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두이노를 활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과 관련된 튜토리얼 및 교육적 활용 방안

Development of Tutorial for Measuring Gravity Acceleration Using Arduino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

  • 김형욱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 문성윤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전공)
  • 투고 : 2022.02.28
  • 심사 : 2022.03.31
  • 발행 : 2022.06.28

초록

MBL을 통한 물리 실험은 학생들이 실험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쉽게 실험을 수행할 수 있어 예전부터 많은 학교에서 활용해 왔다. 하지만, 장치의 원리를 모르고 실험을 수행하거나, 단순히 도출된 데이터에만 집중하는 것이 MBL 실험의 문제점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MBL 실험에서 많이 사용되는 피켓펜스의 방법으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고 실제 중력 가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오차율을 계산했으며, 본 튜토리얼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를 해보았다. 실험 결과, 실험으로 구한 중력 가속도 값과 실제 중력 가속도 값의 오차율은 1% 내외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값의 표본평균이 95% 신뢰구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실험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MBL이 가진 구조적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점, 물리와 수학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점, STEAM 교육에서 정보 교과와의 융합이 가능한 점 그리고 장비 구비비용이 저렴한 점을 통해 측정실험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자료를 토대로 아두이노를 활용한 물리 실험이 과학영재 교육에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대하는 바이다.

Physical experiment through MBL has been used in many schools for a long time since students can check the experiment results immediately and conduct the experiment easily. However, conducting the experiment, not knowing the principle of the device or simply concentrating on the derived data has been raised as the problem of MBL experiment. To supplement this problem, this study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gravity with the picket fence method, which is often used in MBL experiment, utilizing Arduino, calculated the error rate through a comparison to the actual acceleration of gravity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i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rror rate between the acceleration of gravity calculated by the experiment and the actual acceleration of gravity was about 1%, so it turned out that relatively accurate measurements were possible. Also, the sample mean of the experimental value was included in the confidence interval of 95%, so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was a significant experiment.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 to measure it through the following: It can supplement the structural disadvantages of MBL; it can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s and Math; it is possible to converge with information course in STEAM education; and it is inexpensive to be equipped with the equipment. Hopefully, the physical experiment utilizing Arduino will further be revitalize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재봉, "피지컬 컴퓨팅과 교육용 프로그램 언어를 활용한 전기회로 실험," 새물리, 제68권, 제2호, pp.422-430, 2018.
  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2015.
  3. 이창훈, 고등학교 과학 기초개념변화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4. M. Linn, "Designing computer learning enviroments for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The scaffold knowledge intergration framework," J. of Science Education, Vol.4, No.2, pp.103-126, 1995.
  5. 박제왕, 배승환, 김채훈, 최종휘, 장명호, 김희주, 유헌창, "MBL 대체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과학 교육실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제1호, pp.129-132, 2016.
  6. 이상진, 박우찬, 여경준, 장명호, 김희주, 최희석, 김동정, 유헌창, "피지컬 컴퓨팅에서 아두이노 실험 교육을 통한 MBL 인터페이스 대체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제1호, pp.97-100, 2014.
  7. 민경모, 유준희, 문현주, "아두이노를 이용한 저가형 분광광도계 개발 및 교육적 활용 방안," 새물리, 제69권, pp.559-567, 2019.
  8. C. Galeriu, S. Edwards, and G. Esper, "An Arduino investigation of simple harmonic motion," The Physics Teacher, Vol.52, No.3, pp.157-159, 2014. https://doi.org/10.1119/1.4865518
  9. L. Castro, B. Lago, and Felipe Monaini, "Damped Harmonic Oscillator with Arduino,"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and Physics, Vol.3, pp.631-636, 2015. https://doi.org/10.4236/jamp.2015.36075
  10. 홍성욱, "도체관 내부에서 수직 낙하하는 자석을 활용한 탐구활동," 새물리, 제67권, pp.968-974, 2017. https://doi.org/10.3938/NPSM.67.968
  11. 김동렬,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살아있는 것'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분석," 초등과학교육, 제34권, 제2호, pp.164-182, 2015.
  12. 이지원, 김중복, "초등과학 영재의 물체 인식 개념 변화를 위한 튜토리얼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제30권, 제3권, pp.340-352, 2011.
  13. 유은정, 이동욱, "고등학교 교과서의 중력 개념에 대한 일관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0호, pp.893-906, 2021.
  14. 김세림, 박종윤, "과학과 교과서에 나타난 열과 열에너지 용어의 정의 및 사용 의미 분석," 대한화학회지, 제62권, 제3호, pp.214-225, 2018. https://doi.org/10.5012/JKCS.2018.62.3.214
  15. 박진주, 오원근, "중학생의 중력과 진공 관련 오개념," New Physics: Sae Mulli, Vol.60, No.6, pp.612-621, 2010. https://doi.org/10.3938/NPSM.60.612
  16. 이인숙, 노종우, 김중복, "Drop-tower에서 수행된 자유낙하실험," 현장과학교육, 제6권, 제2호, pp.109-115, 2012. https://doi.org/10.15737/SSJ.6.2.201206.109
  17. 김나라, 물리 교과서 역학 실험의 효율적 수행 방안 탐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김현수, 정순영, "자기진자 및 깜빡이 LED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새물리, 제62권, pp.32-37, 2003. https://doi.org/10.3938/NPSM.62.32
  19. 구양삼, 박금홍, 신애경, 최병순, "토론을 강조한 MBL 실험수업에서 리더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지, 제50권, 제6호, pp.494-505, 2006. https://doi.org/10.5012/JKCS.2006.50.6.494
  20. 홍명수, 이정숙, 김소연, 김중복, "중학생의 정전기 개념 정립을 위한 튜토리얼 개발," 현장과학교육, 제3권, 제1호, pp.13-29, 2009. https://doi.org/10.15737/SSJ.3.1.200902.13
  21. 김현수, 전영석, "컴퓨터 활용 과학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학습특성," 과학영재교육, 제12권, 제2호, pp.91-103, 2020.
  22. http://phome.postech.ac.kr/user/edulab/2016phy103/ex02.pdf
  23. https://kocoafab.cc/make/view/685
  24. 김형욱, "아두이노의 여러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장치' 만들기 발명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7호, pp.1101-1122, 2020.
  25. 김현수, 이창훈, 심재규, 김광수, 컴퓨터를 활용한 역학실험, 북스힐, 2008.
  26. E. Zahar "Einstein, Meyerson and the Role of Mathematics in Physics Discovery,"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31, No.1, pp.1-43, 1980. https://doi.org/10.1093/bjps/31.1.1
  27. 김민철, 정용욱, 송진웅, "물리식의 의미에 대한 분석: 존재론 차원과 인식론 차원을 중심으로," 새물리, 제66권, pp.50-60, 2016. https://doi.org/10.3938/NPSM.66.50
  28. H. Kragh, "Mathematics and physics: The idea of a pre-established harmony," Science and Education, Vol.24, pp.515-527, 2015. https://doi.org/10.1007/s11191-014-9724-8
  29.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해설서, 2009.
  30. 조헌국, "과학영재교육에서의 머신러닝 활용 튜토리얼 : 서울 지역 일별 기온 변화 데이터를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제13권, 제3호, pp.133-149, 2021.