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pp.177-204, 2018.
  7. 나상균, "소상공인의 창업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신뢰성 및 추천의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5호, pp.123-143, 2016
  8. 채선영, 임미라, 안대희, 김광진,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425-43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25
  9. 채선영, 임미라, 안대희, 김광진, "커피관련전공의 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425-43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25
  10. V. A. Zeithaml,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2, No.3, pp.2-22, 1988. https://doi.org/10.1177/002224298805200302
  11. B. R. Lewis, "Service quality: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bank customer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Vol.7, No.1, pp.47-62, 1991. https://doi.org/10.1080/0267257X.1991.9964139
  12. E. S. Maynes, "Price Discrimination: Lessons for Consumers," Advancing the Consumer Interest, Vol.2, No.1, pp.22-27, 1990.
  13. L. Eagle and R. Brennan, "Are students customers? TQM and marketing perspectives,"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15, No.1, pp.44-60, 2007. https://doi.org/10.1108/09684880710723025
  14. P. Sultan and H. Y. Wong, "Service quality in a higher education context: antecedents and dimensions," International Review of Business Research Papers, Vol.7, No.2, pp.11-20, 2011.
  15. 박규은, 김문명, 정은경, 이수범, "커피교육프로그램의 교육성과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1호, pp.83-100, 2014.
  16. S. A. Taylor, A. Sharland, J. J. Cronin, and W. Bullard, "Recreational service quality in the international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4, No.4, pp.68-86, 1993. https://doi.org/10.1108/09564239310044316
  17.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Berry,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Vol.64, No.1, pp.12-40, 1998.
  18. 강만수, 박상규,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3권, 제1호, pp.129-149, 2011.
  19. 박훈지, 김학선,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 만족도, 충성도 영향 관계 연구: 식생활 관련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2권, 제3호, pp.155-165, 2016. https://doi.org/10.20878/cshr.2016.22.3.013013013
  20. 장대성, 채규진, 김민수, "한국 대학 경영교육 서비스의 교육만족 및 충성도와 서비스접점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2호, pp.813-831, 2010.
  21. 김나영,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58-9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22. 허영주, 윤혜현, "조리교육 서비스품질과 교육기관이 미지가 교육만족도, 충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6권, 제7호, pp.210-222, 2020.
  23. L. Sahin and M. Shelley, "Considering students' perceptions: The distance education student satisfaction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1, No.3, pp.216-223, 2008.
  24. A. Serenko, "Student satisfaction with Canadian music programmes: the application of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Model in higher education,"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Vol.36, No.3, pp.281-299, 2011. https://doi.org/10.1080/02602930903337612
  25. H. S. Kim and J. I. Lee,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services of technology transfer agents' registr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7, No.1, pp.153-164, 2012. https://doi.org/10.16972/APJBVE.7.1.201203.153
  26. J. Engel and R. Blackwell,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New York, pp.151-159, 1986.
  27. J. Cronin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3, pp.55-68, 1992.
  28. J. Douglas, A. Douglas and B. Barnes, "Measuring student satisfaction at a UK university,"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14, No.3, pp.251-267, 2006. https://doi.org/10.1108/09684880610678568
  29. A. E. Barber, C. L. Daly, C. M. Giannantonio, and J. M. Phillips, "Job search activities: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Personnel psychology, Vol.47, No.4, pp.739-766, 1994.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4.tb01574.x
  30. Y. G. Lee, "Career preparing behaviors and exploration of measures for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8, pp.487-496,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8.487
  31. 이진영, 최상수, "지역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 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 관광 관련 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25권, 제1호, pp.393-416, 2021.
  32. 조수민, 윤병국, "코로나 시대의 항공사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5권, 제9호, pp.115-133, 2021.
  33. J. V. Koch and J. I. Fisher, "Higher education and total quality management," Total Quality Management, Vol.19, No.8, pp.659-668, 1998.
  34. R. Jain, G. Sinha, and S. K. De, "Servic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Asian Journal of Marketing. Vol.4, No.3, pp.144-154, 2010. https://doi.org/10.3923/ajm.2010.144.154
  35. G. T. Gundalach, R. S. Achrol, and J. T. Mentzer, "The structure of commitment in exchange," Journal of Marketing, Vol.59, No.1, pp.78-92, 1995. https://doi.org/10.1177/002224299505900107
  36. J. J. Cronin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7, pp.55-68, 1993.
  37. R. L. Olive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Vol.57, No.3, pp.25-48, 1981.
  38. A. E. Barber, C. L. Daly, C. M. Giannantonio, and J. L. Philips, "Job search activities: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Personnel Psychology, Vol.47, No.4, pp.739-765, 1994.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4.tb01574.x
  39.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 p.372, 2007.
  40.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41. 김은주, 정명진, "대학생들의 대학 만족여부를 결정하는 대학교육 서비스 품질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1-2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